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영어로 5번째는 'fifth'일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08367
먼저, five의 조상님은 고대 영어에서 fīf (발음은 대충 '피-프', f 발음)였음. 여기서 'ī'는 긴 /i:/ 발음임. 중요한 포인트인데, 대모음추이는 오직 장모음에만 일어난 현상임. 그래서 fīf의 장모음 ī가 시대를 거치면서 이중모음 /aɪ/로 바뀌어서 지금의 '파이브'가 된 거임. 여기까지가 five의 이야기.
그럼 fifth는 뭘까? 다섯 번째를 뜻하는 고대 영어 단어는 fīfta였음. 여기서 뒤에 서수를 만드는 접미사 '-ta'가 붙으면서, 그 앞에 있던 장모음 'ī'가 단모음 'i'로 짧아지는 현상이 발생함. 이걸 전문용어로는 뭐 Pre-cluster shortening 으로 부르는데 알 필요 없고, 그냥 접미사 때문에 모음이 짧아졌다고 이해하면 됨.
자, fīfta의 모음은 이제 짧은 'i'임. 대모음추이는 장모음에만 적용된다고 했음. 그래서 단모음이 된 fīfta는 대모음추이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발음이 유지되어서 지금의 '피프스(fifth)'가 된 거임. 독일어 fünf도 대모음추이를 겪지 않은 영어의 옛날 발음과 유사한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거고.
하나 더 재밌는 건 f랑 v의 차이임. 왜 five는 v고 fifth는 f인가. 이것도 고대 영어의 규칙 때문임. 당시 f같은 마찰음은 단어의 시작이나 끝에선 무성음(f)으로, 모음과 모음 사이 같은 유성음 환경에선 유성음(v)으로 발음됐음. fīf는 단독으로 쓰일 땐 f로 끝났지만,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붙거나 하면(예: fīfe) f가 v로 발음됐음. 이 유성음 형태가 어쩌다 보니 살아남아서 현대 영어의 five가 된 거임. 반면에 fīfta는 f 뒤에 무성음인 t가 오니까 유성음화될 이유가 없었고, 그래서 f 발음이 그대로 굳어진 것.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단 전 무조건 기출분석은 인강 보는걸 권장하는 편입니다 아니면 최소한 피램같은...
-
그야 안봤으니까....
-
하반기 컨은 6
하반기 시대 컨텐츠만 그냥 착실히하고 설맞이s2 허들링 이해원s2 정병호t 고난도...
-
임정환 최적 4
사문 둘중에 누구들을까요 참고로 오늘 사탐런 결정함
-
술두잔마셨습니다 8
질문받습니다
-
투과목 서바 2
이거 중고말고는 구할데 업나요.. 비싸서 도저히 못사겠던데.. 강준호 화잘주스...
-
만덕 줌 2
이전 글 참고
-
실패
-
일단 월요일부터 ㅇ_ㅇ
-
7모 22번 6
요러케 풀었는데 괜찮나여?
-
이게 수능에 도움 될까 싶을정도로 과한 세트가 죰 있던데 질질쌈그냥
-
된데!! 지금부터 그냥 27수능 준비중!
-
책 제목부터 미소녀와 함께 배우는 원소주기 ㄷㄷㄷ 화학많이사랑해주세요...
-
하반기때 강k 서바 다 끼고 실모위주로 가는거랑 서바만 끼고 엔제도 꽤 섞는거랑...
-
대 병 훈
-
오늘 과외쌤이 2
뚱바 사주셧는데 내가 그렇게 피곤해보였나 흠… 앞으론 수업 전에 달달한 거 좀 먹고해야지
-
교육청모의고사 뽑아서 풀어야겠다..
-
아하!
-
오랜만입니다 4
다들 잘 지내시나요
-
나는 오늘 이감 강k 치고 스팀팩풀었는데
영어쉬라몬
모르겠고 노래나 빨리 올려주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