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다다다다 [532398] · MS 2014 · 쪽지

2016-01-03 00:41:41
조회수 6,928

고려대 전전전(전전) 졸업자입니다. 질문 해 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6661

입결은 현역 분들이 더 잘 아실 것 같구요~


전기, 전자, 통신, 네트워크 전망이나 요새 트랜드 알려드릴 수 있어요.

질문 해 주세요.

늦게라도 대답 해 드릴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성시경 · 539695 · 16/01/03 00:44 · MS 2014

    고대는 그냥 기업 취업, 공무원시험,변리사, 공기업, 대학원, 교수하러 유학.
    등등 진로에서 인원 비율이 어떻게 되나요?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3 00:51 · MS 2014

    기본 30~50프로는 대학원을 진학합니다. 그 중 80퍼센트가 자대 대학원을 가고요.
    7급 공무원 시험을 보는 사람은 0에 가깝고, 5급 행정고시 기술직이나 변리사 시험 보는 사람 학번당 10명 내외로 있습니다.
    유학을 가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지만 실제 스탠퍼드등 명문대로 유학 가는 사람은 학번당 1명입니다. 그 사람이 교수가 되겠죠?
    나머지는 싹다 삼성, 현대, sk, lg등 대기업으로 갑니다. 취직이 비교적 잘되서..
    가끔 의전을 준비한다거나 대학에 말뚝을 박기도 합니다..

  • 성시경 · 539695 · 16/01/03 00:56 · MS 2014

    그러면 본인은
    1. 좋은 대기업vs좋은 공기업
    2. 대학원후 취업vs그냥취업
    혹은 5급공vs공기업vs대기업
    어떤게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취업에대해 잘 아실거 같아서요. 개인기호일수 있으니 가볍게 대답해주셔도 되요.)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3 01:04 · MS 2014

    연봉이
    대학원 후 사기업>>대학원 후 공기업>=(학부 졸)좋은 대기업>(학부 졸)좋은 공기업=5급공 입니다. 그치만 공기업이나 공무원은 철밥통이죠..
    저는 연봉이 중요해서 연봉 순으로 선호 합니다.

    best는 대학원 후 해외취업이죠 거의 불가능에 가깝지만.

  • 성시경 · 539695 · 16/01/03 01:05 · MS 2014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미래에대한 고민이 많았는데 도움이 많이 되겠습니다.^^ㅎㅎ

  • gGUTlNX1rBanFx · 633435 · 16/01/03 02:28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크라잉넛 · 628268 · 16/01/03 00:44 · MS 2015

    민자기숙사어때요??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3 00:53 · MS 2014

    고대 기숙사는 성북구 주민들의 반발 때문에 확충이 안되서 자리가 매우 부족합니다.
    그래서 대학원생은 기숙사 혜택을 아예 못 받고, 학부생들도 경기권 바깥에 있어야 기숙사 신청이 가능 합니다.
    보통 자취나 하숙을 하는데 거주 비용만 월 50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 니나니나니나니나노 · 611313 · 16/01/03 00:46 · MS 2015

    기술고시5급하고 변리사시험 통과하기 많이 어렵나요?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3 00:56 · MS 2014

    보통 시험 준비 기간 3~5년 잡습니다. 하면 되긴 하나봅니다.
    (군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이 되기 때문에 저 정도 투자 해도 큰 risk는 아닌가 봅니다.)

    운이 좋아 1년만에 붙는 사람도 간혹 있습니다.
    난이도는 시험 준비 해 보지 않아서 알 수가 없네요ㅋㅋ

  • 니나니나니나니나노 · 611313 · 16/01/03 00:58 · MS 2015

    어려워보이네요ㅠ

  • 니나니나니나니나노 · 611313 · 16/01/03 01:07 · MS 2015

    공기업 들어가는게 사기업들어가는거 보다 어렵나요? 그렇다면 어느 정도인지요?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3 01:15 · MS 2014

    사기업은 대기업 말씀하시는 거겠죠?
    삼성전자, 현대차 들어가는거나 한전들어가는거나 거의 똑같이 힘듭니다.
    한 6개월 1년 취업 준비 열심히 하셔야 되죠.

