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그래프... 좋아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32653
역사상 유일했고, 다신 없을
이과보다 어려운 문과 시험지
17년 9월 모의평가
30번과 함께 그 원흉 중 하나인 21번
지오제브라를 활용하시어
그래프를 통해 어떻게든 문돌이들을 납득시키려는 노력이 9년이 지난 지금도 느껴지는데
저는 안타깝게도 지오제브라를 쓸 줄 몰라
좀 다른 그래프를 도입해서 풀어볼까 합니다
문제의 상황을 보면 우리가 대소를 비교해야 하는 두 식이 정확히 같은 인수를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인수가 같다면 대소비교에서 나눠버리는게 식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마침 P가 실수 전체에 대해서 0 이상이라 부등호의 방향도 변하지 않으니 아예 나눠버립시다
그러면 h는 결국 일차식에서 부호가 바뀌는 형태로 표현되어 1과 비교하기 쉬운 형태가 됐네요
안 되는 케이스 미리 쳐내고
뭔가 주절주절 써놨는데 결국은
h가 1을 통과하는 상황에서는 h의 기울기가 0이 되어 삼중근을 갖는 삼차함수마냥 매끄럽게 통과해야 하는데
h는 일차식의 일부이니 그러한 경우는 절대 있을 수 없다
가 되겠습니다
그러면 h<=1이어야 하고
Q=x-3에서도 h가 1을 통과하는 경우는 없으니까 1 이상이려면 구간 전체에서 h>=1이어야 하는데
그런 동시에 g가 미분가능할 수 없기에 결국 이 경우에도 h<=1입니다
두 상황을 좀 더 시각적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되어서 Q=x-3일 때가 최대임을 더욱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결국 이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두 식의 대소를 비교할 때 어떤 조작을 가해야 상황을 편하게 파악할 수 있을까
이 문제에서는 두 식이 서로 같은 인수를 공유하니 아예 나눠서 없애버리면 상황이 더 잘 보이지 않을까
와 같은 고민을 할 수 있느냐라고 생각합니다
그래프를 그리더라도 우리가 시험지면에 지오지브라를 띄워둘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종이 위에 우리가 그릴 수 있는 형태로 최대한 상황을 풀어서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결론)
지오제브라 없어도
식 조작만 잘 하면
그래프로 풀린다
0 XDK (+10)
-
10
-
내신 5등급제 시행되자 학교 떠나 지난달 26일 오후 인천 부평구의 한 재수 학원....
-
수능 수학 노베 개념 공수 12 대수 미적분1 시발점으로 수강한다 하면 개념 숙지...
-
세상과의 단절 원하는 사람에게, ‘이렇게’ 얘기해 주세요 [헬스 캘린더] 2
40명. 지난해 매일 한국인 40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0년의 노력이...
-
두 명한테 인기쟁이 ><
-
맨날 야식 먹으니까 뱃살이 뒤룩뒤룩 찌는게 눈에 보이는데 수능 끝나고 운동 열심히...
-
최상위권은 지방의->메쟈의 올리는 정도 노베는 전과목 5등급->인서울 하위권까지...
-
별거 한 것도 없는데 벌써 10시40분 하..
-
여릅아 아무나 사귀자
-
크리스마스 d-100? 11
고백데이 아님? 옯여러분 고백 ㄱㄱㄱㄱㄱㄱ 하고 인증하면 만 덕씩 드림 성공하면 +5 만덕
-
세지 고수 컴온 7
답 5번이라는데 제가 뭔가 잘못 푼 건가요 당연히 3번인줄 알고 맞았다 했는데...
-
시즌1이랑 비교했을때 어떰? 기하도 알려주면 땡큐요..
-
평가원 기출을 참고한 문제입니다. 댓글창에 여러분의 증명과정 및 저 부등호가...
-
이 시기에 기생집 다 돌리는 건 불가능하고,,,, 아이다어랑 병행이라서..
