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제의 역이 안성립하는 이유가 뭐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71975
1시에 밥먹다->2시에 똥싸다
2시에 똥싸다->1시에 밥먹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는 저렇게 안 살아서 참 다행이뇨
-
나이스 데이 5
7 13 데이
-
시대인재 라이브 1
생1 듣고싶어서 찾아봤는데 지금 진도가 서바 푸는 것 같더라구요 저는 서바보다는...
-
이 제도 있는 이유가 뭐에요?
-
그냥 보기 복붙인데
-
현강커리 1월부터 쭉 탔는데 이쯤오니까 이게 의미가 있나하는생각이 쪼금 드네요 ㅠ...
-
강윤구쌤 오티보고 감명받았어요
-
스물한살인데 능숙함을 가진게 수능공부밖에없음 잘하는거 더 많겠지만 아무것도 가진게업따
-
MSI트로피
-
하체는 지옥이다
-
잘자요 4
-
화학 시작 2
지금부터 화학 시작하면 늦겠죠.? 내신 때 화학을 하긴 했는데
-
내 본명은?
-
웬만하면 사설은 안 듣고싶습니다
-
9모전까지 모고 몇개만 돌리면서 감유지하고 국수에 집중하고 9모 이후에 해도 가능할라나
-
이거진짜에요?
정사각형은 직사각형이다 ㅇ
직사각형은 정사각형이다 ㄴ
사실 직사각형이 정사각형인거아님?
결론
어떤 명제 'A이면 B이다'가 참일 때, 그 역인 'B이면 A이다'가 항상 참이 아닌 이유는 B가 성립하게 만드는 다른 원인(A가 아닌 다른 경우)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B를 만족시키는 경우가 오직 A밖에 없다면 (이때 A는 B의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합니다), 그 명제의 역도 참이 됩니다.
ㄳㄳ
대쿠리는 다른 뭔가가 숨어있을거라 생각??
왜냐하면 가추,귀납,연역의 과정을 추론결과를 다시 전제로 쓰는 방식을 통해 최대한 많은 3가지 추론횟수를 적용하면 A<->B<->C 가 되는데, 이걸 다른말로 하면 명제의 역이 성립하는것이 최대한의 추론횟수 적용과 같아진다는거임..
그러니까 가추,연역,귀납 추론을 최대한 적용하면 명제의 역을 참으로 받아들이는게 그 과다추론과 동일하다는거임
대쿠리 왜이리 똑똑함? 나한테는 어렵다
안어려운건데 내가 멍청하게 설명해서 어렵게 들리는거임
끄덕끄덕 이해함이제
꾸준추
비가오면 땅이젖는다
하지만 땅이 젖었다고 비가 왔을지는 알수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