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치한약수를 선호 선망하는 정도가 아니라 찬양ㆍ고무를 하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네요
-
가격 후덜덜함... ㅎㄷㄷ
-
수의대 순위 16
1위 서울대 2위 건국대는 고정이라는 건 알고 있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어떻게...
-
수의대 6
23살에 수의대 입학하면 늦은 편인가요?
-
저희집 햄스터 볼이 부어서 동물병원에 갔는데 역시 비급여라 병원비가 ㅎㄷㄷ 하더라구요
-
메디컬 선배님들... 어떤 루틴으로 공부하셨고 하시나요?? 2
혹시 메디컬 분들 중에서 메디컬을 가기 위해서 어떤 루틴으로 '내신/수능'공부를...
-
경합 최초합 ㅇㅈ 29
이제 의대 붙여주기만 하면 소원이 없다
-
적당히 해라 마 나 지금 킹덤러시 벤저스 하는 중이다 게임에 현질 5만원 했다 역시...
-
출처 :...
-
뉴스) 최초 도입되는 실험동물 전임수의사, 국가가 양성 지원해야 3
실험동물 수의사! 입니다 출처 :...
-
수의대 인식변화 4
그냥 인식 얘기하시는분 있어서 써봐요 10년전 저는 연기계 건수 동국한 썼었고 셋다...
-
선호도가 어떻게 될까요 바로 충남대 정도의 선호도를 보일지, 처음에는 제일 하위...
-
학사졸이시랍니다 참고만 하세요!
-
제 의견을 간단하게 적어보고자 합니다, 보통 수의사를 비판할 때 쓰이는 통계를 보면...
-
2019자료를 15
2021자료도 현재랑 다른데 에휴 걍 말 아낄게요 ^^
-
오히려 저를 언급해서 저의 확성기가 되어주시는 건가싶고 그럼 이제는 감사할 지경
-
아니 제가 말도안되는 페이 자료 보여줬습니까? 진짜 어이없어 ㅋㅋㅋㅋ 누가보면 내가...
-
강아지 vs 고양이 13
세기의 대결
-
위는 5분 정도 뽑아서 제가 쪽지 받았던 내용임 이런 사람들 한트럭으로 저한테 쪽지...
-
흠... 이게 맞는건가...
-
수의대 한의대 약대 25
수의사 한의사 약사 가 있으면 누가 제일 많이 벌죠?
-
저만 이해 불가능한가요? 누구한테 들었는데~ 걔는 얼마 번다더라. 누구는 개원해서...
-
건수 4
ㄴㅈ 최종컷 알려주실분..ㅠㅠㅠ
-
시발 남들이 보면 미친놈이라고 욕할듯ㅋㅋㅋ 경희치 최초합 점수대(낙지 최종업뎃 기준...
-
강원약vs강원수 12
제목 순서는 개인 감정 없고 그냥 의치한약수로 부르니까 한 거 작년에 수의대가 더...
-
강원대 의예 경희대 한의예 고신대 의예 gist dgist kentech 작년에...
-
낙지 기준 832 입갤
-
낭만적이다...
-
모두 공식적으로 조사된 자료입니다.
-
예시로 서울대 동물병원 분과입니다 아래는 주소 ㅎ...
-
영어2고 치대 약대는 갈 생각이 없으니까 선택지가 너무 제한됨 경한 건수는...
-
표본이랑 경쟁률 계산했을때 차이가 큰데 ㄵ안쓰는 사람중 합격권이 많을까요 불합격권이...
-
의치한약수 토익 4
안녕하세요, 수의대 신입생인데요, 의치한약수는 토익 성적이 어디에 필요한가요?...
-
오르비 검색해보면 알겠지만 메디컬 계열 호재나 악재는 거의 매년 있었습니다 하지만...
-
전 올해 26세로, 진단받은지는 7개월쯤 됐네요그 전까지는 여기 와서 식도염...
-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2022 연봉 정리입니다. 현직...
-
정시 합격 해놓으면 나중에 들어갈 수 있게 해줬으면 0
수의 한의 붙여놓고 한의대 졸업하고 나서 수의대 입학해가지고 더블보드 달성하고싶다
-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수의대에 교과로 합격하여 진학할 예정인 학생입니다. 대학...
-
한약수는 발음이랑 그렇게 다들 쓰니까 써도 된다는 분위기고 한수약은 발음 걸고...
-
연고대급인가요? 아님 요새도 의치한과 비슷한가요?
-
맘이 아프네요 ,,, 이분 영상 종종 보고 그랬는데 ㅠㅠ
-
건수VS경한 8
ㅈㄱㄴ
-
수의대 폄하하고 이런거 전혀 아닌데 10년전에는 수의대 입결이 의대보다 훨씬 낮아서...
-
경한 ㄷ 건수 6
100명중에 99명은 경한 선택할텐데 내가 특이케이스라 고민되네... 이 고민을...
엄
준
식
님 궁금한게 있는데
우울하다 라는 표현이 2000년대 와서 유행한 표현이에요? 꺼무위키에 그렇게 적혀있던데
https://namu.wiki/w/%EC%84%B8%20%EC%B9%9C%EA%B5%AC#s-2
일단 '우울하다'가 예전 사전(ex. 큰사전(1947-1957)이나 수정증보조선어사전(1940))에 없던 것은 맞지만 '우울' 자체는 표제어로 있었습니다.
'우울'이라는 어근에 '-하다'가 붙은 '우울하다'가 아예 쓰이지 않았냐 하면 그것은 아닙니다. 네이버 뉴스 아카이브를 보면 '우울한'이나 '우울하다'로 쓰인 표현이 상당히 많은 걸 볼 수 있고 신문에 실린 여러 단편소설들에도 '우울하다'가 쓰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Keyword.naver#%7B%22mode%22%3A1%2C%22sort%22%3A0%2C%22trans%22%3A%221%22%2C%22pageSize%22%3A10%2C%22keyword%22%3A%22%EC%9A%B0%EC%9A%B8%ED%95%9C%22%2C%22status%22%3A%22success%22%2C%22startIndex%22%3A1%2C%22page%22%3A4%2C%22startDate%22%3A%221920-03-05%22%2C%22endDate%22%3A%221999-12-31%22%7D
2000년대에 유행한 표현이라고 생각되진 않습니다. 구어체에서도 쓰였는지 확인할 길은 없지만 신문이나 소설(특히 대화 장면에 '우울하다'란 단어가 쓰임)에 여럿 쓰인 것으로 보아 잘 쓰이지 않았다고 보기도 어려울 거 같습니다. 물론 2000년대(90년대나 80년대일 수도 있음)에 '우울하다'가 사전에 등재된 걸 보아 '우울하다'가 쓰임이 늘었다고 볼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저 드라마 때문이라고 보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역시 꺼무위키 근들갑이었구만
ㄱㅅㄱ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