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황분들 질문좀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15229
롤스는 원초적 입장에서 당사자들의 합의는 호혜적인 사회를 지향한다고 하잖아요 호혜적이라는단어를 정확하게 모르겠어서 찾아봤더니 당사자들간의 서로 특별한 혜택을 주고받는거라 했는데 25수능 해설지보면 상호 무관삼한 합리성이라는거에서 상호간에 이익을 주려고 하거나 손상을 끼치려하지도 않는다고 하는데 뭐가 맞는거에요? 그리고 상호 무관심한 합리성은 원초적 입장의 조건중 하나인데.. 너무 헷갈리네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심란하다
-
8학군 여고 애들 가르쳐본 결과 공통적으로 휘문 얘기를 하면서 질색팔색함 대체 무슨짓을 하길래...
-
카이스트 학추 합격자중에 내신 1.2후반정도? 수능 영어빼고 4445인 학생,...
-
나름 2000년대에는 구소련의 저개발과 분쟁 다루는 나름의 비중이 있었고 성취...
-
중앙대학교 문과 지망합니다올해 수능 응시생 수가 증가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화작...
-
.
-
제가 기출을 1회독밖에 안해서 5개년 기출 빠르게 한 번 더 돌리면서 슬슬 실모도...
-
밤이누.. 심심한데 붱모 해설이나 써서 올릴까
-
확통도 해야한다 7
어케하지
-
정상 아님?
-
On The Field series 1의 주요 문항 해설을 첨부합니다. 주요 문항...
-
근육량이 지멋대로 8키로 증량됨 30->38되어버림
-
백만덕 어케 모으는거냐 12
ㅎㄷㄷ
-
독서 공부 0
문학은 얼추 잡혔는데 독서가 ㅠㅠ 솔직히 거의 서칭해서 푸는거같고 김동욱...
-
9012주7(실험) 문제 개맛있네...
-
자버림
-
왜 상대적으로 별로 중요해 보이지가 않을까
-
추천좀요 상하차하다가 한동안 걷질 못했음
-
어디있는거죠
-
가끔씩은 9번부터 재밌고 어려운 문제를 넣고 싶을때가 있음 난이도 조절하기 너무...
-
네
-
수학 못하긴 하는데 메타 끼고싶어..
-
나는답변을원한다ww
-
안녕하세오 수학 공부가 고민인 허거덩스입니다 다름이아니라 지금 제가 강윤구t...
-
나..나도 의대 6
....수시는 이제 가망이 없노
-
저 문학 작품 읽는 틀 갖추고 싶어서 짤막한 거 들으려다 김젬마쌤 별헤는밤 문학...
-
지문 이해 하나도 안되고 문제도 진짜 말 그대로 다 틀림 자꾸 신경쓰이네요 뭐가 문제지……
-
수학황분들…… 1
수학 13까진 맞출때도 있고 틀릴때도 있는데 아이디어랑 뉴런 미친개념중에...
-
확통런하고 수분감이랑 뉴런 했는데 기출을 또 다시 자이스토리나 이런걸로 하는게...
-
살만함?? 그래도 오바?
-
이 사람 아이디어가 계속 나오는 게 놀라움 내용은 매번 얼탱이 없게 웃김 ㅋㅋㅋㅋㅋㅋㅋㅋ
-
이러면 ㄹㅇ 홍대병인가
-
kda 15.6찍음
-
한달만에 4.5빠지는건 좀 무서운데
-
정답은 기하
-
오르비 처음 이용해 봅니다07년생은 맞지만 재수생이구요, 문과입니다.올해 N수생...
-
할수있다 할수있다 시발시발
-
b:3하나로 난이도 수직상승함
-
정시 1
하고 싶은 밤이라고
-
닉 정했다 8
14일 남았네
-
원래 잘했던거임? 아니면 실력 오른건가
-
걍 낯선 문제에 대한 적응력 차이임. 15,22를 조온나 어렵게 느끼는 이유가 다른...
-
나 ㅈㄴ 급식 잘먹고 당떨어져서 초콜릿에 밥 잘 먹는데 한달만에 4.5키로가 빠짐;
-
어떻게 떡집 이름이.. 10
야한말+야한말
-
너무 늦는건가 나
-
ㄹㅇ ㄱ?
-
행복하세요
-
7/21 기록 2
공부 시간을 좀 늘려야하나...
-
뽀록뜨면 낮1 작수는 88임... 좀 볼륨작은거없나
-
넵
서로에게 이득이 되어야(호혜적) 내가 손해를 안보게 됩니다.
그래서 원초적 상황에서는 상호 무관심함(나한테만 관심)이 맞습니다
감삼당
오해의 여지가 있어 다시 답글 남깁니다
롤스가 말한
호혜 ( mutual advantage )적인 사회란
모두가 공정하다고
여길 수 있는 분배가 이루어지는 사회에요
단순한 두명간의 이익 교환이 아니라
공정한 조건 아래 모두의 정당한 이익을
도모한다고 이해하면 돼요
무지의 베일에서 우리는
최소 수혜자가 될수도 있다는 생각 아래
철저하게 본인의 이익만을 위해
( = 상호간에 이익을 주거나 해를 끼치지 X
= 상호 무관심한 합리성 )
최소수혜자에게 최대이익이 돌아가게
합의하게 된다는거죠
한마디로 둘 다 맞다.
와 이해됐어요 두가지가 상충했는데 감사합니다
원초적 정의의 입장을 결정하는 그 가상적이고 비역사적인 상황 자체에 놓인 무지의 베일을 쓴 가상적 사람들은 상호 호혜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합리적으로 추론하여 나온 결과물 중 차등의 원칙은 호혜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정의의 원칙을 입법할 때 자체는 호혜성을 가지지 않지만
입법의 목적, 입법 이후의 상황에 대해선 호혜성을 지향한다는 것 아닐까요
과정에서 본인의 이익을 철저하게 지킨거고
결과론적으로 봤을때 호혜적 상태가 생긴거니깐요..
원초적 상황에서도 호혜적 맞을걸요
원초적 상황 그 자체가 호혜적이기보단 호혜적 결과를 도출해내기 위한 장치로 보는게 맞죠
이유가 뭘까요선생님
윗분처럼 그자체가 호혜적이라기 보다 호혜성을 지향합니다
내가 최소수혜자가 될거 염려해서 모두가 이익이 될 수 있는 호혜성을 지향해요
맞는말씀이신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