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재미있는 예시들로 알아보는 누적 백분위의 개념과 양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77077
안녕하세요, 새롭게 인사드리는 CRUX 투타임즈입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대학별 계산식을 반영한 가상의 예시를 통해, 누적 백분위(누백)의 개념과 그것이 입시 결과에 적용되는 양상을 쉽고 재미있게 알아보겠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모집단의 크기와 성적 분포는 실제와 다르게 다소 과장될 수 있으며, 이하의 내용은 모두 가상의 2026학년도 6월 모의고사 성적을 기반으로 합니다.
1. 기본 설정: 가상의 학과와 지원자들
먼저 가상의 모집 단위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2026학년도, 첨단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서강대학교에 AI글로벌비즈니스지리학과(인공지리)가 신설되었다고 가정합니다. 정시 모집 인원은 5명, 입학 적정 점수는 서강대식 환산점수 500점 언저리입니다.
다음은 인공지리학과에 지원할 가여운 학생 열 명의 프로필입니다. 서강대식 점수 산출 방식에 맞춰 구성했으며, 실제 입시와 같이 다양한 성적 조합을 가진 학생들이 모여 있습니다.
학생 | 탐구유형 | 국어(표점/등급) | 수학(표점/등급) | 영어(등급) | 한국사(등급) | 탐구1(백분위/등급) | 탐구2(백분위/등급) | 서강대식 점수 | 누적백분위(문과식) |
A | 사탐 | 132 (1) | 130 (1) | 1 | 2 | 73 (4) | 96 (1) | 499.92 | 1.40% |
B | 과탐 | 124 (2) | 137 (1) | 2 | 1 | 84 (2) | 93 (2) | 501.47 | 1.14% |
C | 사탐 | 127 (2) | 133 (1) | 3 | 1 | 91 (2) | 91 (2) | 500.38 | 1.31% |
D | 사탐 | 135 (1) | 120 (3) | 1 | 1 | 98 (1) | 91 (2) | 499.84 | 1.41% |
E | 과탐 | 132 (1) | 129 (2) | 3 | 1 | 89 (2) | 90 (2) | 500.00 | 1.38% |
F | 과탐 | 131 (1) | 131 (1) | 2 | 3 | 91 (2) | 86 (3) | 501.32 | 1.16% |
G | 과1사1 | 115 (4) | 143 (1) | 3 | 1 | 98 (1) | 91 (2) | 503.24 | 0.92% |
H | 과1사1 | 137 (1) | 120 (3) | 1 | 1 | 94 (2) | 85 (3) | 498.32 | 1.67% |
I | 사탐 | 129 (2) | 129 (2) | 1 | 2 | 85 (3) | 92 (2) | 497.01 | 1.96% |
J | 과탐 | 128 (2) | 133 (1) | 3 | 1 | 97 (1) | 93 (2) | 504.75 | 0.74% |
기본 서강대식 반영비로 순위를 매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학생 J: 504.75점 (과탐)
학생 G: 503.24점 (과1사1)
학생 B: 501.47점 (과탐)
학생 F: 501.32점 (과탐)
학생 C: 500.38점 (사탐)
--- (합격선) ---학생 E: 500.00점 (과탐)
학생 A: 499.92점 (사탐)
학생 D: 499.84점 (사탐)
학생 H: 498.32점 (과1사1)
학생 I: 497.01점 (사탐)
5명 정원에 최초 합격자 5명 중 4명이 이과 배경(과탐, 과1사1)을 가진 학생으로, 교차지원 비율이 높은 최근의 입시 현실을 잘 보여줍니다. 실제 입시라면 점수 최상위권인 J와 G 학생은 고려대학교 인문계열 등으로 빠져나가며 추가 합격을 유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제부터 다양한 변수를 적용해 순위가 어떻게 뒤바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 변수 적용 ①: 사탐 가산점 7% 부여
총장님이 신입생들의 인문학적 소양 부족을 우려해, 사탐에 7% 가산점을 부여하는 경우입니다.
