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칼럼] 특성화고 수학 17점에서 연세대까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00576
[WorkFlow] 25.06 성공적인 직업생활.pdf
[WorkFlow] 25.06 공업일반.pdf
[WorkFlow] 25.06 상업경제.pdf
[WorkFlow] 25.06 인간발달.pdf
안녕하세요, WorkFlow 팀 Adam입니다.
다음주부터 본격적으로 직업탐구 공부법, 문제 분석, 교재 추천에 들어가기 전, 오늘은 특성화고 수학 17점에서 연세대학교에 입학하기까지, 제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첨부파일에 6월 모의고사 직업탐구 각 영역별 해설을 올려놓았으니 확인해보세요!
#1 두 번의 실패, 그리고 보이지 않던 미래
저는 공부와 거리가 먼 학생이었습니다. 초, 중학교 내내 프로야구선수를 꿈꾸며 야구를 했습니다. ‘야구만 잘하면 공부를 안해도 되겠지’라는 생각으로 공부를 외면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냉정했습니다. 매 시합마다 계속되는 실책과 그로 인한 선배, 코치님들의 질책 속에서 좋아하던 야구공이 점점 무서워지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저는 부상을 핑계로 도망치듯 그라운드를 떠났습니다.
현실을 피해 PC방을 전전하던 시절, 문득 ‘배우가 되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에 예고 입시에 뛰어들었지만, 결과는 불합격. 그렇게 17살에 ‘두 번 실패한 낙오자’가 되었습니다.
한동안 잠만 자며 누구와도 대화하지 않고 무기력한 하루하루를 보냈습니다.
#2 공부가 내게 남은 유일한 것이었을 때
앞이 보이지 않던 무기력함 속에서 문득 정신이 들었습니다. 넉넉하지 않은 형편에 모든걸 지원해주신 부모님께 너무나도 죄송했거든요. 정신을 차려보니 고1 2학기 기말고사 3일 전. 처음으로 제 의지로 책상에 앉았습니다. 그토록 싫어했던 공부가 제게 남은 유일한 희망처럼 느껴졌습니다.
밤을 새워 공부했지만 성적은 좋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뿌듯했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겨났습니다. 더이상 ‘잉여인간’이 아닌, 주체적으로 삶을 사는 ‘인간’으로 살고 싶었습니다.
그렇게 공부에 모든것을 걸어보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SKY에 가야겠다고 굳게 다짐했습니다.
입시 제도도, 세상도 잘 모르던 저는 ‘지금부터 모든 시험에서 전교 1등 해서 SKY에 가겠다’는 무모한 목표를 세웠습니다.
그렇게 맞이한 첫 시험, 고2 1학기 중간고사에서는 많은 밤을 세며 모든 것을 쏟아부었지만, 중위권이었습니다. 절치부심하여 더 열심히 준비한 기말고사에서도 여전히 중위권. 오버워치 경쟁전 돌리러 가자며 졸음을 참으며 공부하던 저를 PC방으로 꼬시던 친구가 저보다 성적이 높았을 때, 세상이 미웠습니다.
집에 돌아와 “엄마, 왜 나는 안 돼?”라며 엉엉 울기도 했습니다. 그 막막함은 지금도 잊을 수 없습니다.
#3 국어는 4등급이라며? 병X~
그렇게 고2 1학기 내신까지 중위권으로 마감했으니, SKY에 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정시였습니다. 제가 입시를 준비하던 시기에는 정시 모집 비율이 역대 최저였던 시기라 주변 모두가 '적당히 인서울 하라'며 수시로 대학 갈 것을 권했지만, '적당한 인서울'은 성에 차지 않았습니다.
SKY에 너무나도 가고싶었거든요.
저는 제 실패의 원인이 '공부량'이 아닌 '공부 방법'에 있음을 깨닫고 공부법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부터 단 하루도 놀지 않고 매일 공부한다.’는 다짐과 함께 수능에 모든걸 걸기로 합니다. 실제로 9월 모의고사를 치룬 날을 제외하면 매일 공부했습니다.
하지만 성적은 제 마음처럼 오르지 않았습니다. 3-4등급의 벽은 너무나도 견고했고, 'SKY에 가겠다'는 제 목표는 주변의 조롱거리가 되기 일쑤였습니다.4월 모의고사에서 국어 4등급을 받았을 때, 한 친구가 다가와 뱉은 말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국어는 4등급이라며? 병X~"
알게 모르게 무시당하고, 그럼에도 치열하게 공부하던 7월에는 결국 몸에 탈이 났습니다.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사로 면역력이 무너져 결핵 확진을 받았습니다. 독한 결핵약 때문에 전보다 더 피곤하고 집중도 되지 않았지만, 'SKY에 가야 한다'는 생각 하나로 버텼습니다.
그렇게 모든 것을 쏟아부어도 9월 모의고사까지 전 과목 3등급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제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매일 주어진 일을 해나가는 것뿐이었습니다.
그리고 10월 모의고사 날, 기적처럼 성적은 폭발했습니다.
전 과목 1등급.
'성적은 계단식으로 오른다'는 말은 사실이었습니다. 공부란 무작정 양으로 들이박는게 아닌 올바른 방법으로 꾸준히 하는 것이 유일한 왕도였습니다.
#4 특성화고 후배님들께.
제 이야기를 읽으며 어떤 생각이 드셨나요? 저는 단순히 ‘노력하면 된다’는 뻔한 말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입시는 때로 외롭고, 더 많은 편견과 싸워야 하는 길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가 아니라 ‘어떻게’ 하는지였습니다. 무작정 들이받는 공부가 아니라, 올바른 방향과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아가는 것. 그것이 저를 연세대로 이끈 열쇠였습니다.
과거의 저처럼 자신의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는 후배님들에게, 제 이야기가 ‘할 수 있다’는 작은 확신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다음 주부터는 제가 숱한 실패 속에서 뼈저리게 느낀 공부 방법과 직업탐구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팁과 자료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orkFlow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질문 받아요 16
아무도 안하겠지만 모기 잡을때까지만..
-
애옹 7
아침으로 족발vs훈제삼겹&훈제오리 추천좀
-
만덕!!!!!!!
-
애옹 7
애기옹동이
-
두근두근해여 두근두근 11
-
휴식
-
난 연예인보다 0
인스타 틱톡녀가 더 끌림 보정 푼거 보면 생각이 달라지려나
-
조롱당한 저는 뭘까요...
-
연대 옯붕이들 조심하셈...
-
내가 병신인건가 왜케 내신이 어렵지
-
9명은 좀 아니잖아 ㅋㅋ
-
나 자러갈게 8
똥글 읽어주느라 고마웠어
-
수학 수완 0
뒤에 실모만 풀어요 아님 다 풀어요?
-
미국가면 지금 생활패턴이랑 찰떡일거래 아침 5-6시 취침 오후 4-5시 기상
-
7모 미적 88인디 n제 머 긁어야함???
직업탐구를 준비하고 있는 특성화고 학생으로서 글 정말 감명 깊게 읽었습니다.
Adam님 만큼 독하게 공부할 자신은 없지만...
글에서 강조하신 것처럼 '올바른 방법으로', '꾸준히' 공부하겠습니다.
정성스러운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