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량 많은 지문은 어떻게해야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40724
그읽그풀 중인데 이번 7모 콘크리트 지문 읽으면서 머리 깨지는줄 알았네요
하나 이해하면 다른정보가 나오고 또나오고
그냥 연결지으면서 이해하는 수밖에 없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가 n제 풀다보니까 실력 오른건가 15번 b=0 b=/0 아닐때 나눠서 푸는건데...
-
ㅈㄱㄴ임 고2인데 수1 수2도 똑같은 방법으로 했었는데 생각보다 할만해서.. 미적은...
-
교수님으로 대뷔하시는건가요
-
기존에 있는 선택과목 강사들 죄다 어케 되는거임
-
한지vs생윤 0
생윤 개념은 다 했고 개념 절반만 한 상태에서 6모 봤을 때 28점?29점 정도...
-
Oz기출 할 때 틀린 문제 똑같은 이유로 자이 풀 때도 틀림
-
뭐가 더 어려움?? 이해원 미적 끝냈는데 4규 할까 아님 드릴(드) 할까
-
유일한 만점에 지린다 ㄷㄷ 강사가 이래야 신뢰가 가지 영상봣는데 작수 만점 ㄷㄷ...
-
근데 중중중휘 4
피뎊 왜 쓴거임? 돈 전부 지원해줘서 책 다 사도 되잖아 그냥 윤현수는 실물교재...
-
다시 생각해보니까 건대도 나쁘지 않은거같다….
-
권오을 "북한 정권 참여 안 했으면 사회주의 계열도 보상해야" 7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는 오늘(15일) "사회주의 계열에 계셨던 분들이...
-
이거 몇번 예상하심 2025 난이도 확통 수준이면
-
언매런 3
본인 화작 선택자인데 화작 기출 5개년치 5~6번씩이나 한 세트로 푸는데도 실력이...
-
수리논술로 점수를 얼마나 받아야 합격할 수 있는지 감이 안오시는 분들이 꽤 있을거라...
-
이제 고등학교 1/6한 응애긴 하지만 모고 수학 빼고 다 1이고 수학은 높3이고...
-
왜냐면 이제부터...
-
너의 맥주는? 9
무엇인것이냐
-
착하게 정시할개요 자퇴할게요 자 퇴햇으면 얼마나 행복했을까? 바로 자퇴햇다면 ……...
-
라이트한 강의치고는 교재비가 비싸네요 그리고 필기 공간이랑 문제 딸랑 있던데...
-
통계 있나요?
-
덕코 자동 사냥 개꿀
-
내일 더프라 일찍 왔어용
-
나는 똥싸면 좋던데
-
시끄럽게 느껴지고 모든거에 예민해지고 인생이 재미가 없어짐 무력하다
-
태어나길 하남자로 태어나서 사탐런은 차마 못하겠다...괜히 남들따라갔다가...
-
어쩔건데 오라 달콤한 6광탈이여………….
-
어땠음? 고2때 이 문제 처음보고 아 수능은 이런거구나.. 하고 충격 먹었었음 ㅋㅋㅋ
-
6모 생1 42점 백분위랑 표점이 어케 되나유
-
언제나옴
-
언제 2기 나왔대
-
수학 김윤재t 들어보세요 진짜 오늘 처음 들었는데 너무 좋은듯.. 처음에 강의...
-
일단 내가 한참 안보이면 뒤졌거나 실종된거임
-
형님들 고2 여름방학 뭘 해야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0
우선 2학년 1학기 최종 내신은 1.7로 마무리했고... 내신에 비해 모고 점수가...
-
저번주까지 상태 정말 괜찮았는데… 아 저번주가 이상상태고 이제야 정상화된건가… ㅋ
-
꼭 1맞아야되는데 영어누가좋을까요?
-
231122가 내가 푸러본것중에 젤 어려운듯??
-
12121 0
좌우대칭 성적 씨발 ~~~~~~~~~~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하……
-
정도였지?