순위 | 학생 | 탐구유형 | 최종점수 | 순위변동 |
1 | G | 과1사1 | 506.02 | ▲1 |
2 | C | 사탐 | 505.93 | ▲3 |
3 | D | 사탐 | 505.61 | ▲5 |
4 | A | 사탐 | 505.19 | ▲3 |
5 | J | 과탐 | 504.75 | ▼4 |
--- | --- | --- | --- | --- |
6 | I | 사탐 | 502.42 | ▲4 |
7 | B | 과탐 | 501.47 | ▼4 |
8 | F | 과탐 | 501.32 | ▼4 |
9 | H | 과1사1 | 500.94 | - |
10 | E | 과탐 | 500.00 | ▼4 |
순위에 대격변이 일어났습니다. 원래대로라면 다른 대학에 합격했을 J학생마저 합격선 끝자락으로 밀려나고, 과탐 응시자들은 사실상 지원이 무의미해졌습니다. 반면 준수한 사탐 성적을 가졌던 D학생은 무난히 최초 합격하며, 10위였던 I학생마저 합격권에 진입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어떤 결과를 낳을까요?
추가 합격 감소: 타 대학으로 빠져나갈 이과생 대신 서강대에만 합격 가능한 문과생들이 대거 합격하면서 이탈자가 줄어듭니다. 학생 I처럼 타 대학 합격은 불투명하지만 서강대만은 합격 가능한 ‘충성도 높은’ 지원자 풀이 형성됩니다. 동 급간은 커녕 경희대학교도 붙을지 모를 I와 같은 학생이 서강대만 합격이 가능한 상황이 펼쳐지고 서강대에 무조건 붙어야하는 인원이 늘어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무모한 지원보다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인원이 많아집니다. 서강대 떨어지면? 바로 외대, 건대.. 안정적으로 쓸 수밖에 없습니다.
문과 누백 하락: 기존에 문과 상위 1.4% 학생까지 합격하던 학과가, 이제는 이과생이 빠져나간 자리를 문과생이 채우며 상위 2.0% 이하까지 합격하게 됩니다. 이는 ‘문과 몇 등까지 서강대에 갈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누백의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3. 변수 적용 ②: 과탐 가산점 3% 부여
반대로 총장님이 R관(공대 건물입니다) 부흥을 위해 과탐에 3% 가산점을 부여하는 경우입니다.
순위 | 학생 | 탐구유형 | 최종점수 | 순위변동 |
1 | J | 과탐 | 507.23 | - |
2 | G | 과1사1 | 504.53 | - |
3 | B | 과탐 | 503.79 | - |
4 | F | 과탐 | 503.64 | - |
5 | E | 과탐 | 502.34 | ▲1 |
--- | --- | --- | --- | --- |
6 | C | 사탐 | 500.38 | ▼1 |
7 | A | 사탐 | 499.92 | - |
8 | D | 사탐 | 499.84 | - |
9 | H | 과1사1 | 499.55 | - |
10 | I | 사탐 | 497.01 | - |
변화가 크지 않아 보이지만, 5위와 6위의 점수 차가 2점 가까이 벌어진 것은 매우 유의미한 결과입니다. 이 경우 서강대학교를 합격할 점수의 사탐 응시자는 넉넉히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인문계 합격이 가능하기에 사실상 서강대 지원을 포기하게 됩니다.
문과 누백 상승: 문과 상위 1.4% 학생이 가던 학과에 이과생이 더 많이 합격하게 되면서, '실질적으로 문과생이 지원하느냐와 별개로' 합격할 수 있는 문과생은 상위 1.0% 언저리로 올라갑니다. 이는 입결표 상의 누백 상승으로 나타납니다.
4. 변수 적용 ③: 영어 등급 간 3점 감점
세계화 시대를 맞아 총장님이 글로벌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등급당 감점 폭을 3점으로 늘린 경우입니다.
(기존: 2등급 -0.5점, 3등급 -1.5점)
순위 | 학생 | 영어등급 | 최종점수 | 순위변동 |
1 | J | 3 | 500.25 | - |
2 | A | 1 | 499.92 | ▲5 |
3 | D | 1 | 499.84 | ▲5 |
4 | B | 2 | 498.97 | ▼1 |
5 | F | 2 | 498.82 | ▼1 |
--- | --- | --- | --- | --- |
6 | G | 3 | 498.74 | ▼4 |
7 | H | 1 | 498.32 | ▲2 |
8 | I | 1 | 497.01 | ▲2 |
9 | C | 3 | 495.88 | ▼4 |
10 | E | 3 | 495.50 | ▼4 |
다시 한번 순위가 요동칩니다. 압도적 1위였던 J학생은 점수 차가 크게 줄었고, 영어 1등급을 받은 A, D 학생은 순위가 5단계나 급등했습니다.