-
언매가 화작보다 표점이나 등급컷 이런건 나음 근데 오히려 그게 문제 0
그걸 다맞을수있는 두뇌가 딸려서 국어를 존나리 잘하는줄암 언어매체 풀고 딱...
-
책 냄새도 진짜 레전드로 좋음 ㅋㅋㅋㅋ 뭔 향수 뿌린줄 내지 디자인도 레전드 그냥...
-
우 2
흥 우 흥 우 흥 우 흥 우 흥 우 흥 우
-
확통 백분위 몇일까요
-
국어매우벼락치기하는중
-
국수든 국밥이든 2
국물 다 먹으면 안 되는듯 물배 차서 배 엄청 부르고 더부룩함 나트륨도 엄청 많이 먹게 되고
-
수학 질문 7
f(x)= x(x-3)² (x=t) t에서 연속 되도록 하는 서로다른 모든 t의...
-
힝 0
좋아요를 안누르다니 길가다 새똥맞아라
-
ㄹㅈㄷㄱㅁ 3
따끈따끈한 가래떡+꿀
-
수면패턴이 안정됨ㅋㅋㅋ
-
은근 충격적인 문제들 많음 한국지리 세계지리에 비하면 쉽긴 해도 나라 이름, 지역...
-
누르지말라고!! 오랜만에 메인?ㅎㅎ
-
난독서개못한단말이야~
-
혼자갈거임 남자인데 먼곳도 노 상관 일본 제외
-
* **님 정말 그러시면 안되는 거죠~ 어떻게 오르비에다가 밥 빨리 못먹으면...
-
심야 맞팔구인 2
ㅈㄱㄴ
-
연속 아님
-
그런 느낌이잔아 그치
-
노베가 아니라서 공부 효율 최대로 뽑아 낼 수 있고 최상위권이 아니라서 운에 크게...
-
똥 4
저녁똥
-
ㅈㄱㄴ
-
망갤테스트 6
-
ㅎ 4
ㅎㅎㅎㅎㅎ
-
집가서뭐처먹을지추천받음 10
ㄱㄱ
-
우왓ㅡㅡ; 7
몽글몽글.ㅡㅅㅡa;;
-
오느레 야식 2
햄치즈는 오면서 먹었다네요
-
수열 관련 질문 3
근데요 22번이 지로함으로 나온다고 가정을 하면 기존 귀납수열이 갈 곳은 9모처럼...
-
이 노트 하나로 작년 수능부터 올해 본 모의고사 전부 1임 작수 42 3덮 47...
-
그 분 어디갔지 1
덕코 커미션으로 그림 그려주던분 안보이네
-
잭팟이에요! 2
으흐흐
-
생명2컷 7
윤도영이 옛날에 말했던 2맞는거(할만한거다풀고 유전찍기) 아직도 통하나요?...
-
안먹어서 그럼
-
전과목 합쳐서 구라안치고 200은 넘을듯
-
뻘글의 에너지 소모량이 생각보다 큰 듯
-
옯스타로 오십쇼,,
-
한회당 9천원~만원이 말이되냐.. 진짜 과탐실모는 안풀수가없는데..
조은글 감사합니다
결국 난도가 높아질수록 기하와 식 사이의 유연한 선택이 중요해지는 것 같긴 함요
미적도 201120같은게 그런 점에서 비슷한듯도
특히나 수능에선 더더욱 중요한 것이 기하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식으로만 밀면 굉장히 곤란해지는 상황이 왕왕 출제되기에
이때 현장에서 30번 틀리고 나형96이었는데 문제를 보니 또 옛날 생각이 나네요 21번 저거 지금 봐도 난이도 상당하네
30번 전설의 사각형 빙글빙글…
진짜 저 시험지 무슨 생각으로 냈을까요
....? 몇학번이세요? 저게 거의 10년된 문제인거 같은데?