-
틀딱들이 피는 이유가 있었노 흡
-
웰컴키트 왜안줌? 권현석 마스크 벗기기 ㄱ? 깜장마스크 강대생들 모여봐요 K반이면 더좋고
-
못버티겠다 시 발 ㅠㅠㅠ. 이개좆반고 탈출 언제하지 ㅜㅜㅜㅜㅜㅜㅜㅜ
-
기하 실전개념 1
뉴런 VS 프로메테우스 현재 병호쌤 토탈리콜 현강듣는중이긴 함
-
최근 글 싹 민 거 같은데
-
전부 수학에 박고 있는데 뭔가 그냥 계획대로 잘 안되네ㅠㅠㅠㅠㅠ
-
아... 저능한 통통이로써 너무어려운데..
-
공도 가형 기출 4
겉보기 난이도 문제 이것도 요즘 내면 정답률 꽤 떨어질듯 츄라이 츄라이
-
기존보다 더 많은 시간을 들인다. 이게 가장 직관적인 방법임 시간을 고정한 상태로...
-
다른거는 할만한데 중복조합이 왜케 어렵죠 이거
-
15번이나 22번이나 미적 28 29 30 모음집 이런거
이해로 갈지 처리로 갈지 조절하며 가보세요.
그 정보의 정리는 결국 글이 쓰여진 구조를 기반으로 정리해 넣는거라 구조를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그읽그풀과 구조독해를 두 개를 같이 쓰세요.
안그래도 그일끄풀만으로 한계를 느껴서 구조독해를 첨가를 해야할까요 ㅠㅠ
약간 뭐라고 해야하지
그냥 읽기를 한 다음에,
읽고나서 남는 그 정보들을 글이 제시한대로 혹은 머리속에 정리하기 좋게 가져가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구조(도식)가 사용되는거고요.
저걸 글을 다 읽고 머릿속으로 정리를 하는건가요..?
저걸 다 한다기 보다는 굵직 굵직한 개념어만 가져가고
문제에서 물어볼 때, 바로 판단하고 넘어갈지 아니면 돌아가서 확인할 지를 판단하는거죠
저는 한문단 다읽고 다음문단 읽으면 그전문단 내용이 키워드 보기전에는 기억도 잘 안나는데 과연 제가 저걸 할수있을까요 ㅠ
다 할 필요는 없습니다. 쉽지 않을 거고요.
할 수 있을 정도만 하면 됩니다.
어느 구간 어디에 이 정보가 있었으니 이 세부정보는 돌아가서 확인해야징
이정도죠.
감사합니다 ㅠㅠ
저런 것에 대해서 조만간 글을 올릴거라
팔로우 해두시면 조만간에 받아보실 수 있어요..
문단을 읽으면서 그리신 도식을 머릿속으로 그려본다는 뜻이신건가요?
이거이거 스키마잖아?
팔로우하겟습니다 ㅎㅎ
머리속으로 그려지면 하면 되고 안된다면 각 문단에서 주요 개념들만 기억하고 문제로 가는겁니다. 문제에서 세부정보를 묻는다면 그때, 이게 어디에 있었더라 하고 위치를 떠올린 후, 지문으로 복귀, 그리고 세부내용을 확인한 후에, 다시 문제로 와서 판단하는거죠.
모든 선지를 이렇게 해서는 안되고, 읽고나서 바로 판단할 수 있는 큼직한 선지는 바로 털어야 합니다. 그게 안되는 선지들은 돌아가는 거죠...
그런데 제가 읽을때는 분명 이해하며 읽었는데 문제에서 보니까 조금 헷갈려서 다시 돌아가서 확인하려고 보니까 이 선지에대한 내용이 어디에 있었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애초에 지문을 읽을때 이해가 얕거나 까먹을거같은 부분은 “이 내용은 이쪽에 있다” 라고 생각을 넘어가는식으로 대처를 해줘야할까요?
넵.
그 요소들은 대부분 개념 두 개가 병렬적으로 제시된 후에 서로 바꿔치기 하거나, B하는 A의 꼴로 정의한 후에 묻는 경우 등등 평가원이 주로 내는 지점에서 나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됐어요
콘크리트 지문에서 굳이 이해해야하는 부분은 1문단에 제시한 인장, 압축이랑 뒤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특징을 상기하면서 추가로 제시되는 개념들이랑 결부하는 부분이 끝이예요
정보량 터지는 지문들은 그냥 그려려니하고 넘어간 다음 문제 풀 때 눈알 굴리는게 더 빠를 수도 있어요. 많은 정보를 한번에 받아들이려고 이해를 가장한 암기를 하진 않으셨는지 피드백 해보세요
말씀하신것도 맞는거같아요 제가 개념이 나오면 의미를 암기하려는 경향이 강한데 이번 콘크리트지문같은 경우엔 생소한 개념이 너무 많이 나와서 이해가 잘 안된채로 계속 읽는데 정보가 계속 튀어나오니까 지문해석이 잘 안됐던것 같네요
혹시 문제풀때 눈알굴리는식으로 풀려고 하는데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보가 지문의 어느부분에 있었는지는 어떨게 아시나요? 그냥 선지에서 키워드를 보면 기억이 나시나요?
