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해석 어떻게 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8618
진짜 해석 드럽게 못합니다 ㅠㅠ
표현 특징은 커버되는데 고전시가 현대시 같은거 내용 해석에 발목 잡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최근에 거리곱으로 어그로 끈 책 한권을 보고 든 생각임. 속상해서 글씀 난 수능판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8618
진짜 해석 드럽게 못합니다 ㅠㅠ
표현 특징은 커버되는데 고전시가 현대시 같은거 내용 해석에 발목 잡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최근에 거리곱으로 어그로 끈 책 한권을 보고 든 생각임. 속상해서 글씀 난 수능판은...
시는 해석하지 않는 것이고 해석할 수도 없다
-볼살-
보기에서 준거 준대로 끼워맞춰서 읽어요. 해석이 안되면 안해도 문제푸는데 지장 없어요
야매?에 가까운 풀이 아닌가요?
그렇게 해도 수능 문학 다 잘 맞았어요.
그럼 보기부터 읽나요?
고전시가는 주제도 한정되어있고 나오는 것도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보다보면 해석이 익숙해지실것 같아요.. 현대시는 상황과 정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걸 적절히 혼합하면 주제라고 생각할 수 있어요. 거기에 맞춰서 이건 부정적일 거고 이건 긍정적인 거다 대충 잡으면 되더라고요. 전 그렇게 연습했어요..ㅎㅎ
시가는 유형 접해보는게 답인가요
네 기출 풀다보면 나오던 것들 반복되고 새로운게 나와봤자 대충보면 자연에서 노는거구나,임금한테 사랑고백하는거구나,학문이야기구나 등등 주제가 몇가지로 한정된 게 보여요. 기출 계속 풀면서 답지보고 해석 익히고 하다보면 익숙해지실 듯ㅎㅎㅎ
비문학은 "본문"을 읽고 "보기"를 이해한 문제가 나오고, 문학은 "보기"를 읽고 "문학"을 이해한 내용을 물어보는 문제가 나옵니다. 문학은 하나의 정해진 해석이 없기 때문이죠. 알고 있다면 도움은 됩니다만, 몰라도 문제 푸는 데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수능 국어는 굉장히 치밀합니다.
와 이거 강대 다닐 때 들었던 말이랑 똑같아요.
비문학은 보기 먼저 읽어봐야 노답이다. 본문 바탕으로 보기 읽는거다.
문학은 보기 먼저 읽는 게 유리하다. 보기 바탕으로 본문 읽는거다.
딱 이렇게 말씀하셨었음..ㄷㄷ
인강을 듣거나 학원에 다니지도 않았고 강대 다닌 적 없는데.... ㄷㄷ 하군요.
저는 아무 생각없이 시키는 대로 공부했는데 혼자서 충분히 고민하면 도달할 수 있는 고민인가봐요
국알못 팡팡 울고 갑니다
보기부터 보는게 효율적인건가요?
문학은 그렇습니다.
문학도 결국 비문학과 똑같습니다
실제 국문과 가시면 시나 소설도 철저하게 분석하면서 공부합니다
먼저 본인이 해석하시고 옆에 해설서 꼭 참고하세요
문학은 보기부터 읽어요 아항 이런 방향으로 해석하라는거구나 아항 이 시 이런 내용이구나 힌트 얻고 그 방향으로 읽으면서 때려 맞춤
보기없는 지문는 없죠?
음 대부분 있었던거 같아요 그리고 항상 보기뿐만이 아니라 지문에 딸린 문제들은 눈으로 빠르게 훑어주고 문제 풀어요 물론 보기는 꼼꼼하게 읽고
16 a형 현대시는 보기 없었던걸로 기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