누백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으로 영어 반영 비중이 크면 지원자 풀이 줄어 누백에 불리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주변 대학들의 영어 감점 폭이 작은 경우가 많기에, 오히려 서강대만의 독자적인 지원자 풀을 확보해 상위 대학으로의 이탈을 막고 추가 합격을 줄일 가능성 역시 있습니다. 그 효과는 해당 연도 수능의 영어 1등급 비율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므로 복합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5. 변수 적용 ④: 한국사 등급 간 3점 감점
사학과 출신 새 총장님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며 한국사 등급당 감점을 3점으로 대폭 확대한 경우입니다.
순위 | 학생 | 한국사등급 | 최종점수 | 순위변동 |
1 | G | 1 | 503.24 | ▲1 |
2 | B | 1 | 501.47 | ▲1 |
3 | E | 1 | 500.00 | ▲3 |
4 | J | 3 | 498.75 | ▼3 |
5 | H | 1 | 498.32 | ▲4 |
--- | --- | --- | --- | --- |
6 | A | 2 | 496.92 | ▲1 |
7 | D | 2 | 496.84 | ▲1 |
8 | F | 3 | 495.32 | ▼4 |
9 | C | 3 | 494.38 | ▼4 |
10 | I | 2 | 494.01 | - |
이 역시 극단적인 예시이지만, 순위 변동이 매우 큽니다. 한국사 1등급 학생들은 다른 과목의 불리함을 만회하며 합격하고,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큰 핸디캡을 안게 됩니다. 주변 급간 대학들은 모두 한국사를 이렇게 반영할 일이 없기에 상위 대학으로 빠지는 최초합 인원은 적어지고, 동 급간 다른 대학을 붙지 못하지만 서강대에는 지원해볼 만한 서강대식 인재가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
다만, 한국사 1등급의 경우 1등급 비율이 평이하게 나온다면 서강대학교에 진학할 정도에는 해당하는 인원이 많을 것이기에 입결 상승 폭이 미미할 수 있고, 반대로 한국사 2등급 이하가 서강대 지원을 꺼려 이전보다 지원자 풀이 부족해지게 된다면 추가합격이 돌면 펑크가 나는 역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이 전형은 소위 ‘변태 전형’이라 불리며, 입결 상승을 유도하는 전략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결론: ‘변태 전형’은 왜 입결을 상승시키는가?
그렇다면 독특한 전형, 즉 '변태 전형'은 어떻게 입결(누백) 상승을 이끌어낼까요?
핵심은 ‘주변 대학과의 반영비 유사도’에 있습니다.
가령 서울대학교가 갑자기 수능 대신 마라톤 성적 100%로 학생을 선발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수능 성적과 마라톤 실력의 연관성은 거의 없으므로, 마라톤을 잘하는 학생들은 다른 의대나 메디컬 학과에 중복 합격할 가능성이 없습니다. 그들은 오직 서울대에만 지원하고 합격할 것이며, 추가 합격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 결과 서울대의 입결 순위(누백)는 극적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처럼 특정 대학이 주변 경쟁 대학과 다른 독특한 전형을 만들면, ‘오직 이 대학에만 최적화된’ 충성도 높은 지원자들을 확보하게 됩니다. 이들은 다른 대학으로 이탈할 가능성이 낮아 추가 합격이 줄고, 최초 합격자들이 그대로 등록하면서 해당 대학의 누백 순위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상승하는 효과를 낳습니다.
결론적으로, 누적 백분위라는 개념 자체는 단순하지만 그것이 실제 입시에서 작동하고 결과를 만들어내는 양상은 이처럼 매우 복잡하고 다층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6 크럭스(CRUX) 수시 컨설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등급 4% 2등급 7% 이렇게
-
강대 x 1회 0
이거 난이도가 어느 정도 될까요? 푸신 분 계실까요?
