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수학 92점이 뛰어난학생이 아닌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62220
흠..(진짜모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피해복구를 위한 모금은 여기로
-
네.
-
선택받은 아이들이었다 디지몬 어드벤처는 명작이다 포켓몬 따위는 비빌 수 없는...
-
머냐
-
평가원이 감못잡고 뻘짓하다가 1~2년만에 다시 회귀하는거 이거 가능한가
-
잠안와서왔는데 4
사람많네
-
곤약을 드세요
-
고작 180이라니.... 너무 작아
-
소설 주제는 꿈
-
자퇴서 0
반수성공해서 학과사무실에 자퇴서 내는 스토리 올리고싶다 캬캬
-
진짜로? 그정도라고?
-
ㅈㄱㄴ
-
. 5
인생게임 아빠와 딸 감옥탈출 싱하형의 굴다리 탈출 버섯캐기 시장놀이 쿠쿠쿠 무한으로...
-
민지야 4
오르비에 있는 음해 세력들 내가 다 쳐낼게
그냥 먹금 ㄱㄱ
ㅇㄷ?
먼떡밥임
뛰어나다의 기준 사람마다 다름
객관적으로 보면 92점은 뛰어나죠.
그런 학생들을 폄하한건 아녔음요.
근데 남은 2개의 고난도 문항을 뚫어내는 사고력을 가진 학생들과 비교했을때는 지능의 격차가 상당히 느껴지는 구간이
92/96/100 요쪽이라고 생각해서 남긴 댓글이긴 함요.
백분위 99가 왜 못한거임.
근데 극상위권과 최상위권은 엄연히 구분해야한다는게 제 생각이에용
전부터 궁금했는데 한자를 보면 극이 최보다 더 뛰어나다는 근거가 없어보이는데 왜 사람들은 극상이 최상보다 하이레벨이라 생각하는지?
최고로 잘한다 vs 어느 수준의 극에 달했다
저도 관습적으로 사용해왔던 말이긴 한데..
'극'이라는 말이 조금 더 샤프한 느낌이 있지 않나요?? 뭔가 천외천 느낌..
뭔가 빨간맛 -> 귀여운데
붉은맛 -> 혁명가스러운..
언어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느낌에서 오는 차이가 아닐까 싶네요.
오해가 있었네요
92 96 100 격차는 저도 동의하는 바입니다

동네에서 가장 잘하는 학생 과 전국에서 손에 꼽히는 수재의 차이..?둘 다 뛰어난 학생들이라고 생각해요잉
전자가 모인 학교가 우리학교라고 생각들어 자부심 넘치기도 하구요 ^__^
100-96-92 차이(현실버전): 분명 다 풀었는데 2잘못 곱하고, 수열에서 가지치기 한 개 안 해서 실수틀
수능때는 잘하실꺼에요~
맞긴해..
이과 기준으로는 그냥 상위 4%라서 뛰어나다고 하긴 좀 뭐한데.. 그냥 잘하는 학생 정도라고 생각함
아이큐도 고지능을 보통 상위 2%부터 잡으니까
92점이 백분위 96이었던 시험은 별로 없지 않았나요
보통 84 정도 1컷 뜨는 시험지가 자연계 1컷 92점 정도일 거라고 보긴 합니다
아하 미적사탐도 포함이군요
그것도 그런데 저는 옛날처럼 진짜 자연계를 대략 전체 인원 1/3 정도 나올 거라고 생각하고 잡았어요
아하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