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냐냐 [1356331]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07-08 22:47:15
조회수 66

수학 질문 받아줄 사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62571

그냥 보편적인 아래로 볼록 증가 지수함수가 있고 위로 볼록 증가 지수함수가 각각 있을 때 접하는 상황은 미적분 범위에서 미분계수를 구해보든 지수방정식(이차) 판별식을 써보든 해봐야 알 수 있는거지?


왜 이런 문제 해설에서는 접하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아도 될 때 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지 이유가 없어


한 점이 접점일 수 있지만 통과도 가능해서 전자가 의미가 없어지는건가

rare-스탠퍼드 대학교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황이될래요 · 1392440 · 6시간 전 · MS 2025

    밑이 같은 계열 ex) 2와 4
    의 경우에는 연립해서 접하는 경우를 수1 과정으로 확인할 수도 있긴 한데, 보통은 미적분과정에서 접할 때가 주로 나오져

  • 라냐냐 · 1356331 · 6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가끔 그래프 그리다보면 사람인지라 왜곡이 되니까 모순 케이스여도 그림으로 표현이 되는 것 같을 때도 있어서 이런건 다 따져야 하는 건지 아니면 더 쉬운 방법?이 있는데 모르고 있는 건지 궁금했어요 지수함수 한정

  • 수학황이될래요 · 1392440 · 6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별도로 다른 함수가 합성되어있지 않은 지로함은 단조함수라 접점이 존재한다면 그 지점이 유일한 교점이자 접점이리고 보면 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