-
흠냐
-
재산+소득을 소득인정액으로 산정해서함
-
근데 애니는 본적이 없음…수능 끝나고 볼까 고민중
-
벌써부터 기대만땅
-
무묵지 2
점심은 많이먹엇으니 그냥 연어포케 무글가..
-
공부가 잘 안 잡혀요
-
배기범 과년도 모고 모음집 풀었는데 1회차 10분 넘게 남네 더프 34점이었는데 ㅋㅋㅋㅋ
-
전 존나 띠껍고 예민한 사람이라 잘 모르겠는데
-
하나같이 욕심들이 가득해
-
뉴런 수강대상? 1
뉴런 수강 대상이 어느정도 인가요? 고2가 이해하기 쉽게 부탁드려요...
-
사문 사회불평등 0
기능론은 객관적 기준이 존재하는데 왜 직업 유형 간 사회적 중요도의 우위를...
-
요즘 매일 무제풀고 강평업 독서, 우기분 나오면 다 할 예정인데 끼워서 푸는게...
-
라고 생각했던 저 반성합니다.. 어제 무한성보고 유포터블 갓을 외쳤습니다.. 작화가...
-
학원에서 응시하는데 6/9평 때 모의고사 시험지 회수하나요?
-
우흫 6
우흫흫
-
저는 고2고 내년에 고3 되는 08년생입니다 수능이 약 1년 3개월 정도 남았고...
-
8덮 물2생2 2등급컷이 33점 30점 이게 시험지냐!!
-
결혼하고 싶다 4
우선 연애부터
-
오늘은 술멋방 1
드가자
-
좌표는 마지막 계산에서만 활용한다는 내 원칙...
-
갠적으론 작년 9평이 가장 어려운 시험지라고 생각함? 4
난이도 말하는거 아님.. 88점 받고 3등급 나오는 시험지니까 등급받기 어려운거...
-
속보임
-
생각보다 0
잊논 그렇게 어려운 건 아니였구나 이제 헤겔이랑 에이어 뚫어봐야겠다
-
작년에 원서접수 놓친 사람 생각나서 글 찾아봤는데 다른 댓글들도 정상 아닌 사람...
-
너무 멀다
-
우리대학만 해도 가구소득 약 상위 10프로이상 9분위, 10분위가 절반정도 되고...
-
초반 시즌은 다 1등급 안정으로 나왔는데 이번 6-2 81점으로 개박음 근데...
-
화상과외인데 그냥 누워서 벅벅하고 싶네 아
-
망토가 프랑스어임...ㄷㄷㄷ
-
충전 밤에 풀로 해 줬는데 자꾸 깜빡깜빡거려서 계속 충전해 줘야 됨....
-
아니면 비슷하게 내요??
-
뭐가 더 퀄 좋았음? 9평 전에 풀어보려고
-
저녁 2
우흥
-
자체 풀모 점수 1
98 97 97 99 설경 되는 백분위임요?
-
저녁메뉴추천좀
-
으아아ㅐㅏ애ㅡ 5
아으아라이아으내나ㅓㅡ니ㅏㅏㅏㅜ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서울과기대는 옛날 산업대 시절이 진짜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0
2011년인가 12년에 일반대로 전환되기 전에는 산업대 시절이라학비가 진짜...
-
220922인데 해설 세 번은 봐야 이해될듯 f(x)에서 f(x-3)으로 평행이동...
-
진짜 가지담은 3
볼 때마다 울컥하게 됨. 가지가 수험생이고 담이 수능이라는 거잖아. 거세게 내리는...
-
맛도리 ㅇㅈ 1
-
수능 접수 깜빡해서 1년 더 한 사람이 있었데요
-
뉴런, 아이디어 둘다 들어보신분 상담 부탁드려요 쪽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
-
돈 아깝다 함 가능성 ㄹㅇ 빵프로고 중경외시나 쓰래 눈물난다
-
화학 양적관계 생명 유전이 불닭이라 치면 도표는 어느정도 되나욤ㅇㅅㅇ
-
작년 오르비에 6
원서 접수 깜빡한 사람 있었나
-
꿈에서 예전여친한테 전화해뿌노 ㅋㅋㅋㅋ
크럭스 들어가셨구나 ㄷㄷ
글 되게 재미있네요 ㅋㅋ 대종혁
마라톤전형 ㅈㄴ웃기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