-
19수능 가형 물화였는데 올해 내년까지 잡고 다시 볼려고 하는데 어떻게 바뀌었나요?
-
뒤에서 해먹고 나라 팔아먹고 말아먹는 대통령
-
저사실여붕이임 2
커뮤화되서 그렇지 여붕이임
-
치뱃 따온다 7
딱 대라
-
여자들은 별로 못만나봣는데 남자들은 전부 ‘아따 우리 슨상님을 모욕했당께?’ ㅇㅈㄹ함..
-
무작정 까내리면 안돼고 1. 내가 생각하는 그 정치인의 단점이 뭔지 2. 상대가...
-
미대입시 준비하다가 그만두고 메디컬쪽으로 진로를 바꿨는데 서울대 의예과나 치의예과...
-
후후
-
문제를 풀면서 실수할만한 부분이 한 문제에 너무 많은 듯한 느낌이 계속 들어요...
-
택도없나 준킬러는 보통 메가기준 정답률 몇퍼정도임요?? 6모기준으로 몇번임??
-
이영수 션티 2
6모 3이면 뭐해야하나요, 유기하다가 6모 3이라 안 하면 ㅈ될거같아요..하루에 한시간 반
-
이재명 이새끼가 25만원 쳐뿌리는게 어떻게 돌아올까 1
물가 존나오를텐데 그때가서 뭔 윤석열 계엄탓 할건가 ㅋㅋㅋ 국채 10조 찍었던데...
259?
이거 노가다 없이 풀리나요
노가다로 풀리는 문제입니다만
노가다의 방식을 잘 결정하면 크게 무리는 없습니다
저는 답이 610이 나왔습니다
아니면 f(5)만 구해보셔요
f(a)=a인 a나 f(a)=b, f(b)=c, f(c)=a인 a, b, c가 없는 함수 f 구하는 거 맞나요?
아 생각해보니 여집합으로 구하고 마지막에 안뺐네요
근데 그래도 614인데
저도 제가 맞는진 몰라서요
저랑 다른거 있으면 알려주세요
h(3)=6 아닌가요?
f(1)=1 f(2)=3 f(3)=2 형태면 f(f(f(1)))=1
f(1)=2 f(2)=3 f(3)=1 형태면 f(f(f(x)))=x가 항상 성립이니까
그렇네요 제문제를 제가 틀렸네요
닫힌구간에서의 일대일 대응 함수는 자기 자신을 계속해서 합성할때 모든 원소에 대해서 주기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생각하고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함수를 n개의 루프로 나타냈고
h(6)을 구할때는 경우의 수가
6
5+1
4+2
4+1+1
3+3
3+2+1
3+1+1+1
2+2+2
2+2+1+1
2+1+1+1+1
1+1+1+1+1+1
이렇게 되는데 여기서 1과 3은 3의 약수이므로 세번 합성하면 자기 자신이 나옵니다
3과 1이 들어가지 않은 경우의 수를 분할로 구하고 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