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만보 [1150342]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5-07-13 00:30:04
조회수 383

갠적인 생각인데 수학에서 재능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14733

고정 96이상은 되어야 언급할 수 있는 레벨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듦.

재수하면서 4달 동안 과외생 고1 수학 5등급 출신 고2 2등급 턱걸이로 만들면서 느낀 소감은 '방향성 없는 공부는 100시간을 박아도 방향성을 안 3시간보다 못하다' 라는 거임.

내가 가르친 과외생은 고2고 성실한데 성적이 안 나오는, 되게 안타까운 케이스였음. 그래서 난 걔 가르칠 때 하루에 엄청 많아도 6문제? 보통은 하루 수업에 3문제 정도만 같이 풀었음. 대신에 풀면서 이해 안되는, 혹은 본인이 잘 모르는 부분은 집요하게 물으면서 스스로 알 때까지, 혹은 스스로 깨닫지 못해도 충분한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내가 말해줬음.

그렇게 수업하고 나서 끝날 때 내준 숙제는 2,3점 계산 문제 여럿에 간단한 4점 적당히, 오래 고민하면서 풀라고 한 중간~어려운 4점 한 두개. 그리고 제일제일 중요한 고1 수학 인강 들으라고 강요하기.

그렇게 방향성 잡아주고, 고1수학 공부 다시 시키면서 기초 잡아주느라 2달 정도는 큰 발전이 없었음. 근데 이후부터 실력이 크게 상승하더니 3모 4등급 턱걸이에서 5등급 정도였던 애가 6모 2등급이랑 한 문제 차이 나고, 중간 5였던 애가 이번에 기말은 진짜 간단한 계산실수가 몇 개 있어서 3등급 머리 정도 했는데 호머식 살짝 해주면 2등급 중반 성적대 정도 나오고.

이젠 집모긴 해도 모고 풀리면 거의 2 중반쯤 나오더라. 물론 고2 모고인 만큼 고3과는 확실히 다르겠지만 중요한 건 고2 애들 기준으로는 나름 상위권까지 올라왔다는 거임 ㅇㅇ

이 친구는 솔직히 말해서 뛰어나지도, 그렇다고 못난 학생도 아니었음. 오히려 2달 정도 가르친 애 중에 6~5등급이었는데 가끔 1등급 같은 생각을 하면서 가르치면서도 '재능이 뛰어나다'라고 생각한 학생이 있었음. 근데 오래 가르치진 못했다 보니 수학 성적이 과외 끝나는 날까지 좋지 못했던 게 아쉽더라.

재능이 뛰어나도 길을 모르면 정말 수학 잘하기 힘듦.(물론 압도적 재능은 걔가 걷는 곳이 곧 길임.) 대신에 재능이 평범하거나 조금 못나도 공부 방향의 이정표만 확실하다면 충분히 잘해낼 수 있는 것 같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황혼의땅거미 · 1353864 · 07/13 00:36 · MS 2024

    저도 ㅈ반고에서 학원다니면서 1,2학년 수학내신 4등급이였는데 걍 학원끊고 혼자 하루에 3시간씩 매일 문제만 푸니깐 자동으로 모의고사 등급이 쭉 오름 수능수학은 그냥 하려는 의지가 있고 없고의 차이인듯

  • 수만보 · 1150342 · 07/13 00:39 · MS 2022

    공부하는 방법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의지가 ㄹㅇ 중요. 의지 없이는 재능 있어도 공부 잘하기 어려움.

  • 황혼의땅거미 · 1353864 · 07/13 00:47 · MS 2024

    맞말추!

  • 아카네 리제 · 1162727 · 07/13 09:25 · MS 2022

    재능 없어도 진짜 잘하고 싶다는 일념으로 열심히 하다보면 어느정도 수준까지 올라올 수 있긴 하죠
  • alsalsals0133 · 1397180 · 41분 전 · MS 2025

    재능의 기준이 뭐인지는 모르겠지만
    중학교때부터 교과과정을 이해하고, 고난도 문제를 매번 고민하면서 버텨오는 과정은
    평범한 사람도 할 수 있다고 생각들어요.
    힘드니깐 쉬운 유형문제만 달달 풀다 수능에 들어오게 되면 재능의 벽을 느끼는거지요..

    근데 고정 96~100을 고3때 달성하는 사람들은 진짜 찐 재능충 맞는거 같음요.
    남들이 3~4년 시간 박아서 완성하는 경지를 1년만에 끝내버리는건 빛나는 재능이 맞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