와 이걸 일차로 쪼개네
오르비식 표현으로 제법 맛있게 풀수있달까
맛없는 문제를요
근데 저렇게 바꿔서 생각하는 발상이나 아이디어가
현장에서 쉬울까 싶네요 아마 이과도 좀 막힐텐데
레오님은 어떻게 장착하신건지....
약간 발상법이 습관이 되어야 현장에서도 나올거 같거든요
저도 뭐 이과출신이라 저 문제 현장에서 푼 적 없고, 초견 풀이로 저러기도 힘들 거 같은데
기출 풀면서 항상 생각해보는거죠
내 풀이 좀 짜치는데? 좀 더 말끔한 풀이 없나? 이렇게요
혹시 올림피아드나 뭐 이런 수학쪽으로 파보신 적 있었나요?
없습니다…
그냥 쎈 풀고 기출풀고 모의고사 풀고
요새 본고사 건드리다보니 저런 사고가 좀 트이는 거 같네요
경기고 Latte들에게 동경대랑 교토대가 진국이라 들었습니다
내선일체로 본고사보던 시절…
근데 본고사는 되게 웃긴 점이 학교 급간이랑 문제 수준이 비례를 안 합니다
가끔 어디 잡대에서 별 희안한 거 쾅 박아서 애들 제초하더군요
본고사 시절 서울대가 가졌던 변태부심이 “우리가 전국에서 제일 어려워야한다”였다고 하더군요 ㅋㅋㅋㅋ
사실 높은 급간 변별하려면 어려워야 하는게 맞긴 한데(동대랑 동경공대 둘 다 시간은 150분인데 동대는 6문제 동공은 4문제 풉니다)
그런 서울대가 지금은 참 ㅋㅋ….
이거 진짜어려운데 오래된문제라그런지 언급이안됨...
ㄹㅇ 지금 22번에 박아도 헉소리 날 문제
해설에서조차 대부분 ^0 2 3 미분계수딸깍^ 하고 끝내니 언급없는게 더한듯
사실 이런 문제에서 왜 이건 되고 이건 안 되는지 생각해보는게 중요한데 말이죠
처음 볼때는 에이 쉽네 했다가
진짜 지옥을 맛보았습니다
솔직히 현장에서 가장 잘 대처하는 법은 아래쪽일거야 손가락 걸고 4/3 나오면 2번 체크하고 넘기는게 아닐까 싶네요
깔끔한 풀이 감사합니다 ㅎㅎ
좋게 봐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현장에서 풀때 ㄹㅇ 30분내내 다 계산해서 푼 기억이.. 진짜 깔끔하네요 풀이 ㄷㄷ
현장에서 맞히셨다니 훌륭하십니다 어르신
사실 슬램덩크 안 봄
쳇
이렇게 범위 나누는 게 맞나요? 함수 두개 빼서 범위 나눈다 라는 발상이 떠오르는 데 생각보다 너무 오래 걸리네요
혹시 조금만 더 정리해서 올려주실 수 있을까요…
구석진 곳에 써서 죄성합니다
정리한 게 너무 싸가지 없어 보여서 직접 덧붙이겠습니다
식을 크게 두가지로 나눴습니다
범위에 따라 변화하는 절댓값 함수의 부호를 고려하여 사차함수에 빼준 뒤 <=0이라는 식을 만족시키는 가장 작은 사차함수의 계수를 각각 찾아주고 x에 1을 넣어 가장 큰 값을 골랐습니다
제가 말한 내용외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았는 데 혹시 더 고려해야할 경우의 수가 있었는 데 그냥 운좋게 맞힌건가요?
x=0, 2, 3에서 함수가 매끄럽게 미분가능할 가능성을 따져보지 않은 거 같습니다
물론 그런 본문에 언급했듯 경우는 없지만요
무의식적으로 그냥 넘어가버렸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풀 때 함수 두 케이스로 쪼개고 f'(0)<=6이면서 케이스마다 f'(2)또는 f'(3)이 -1보다 크고 0보다 작겠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저거 맞췄던것같은데 어떻게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