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질문 받아줄 사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62571
그냥 보편적인 아래로 볼록 증가 지수함수가 있고 위로 볼록 증가 지수함수가 각각 있을 때 접하는 상황은 미적분 범위에서 미분계수를 구해보든 지수방정식(이차) 판별식을 써보든 해봐야 알 수 있는거지?
왜 이런 문제 해설에서는 접하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아도 될 때 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지 이유가 없어
한 점이 접점일 수 있지만 통과도 가능해서 전자가 의미가 없어지는건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7세고시가 뭔지 0
오늘 처음 알았음 ..;;
-
ㄹㅇ
-
기차지나간당 4
부지런행
-
애타글 꼬라지 11
시밤쾅
-
아무나 저 재워주세요 16
-
근데 7모 미적 27번이랑 30번은 오히려 6평보다 어려웠음? 22
28 29번은 솔직하게 7이 앞도적으로 쉬운거같고 유독 30이 너무 어려워서...
-
이수린식 인증 15
엉덩이부터 시작해서
-
체벌플당하고 개빨개진 엉덩이 인증했는데 쥬지까지 깔준 몰랏지
-
댓글달면 11
귀여운사람한테 덕코줌
-
4수 선언 아님
-
새삼 말투 여성스러웠네 10
그러니까 쪽지가 왔었구나
-
고2입니다 올해 피램 하고 일취월장 고3까지 타려고 하는데 피램 지문들이랑 일취월장...
-
컴퓨터 견적 어케짜지 14
오버워치2 Fhd 240hz 방어 되게 견적 짜고 싶은데 뭘 어디서부터 어떻게...
-
아사다요 1
오키나사이
-
요즘 가장 힘든게 뭐임? 저는 1. 국어에서 벽 느낌 시발 2. 수학 98 그...
-
다 의뱃 하나씩은 있음
-
국어 3등급은 또 처음받아보네ㅋㅋㅜㅜ 열심히할게요...
-
재종이랑 0
독재 비교했을 때 재종이 더 좋은 이유가 뭔가요? 질문을 더 잘 받아주시나요?
밑이 같은 계열 ex) 2와 4
의 경우에는 연립해서 접하는 경우를 수1 과정으로 확인할 수도 있긴 한데, 보통은 미적분과정에서 접할 때가 주로 나오져
가끔 그래프 그리다보면 사람인지라 왜곡이 되니까 모순 케이스여도 그림으로 표현이 되는 것 같을 때도 있어서 이런건 다 따져야 하는 건지 아니면 더 쉬운 방법?이 있는데 모르고 있는 건지 궁금했어요 지수함수 한정
별도로 다른 함수가 합성되어있지 않은 지로함은 단조함수라 접점이 존재한다면 그 지점이 유일한 교점이자 접점이리고 보면 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