  • 오호아하 · 577524 · 16/01/03 00:50 · MS 2015

    금융권진출에도유리한가요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3 00:58 · MS 2014

    간혹가다 은행이나 회계법인으로 취직하시는 분들 보긴 하는데,
    굉장히 특히 케이스에 불과하고,
    보통 경제학이나 기술경영 경제학의 분야에서 석사 이상의 학위를 받고 진학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오호아하 · 577524 · 16/01/03 01:04 · MS 2015

    흠 그렇다면 뜬금없지만 컴공과 비교했을때 전자가 상위호환이라고 볼수있을까요?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3 01:11 · MS 2014

    흠...
    상위호환까지는 아니지만
    average를 비교했을 때 전자과가 연봉이 좀 더 높은 정도로 좋습니다.

    그러나 컴공 10000명중에 1명은 자기 사업을 해서 대박이 나죠.
    전자과는 그런 건 좀 힘듭니다ㅋ

  • 오호아하 · 577524 · 16/01/03 01:23 · MS 2015

    아그러쿤요! 저는 작성자분의 비전을 듣구싶은데 혹시 들려주실수 있는지...!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9 15:18 · MS 2014

    저는 빨리 졸업하는게 목표에요 ㅋㅋ

  • lsjpjs1 · 551034 · 16/01/03 00:53 · MS 2015

    공대 대학원 자교 학생 많이 뽑나요?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3 01:00 · MS 2014

    음...
    자교 학생을 많이 뽑으려면 자교 학생이 많이 지원해야 겠죠?
    엄청 좋은 연구실이 아닌 한 자대생은 웬만해선 합격시켜줍니다.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40퍼센트 정도의 학부 재학생이 자대 대학원을 진학합니다.

  • 로또 · 623932 · 16/01/03 08:02 · MS 2015

    군대 문제는 어케 해결들 하시나요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9 15:12 · MS 2014

    2학년 끝나고 갔다 오거나, 전문 연구요원 등으로 해결합니다

  • 중력파차폐 · 525866 · 16/01/03 09:44 · MS 2014

    서포카 못 가는 사람이나 자대 대학원가죠.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9 15:11 · MS 2014

    학부나 순위가 있지 대학원은 자기 연구 역량이나 피 인용횟수 등으로 평가되요ㅋ

    댓글 쓰신 분은 아직 90년대 학벌 주의에서 못 벗어나신 것 같네요

  • 인형 · 594481 · 16/01/03 10:40 · MS 2015

    안녕하세요. 요번에 고전전 입학예정인 학생입니다. 질문드리겟습니다. 1. 요즘 취업시장은 어떻나요?? 삼성,현대등 대기업 취직이 잘 되나요? 2. 공대는 보통 학부만 졸업하고 취직한다고 알고잇엇는데 아닌가요? 대학원이면 석박사 모두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그러고나서 취직을 더 많이하나요? 또 봉급에는 얼마나 차이가 잇는지요?? 3. 혹시 해외기업가는 케이스가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잇을까요?? 학부 졸업만으로는 해외기업 취직이 아에 안되나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9 15:15 · MS 2014

    1. 대기업 취직은 잘 됩니다.

    2. 학부 졸업 해도 전반적으로 알지 자기 전공이 없어서 사업부 등으로 발령 되는데
    대기업에서 연봉도 상대적으로 높고 일도 편한 연구직으로 가기 위해 대학원 가거나 아니면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큰 뜻이 있어 가기도 하지요

    3. 학부 졸업 해서 해외 취직은 안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해외 기업의 한국 지사 말고 해외로 바로 취직) 한국 대학이 세계에서 인정을 받기 힘들기 때문에 우리나라 지방대 인문계에서 대기업 취직하는 거랑 공대 대학원 졸업하고 해외 취직 하는거랑 비교하면 알맞을 것 같네요.

  • 인형 · 594481 · 16/01/09 15:29 · MS 2015

    답변감사합니다. 기숙사에 관해서 또 질문이 잇습니다. 1학년때는 잘 모르겟고 2학년때부터는 성적순으로 기숙사신청이 가능하다고 알고있는데요, 학점이 어느정도 되야하나 궁금합니다

  • 의경가자 · 456744 · 16/01/03 13:46 · MS 2017

    5공졸업자랑 차별이 있나요?

  • 우다다다다 · 532398 · 16/01/09 15:17 · MS 2014

    5공이 뭔지 잘 모르겠네요

    타 공대 말씀하시는 거면 그냥 자기 하기 나름입니다.

    요새 학계에선 표면적으로 학부 어디 졸업했냐로 무시하는 사람 거의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