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기의 극한이 미분 가능성과 전혀 무관한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20424
(뉴런입니당)
미분 가능하면 무조건 기울기의 극한이 존재하고 그게 미분계수인 거고
기울기의 극한이 존재한다고 해서 미분 가능한지 알 수는 없는 거라고 하면 관련 있다고 봐야하는 것ㅇㅏ닌가요?
우진희가 전혀 관련없다고 설명해 주신 이유가 궁금해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맞팔구 5
뉴비 에요!
-
에겐남이 목표임 5
에겐남되려고 속눈썹 붙이려고ㅇㅇ
-
지금 국어가 1등급 후반에서 2등급 사이를 계속 왔다갔다하는데 국어 공부시간 하루에...
-
인증씨발작작 오늘 왤캬 다 잘샹겼지? 진짜기만이하늘을찌르노 미친놈들아
-
연세대학교 수학과 [Team InfinitY] 수학 자작 모의고사 1회 무료배포 28
안녕하세요. 처음 인사드립니다. 저희는 구성원 전부 연세대학교 수학과 재학생들로...
-
호!오오
-
고백해야되는거 맞죠?
-
기만함 할게룔 8
더울땐 실내로 ,,
-
변형되어 수능나오는순간 ㅈㅈ침
-
과외 해보신분들 10
수학 과외를 받아보려는데 과외할 때 보통 교재를 뭘로 진행하나요..? 인강을 듣고...
-
그치만 상관없어~~
-
7덮 잇올 학교프로젝트에서 봐봤는디 생각보다 체계적으로 계획되어 잇어서 괜ㅌ찮앗음...
-
그거슨 엄청나.
-
히히
-
본인의 주관이 가미된 평가 환영합니다
-
그냥 전여친 보는거같음 막상 보면 힘들고 짜증나는데 가끔씩 생각남 나도 오르비...
-
우우 난 육수
-
. 6
-
심심함
미분계수는 점을 잡아야하잖음
중간에 빵꾸하나 뚫려있으면 기울기극한은 있는디 함수값이 없어서 미계정의를 못씀
그럼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는 한 기울기의 극한은 좌미분/우미분계수의 실재값이 아닌 근처값 정도로 생각하면 되는 거죠??
기울기의 극한이랑 미분계수의 정의는 완전히 다른거 아닌가
기울기의 극한은 특정 좌표에 가까워지는 동점에서의 기울기이고
미분계수의 정의는 함수의 특정 점에서 특정 점에 가까워지는 동점까지의 기울기임
만약 그 특정 점이 정의가 되지 않거나 불연속이라면 기울기의 극한은 존재하겠지만 미분계수는 발산하겠죠
저는 기울기의 극한을
기울기의 극한의 특이한 케이스(함숫값이 있는 경우)가 미분계수라고 이해했는데, 불연속(빵꾸, 발산) 이면 미계가 아니라는 건 이해했거든요!
둘이 완전히 분리되는 개념이 아닌 것 같아서 자꾸 헷갈리는데
기울기의 극한이 존재한다고 해서 미분 가능한 것은 아니다. 기울기의 극한은 근처값이지 특정 점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렇게 행동영역 정리해도 오류 없을까요?

밑에분 예시로 확인해보시면 될듯감사합니다!!!!!♡ 드디어 띰4에서 벗어난 것 같아요ㅜㅠ
극단적으로 이런 상황도 가능해요
헐 인강 중에 이것도 이해가 안 됐는데!! 이런 경우엔 결국 정의역이 없는 거니까 미분계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면 될까요?
양치기만 해서 2등급-> 1등급 벽이 안 깨져서 뉴런 진짜 열심히 보고 있는데 수학은 끝이 없네요ㅜ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