전 중요한 부분은 물결표, 이해가 안되서 그냥 확인만 하고 넘어가는 경우는 밑줄로 표시해요. 다른 표기들도 간혹 하는데 이런 것들은 리트 300제 강의에서 이원준T의 표기법을 어느정도 참고했습니다.
읽ㅇㅡ면서 중요한 부분인건 그냥 감으로 아시는건가요?
전 감이라고 생각해요. 철학을 풀 때 학자가 여럿 나오면 비슷하거나 공통된 주장, 상이한 주장에서, 경제 지문에선 인과나 비례, 반비례, 과학 지문에선 A라는 인자가 B를 촉발하거나 상쇄. 이렇게 문제에 나올 법한 포인트들이 있어요. 이건 읽은 텍스트가 많이 축적되어야 느껴지는 부분인 거 같긴 해요
이렇게 기호로 표시할려면 사전에 어떤 문장이나 단어에서 어떤 기호를 쓸 지 꼭 정해놔야해요. 전 현역 시절에 독서 지문 풀 때 무의식적으로 손이 나가서 밑줄을 치거나 동그라미, 네모 박스 치는 버릇을 고쳤어요.
저도 기호는 치고있긴한데 중요한부분에 물결표시 한다고 하셔서 그게 중요한 부분인건 어떻게 아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냥 직감인가요? 중요할것같다는
위에 말씀 드렸듯 문제가 나올 법한 포인트들이 있는데 주로 그쪽에서 기호들을 활용하고 힘을 주면서 더 집중하는 것 같네요.
문제로 나올법한 포인트들을 따로 학습하신거군요
정말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여쭤보자면 그런건 기출을 계속 풀면서 직감을 기르신건가요
아니면 특정 인강에서 이런게 나오면 주목하란걸 알려줘서 체화를 시키신건가요
개인적으로는 지문에 밑줄치는걸로 해결하는 편입니다. 예를들면 특정한 콘크리트 이름이 나오면 거기에 동그라미, 그 콘크리트의 특징엔 밑줄. 이런식으로 최대한 각 개념과 그 핵심적 특징을 컴팩트하게라도 정리하고 가려고 하는 편이네요.
핵심만 챙기고 찾풀 하셔야죠
핵심만챙긴다는게 구체적으로 어떤뜻인가요? 강약을 준다는 말씀이신가요 ㅜㅜ
넴 위에분들이 하시는 말씀이랑 똑같아요. 중요한 정보는 확실히 챙기고 덜 중요한건 그렇구나 정도만 하는거죠
그런건 어디서 배울수 있을까요? 결국은 인강인가요? 김동욱으로 태도만 잡고 독학하는 중인데 동욱쌤은 강약주는법은 안알려주시더라구요
저는 강민철 강의 듣고 배우긴 했어요. 요즘은 독학서도 잘 되어있으니 꼭 인강 들을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독학서 하나만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전 국일만 읽었었습니다
밑줄 네모를 벅벅
답글이 5개 이상 안 달리네요
++ 따로 학습한 적은 없고 현역, 대입 후 리트 준비, 반수하면서 읽은 텍스트 양이 비교적 많아서 무의식적으로 저렇게 접근하는 것 같네요.
기출은 이미 여러번 봤고 이런 직감이나 스키마, 피지컬(체급)은 인강으로는 얻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기출이든 사설이든 머리 박으면서 계속 읽으면서 텍스트 양을 축적하는게 중요한 듯 싶네요. 사람들이 사설 지문은 평가원스럽지 않다. 어쩐다 하는데 결국 체급이나 피지컬을 키우면 어떤 지문이든 뚫을 수 있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저는 독서 인강은 본 적이 한번도 없어요. 문학은 이번에 김상훈t 커리큘럼 조금 따라가려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