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wuu [1297064]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07-21 13:56:02
조회수 190

생윤 황분들 질문좀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15229

롤스는 원초적 입장에서 당사자들의 합의는 호혜적인 사회를 지향한다고 하잖아요 호혜적이라는단어를 정확하게 모르겠어서 찾아봤더니 당사자들간의 서로 특별한 혜택을 주고받는거라 했는데 25수능 해설지보면 상호 무관삼한 합리성이라는거에서 상호간에 이익을 주려고 하거나 손상을 끼치려하지도 않는다고 하는데 뭐가 맞는거에요? 그리고 상호 무관심한 합리성은 원초적 입장의 조건중 하나인데.. 너무 헷갈리네요 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잊는것은병이아니다 · 1271258 · 6시간 전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띠따띠또리 · 1353209 · 6시간 전 · MS 2024

    서로에게 이득이 되어야(호혜적) 내가 손해를 안보게 됩니다.
    그래서 원초적 상황에서는 상호 무관심함(나한테만 관심)이 맞습니다

  • pgwuu · 1297064 · 6시간 전 · MS 2024

    감삼당

  • 잊는것은병이아니다 · 1271258 · 6시간 전 · MS 2023

    오해의 여지가 있어 다시 답글 남깁니다

    롤스가 말한
    호혜 ( mutual advantage )적인 사회란
    모두가 공정하다고
    여길 수 있는 분배가 이루어지는 사회에요
    단순한 두명간의 이익 교환이 아니라
    공정한 조건 아래 모두의 정당한 이익을
    도모한다고 이해하면 돼요

    무지의 베일에서 우리는
    최소 수혜자가 될수도 있다는 생각 아래
    철저하게 본인의 이익만을 위해
    ( = 상호간에 이익을 주거나 해를 끼치지 X
    = 상호 무관심한 합리성 )
    최소수혜자에게 최대이익이 돌아가게
    합의하게 된다는거죠

    한마디로 둘 다 맞다.

  • pgwuu · 1297064 · 6시간 전 · MS 2024

    와 이해됐어요 두가지가 상충했는데 감사합니다

  • 잊는것은병이아니다 · 1271258 · 6시간 전 · MS 2023

  • 중시경건 · 1227152 · 6시간 전 · MS 2023 (수정됨)

    원초적 정의의 입장을 결정하는 그 가상적이고 비역사적인 상황 자체에 놓인 무지의 베일을 쓴 가상적 사람들은 상호 호혜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합리적으로 추론하여 나온 결과물 중 차등의 원칙은 호혜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정의의 원칙을 입법할 때 자체는 호혜성을 가지지 않지만
    입법의 목적, 입법 이후의 상황에 대해선 호혜성을 지향한다는 것 아닐까요

  • 잊는것은병이아니다 · 1271258 · 6시간 전 · MS 2023 (수정됨)

    과정에서 본인의 이익을 철저하게 지킨거고
    결과론적으로 봤을때 호혜적 상태가 생긴거니깐요..

  • 띠따띠또리 · 1353209 · 6시간 전 · MS 2024

    원초적 상황에서도 호혜적 맞을걸요

  • 잊는것은병이아니다 · 1271258 · 6시간 전 · MS 2023

    원초적 상황 그 자체가 호혜적이기보단 호혜적 결과를 도출해내기 위한 장치로 보는게 맞죠

  • 중시경건 · 1227152 · 6시간 전 · MS 2023

    이유가 뭘까요선생님

  • 띠따띠또리 · 1353209 · 6시간 전 · MS 2024

    윗분처럼 그자체가 호혜적이라기 보다 호혜성을 지향합니다
    내가 최소수혜자가 될거 염려해서 모두가 이익이 될 수 있는 호혜성을 지향해요

  • 중시경건 · 1227152 · 6시간 전 · MS 2023

    맞는말씀이신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