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모 중세국어 형태소 분석하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82791
1. 淨飯王이 깃그샤 부텻 소ᄂᆞᆯ 손ᅀᅩ 자ᄇᆞ샤
월인석보10
정반왕+이 기ᇧ-+-으시-+-어 부텨+ㅅ 손+ᄋᆞᆯ 손+-소 잡-+-ᄋᆞ시-+-아
노트
'기쁘다'는 어원적으로 '기ᇧ-+-브-(형용사 파생접미사)'로 형성된 단어로, '기ᇧ-'은 '기쁘게 하다'의 의미. 자음군은 일반적으로 어중모음탈락(syncope)으로 형성되었다고 여겨지기에 선대형은 '*기ᄉᆞᆨ-'일지도 모름
'부텨'는 '부처'의 옛말인데 국어학계에는 佛體가 변한 말이라는 어원설이 꽤 퍼져 있음. 그렇지만 Vovin과 Pellard의 재구대로 ㅌ은 기원적으로 ㄷㄱ 연쇄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선대형은 '*브드겨' 정도일 것. 이 고대국어 어휘가 일본으로 넘어가 hoteke(<*potoke)가 되고 만주로 넘어가 fucihi가 됨
'손ᅀᅩ'는 '손+-소'의 구성인데 유성음 뒤 ㅅ의 약화 현상으로 인해 ㅅ>반치음의 변화를 겪음.
2. 내 지븨 이ᄉ실 쩌긔
석보상절6
나+ㅣ 집+의 이시-+-ㄹ 적+의
노트
'의'는 관형격조사 말고도 부사격조사로도 쓰였는데 부사격조사로 '애/에' 대신 'ᄋᆡ/의'를 취하는 어휘들을 특이처격어라고 함.
'집'은 특이하게 관형격으로 쓰일 때 '짒'가 아니라 ㅂ이 탈락한 '짓'으로 쓰였는데 이 때문에 '집'의 ㅂ은 기원적으로 다른 ㅂ과 달리 유성음이었을 거라고 추정한 학자들이 존재했음. 또, 이 관형격의 '짓'은 '지아비', '지어미'를 형성했는데 ㅅ의 약화(ㅅ>반치음>ø) 때문임
3. 님금하 아ᄅᆞ쇼셔
용비어천가10
님금+하 알-+-ᄋᆞ쇼셔
노트
'님금'은 훈민정음 전 차자 표기를 바탕으로 '*니리금'으로 재구되며 '님' 역시 본래 '*니리므~니림' 정도로 재구됨
4. 첫소리ᄅᆞᆯ 어울워 ᄡᅮᇙ디면
훈민정음
첫+소리+ᄅᆞᆯ 어울우-+-어 ᄡᅳ-+우ᇙ디면
노트
'어우르다'는 '어울다', '어울우다'로 쓰였는데 방언형에 ㅂ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선대형은 '*어블다'일 것으로 추정됨. ㅂ의 약화와 순경음의 w화로 '우'가 된 것
'-ㄹ디면' '-니디라'와 같은 뜻이 '-ㄴ/ㄹ 것' 정도로 이해되는 어미가 보이는데 여기의 '디'는 '것을 뜻하는 의존명사 'ᄃᆞ'와 관련이 있음
ㅭ은 관형사형 어미 '-ㄹ'로 보면 되는데 ㄹ 뒤 ㆆ은 뒤의 초성을 경음화하라는 표지로 쓰임
*보통 어미에 여린히읗은 포함하지 않지만 그냥 포함함 ㅇㅇ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80629 (나) 이 문제 양변에 b(n-1) 빼서 시그마치는 풀이를 안다면 똑같이 풀림
-
서울대 가고싶다 2
파래지고싶다
-
대확통시대엔 도대체 뭘 내려고 그럼?
-
겁나좋다...
-
불쾌 음침 비호감 멤버
-
28번 g'구해야하나 싶었는데 알아서 날라가네 30번은 주기성 대칭성 꾹꾹 담아놨고
-
수1수2, 미적분 1) 정답률 낮은 문제 위주 2) comment 3) 같이...
-
ㄹㅇㅋㅋ
-
이번 7모 수학 미적 21,28,30틀 88점인데 (21은 계산실수ㅠ) 실제...
-
(이륙?!)한대산 영어의 최고난도 풀 모의고사 3회분 배포 27
수능 영어 타깃으로 만든건데 아득히 뛰어넘은 문제들만 있네요 추천드립니다....
-
20번 g(6) 구해야 하는데 g(9) 구함 22번 a2=3 a3=2에서 a1=1...
-
20년째 지방에서만 살아서 내가 불편한걸 못느끼는건가 서울사람들 대학 지방으로...
-
실모나 하프모 안풀면 5분에 한번 핸드폰붙잡고 이어폰꽂았다가 뺏다가 다른과목 책...
-
새로고침하느라 바빴는데 새르비 메타 궁금해서 일찍 못자고 4시 5시까지 깨어있고...
-
도대체 왜 교육청이 만드는 모의고사를 교육청이 못올리며 왜 메가스터디도 풀서비스에...
-
6평도 그렇고 7모도 그렇고 막전위 근수축이 잘 풀리지 않고 풀려도 오래 걸리고...
-
슬슬…
-
ㅈㄱㄴ
-
이게 왜 조건이 한개도 없지? 뇌정지 5분 미분 역함수대입 역함수미분 별짓 다하면서...
-
나같은 사람이 또 있으려나? 군대가 잘 맞는 사람.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