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함수와의 교점의 개수가 홀수 짝수인 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73838
어떤 결론의 판단 근거라고 볼 수 있는 조건인가요?
의미가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근데 언제까지 내란이러면서 해먹을껀데 진심 할말이 내란밖에 없나,,
-
무엇이든 물어봐주세요 40
심심해요
-
오랜만에 무물 14
없으면 자러감
-
미친다중인격 7
아니너무현터오는데 또 어떤 충격적인게 나올지 재밌음
-
아이유 이름따온건가 여르비면 실모배틀 응원함 ㅇㅇ
-
이제 대한민국 래피드 플레이어 약 25만명 중 79등이 됐음 마침내 각종 전업 체스...
-
선착순 1명 만덕
-
오늘 후기 없으면 효과 죽이는거다
-
영어 25점이어도 1차 최초합 하더라
y=x또는 y=-x와 교차하는지 여부?
넵 원함수와 역함수의 교점
아 제 말은 홀짝에서 그 교차점(y=x와의)의 존재 여부 또는 교차점의 개수를 유추할 수 있지 않느냐는 것이었어요
원함수가 감소할 경우 원함수와 역함수가 y=x 위에서만 만나는 게 아니니까요
말 그대로 셀프대칭 '쌍' 이니깐
개수가 홀수개면 y=x와 교점이 보장됨
그럼 짝수인 경우는 모두 대칭축 위의 점
홀수면 대칭축에 홀수개 점 + 이외 교점이라고 봐도 무방한가요?
감소하는 함수는 짝수로 못가지지않나
증가는 알빠노고 감소는 홀수만 됨 y=x랑의 교점 무조건 1개고 (2개가 보장되는 순간 그 두점사이의 관계가 증가라서) 나머지 교점이 존재하면 제가 아까 말했듯이 뒤집어도 교점이라 짝으로 생겨서 1+2m (m은 음이아닌 정수)개임
감사합니다ㅎㅎ신기하네요
근데 생각해보니깐 불연속함수도 역함수를 가질 수 있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