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는 수열이 걍 무지성 나열하면 풀렸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33014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 ㅅㅂ 6
콰삭킹이 아니라 뿌링클을 시켰네 하나베로 추가했는데 샹
-
진짜 뭐지 문제 자체는 안 어려웠던 거 같은데 왤케 빡빡하죠 15/21/22/30틀...
-
한데 모여서 ㄱ다같이 조리돌림
-
가나형은 알겠는데 14
ab형은 난이도가 어떻게 되는거죠 순서 그대로 a가 이과 시험지인가
-
지금 상황이면 아무말 없다가 갑자기 나타나서 5년연속 현장 국어 만점 ㅇㅈ 박으면...
-
몇년전에 수학 가형한다고 까부신적도 있었는데 그건 어떻게 되셨나요?? 나형도 제대로...
-
오르비에서 유명한 분임 ?
-
좋아요 요정 2
같은건 없음
-
본문 안읽음
-
얘 유령인가 9
아니면 그냥 다리인가
-
저도 학교문법 잘 모르는데 여기저기서 나대잖음 ㅇㅇ 커뮤는 원래 그러는 거지. 암튼...
-
좋은 건 너만 알기
-
이러니까 술게임으로 쓰는거구나 죽음
-
화석(123) 10
이 뭐임?
-
ㅈㄴ고민된다 영어 6평 95점이고 평소에도 불안했음
-
강기분 듣는데 잘 안맞는거 같아서 갈아타보려고 하는데 어떤가요 작수 낮3 나옵니다
-
지구 오지훈 3
고2인데 내신때문에 기출 자이 마더텅을 5번을로돌려서 실전문제? 한번 해보고 싶은데...
-
적어도 19
오르비에서 유명한건 좋은게 아닌거같음
-
22수능 썰 4
그땐 문법 공부 안하고 칠때라 문법 대충풀고 매체 풀고 문학은 스무스했음 독서론풀고...
-
국어학 교수들도 이름 여럿 아시고 국어 관련해선 되게 넓게 아심
-
(19학년도 9평) 칸트: 평화 조약이란 국가 간 적대 행위의 일시적 중지에...
-
2409 21분걸렷어 근데이제 29를 틀린
-
6모 미적 28틀 킬캠 1-4회차 70중반~80중반, 빡모 1회 84 강k 시간재고...
-
이번 분기 3
-
옆에서 선풍기 바람 쐬면 머리가 시야 다 가림 머리띠는 모발이 약해가 안 쓰고.....
-
엄준식 8
-
이젠 모르겠다 3
헤겔 난이도 쉽다고 하는 분들의 말도 맞는 것 같고 어렵다고 하는 분들의 말도 맞는 것 같음
-
알바가기싫어 0
하 시말..
-
(재수생)수능원서사진 출력된사진이 필요한가요? 메일로받은건 안되나요? 4
사진 뽑아서 받은건 지금없고 메일로 받은 원본파일은 있는데 이것만있어도되는건가요?
-
250628 기하 처음에 봤을때 빼기로 분해하고 풀고 지렸다하면서 맞췄는데 오랜만에...
-
컷 기준으로는 2511 2606이 언매기준 잘낸 시험임
-
힘받고 1
공부하러 가봄요 으쌰으쌰
-
다들 이래서 작마작법 만드는거구나
-
서울대 연대 나온 유튜버들은 먹방하고 춤추고있고 고졸 전문대 유튜버들이 경제니 정치니 입턴다고
-
조정식쌤,김기철쌤 장단점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성적 버러진데 잘하는 척한 건가요? 방금 오르비 켜서 뭔 일인지 모름
-
Tlqkf 1
오늘할거 경제발표 보고서 피피티제작 수학 “ 과학” 독서토론책읽기
-
가을새와 작별하듯
-
발톱 물어뜯기
-
확실한건 2511>2606은 맞음 근데 언매기준으로는 = 해도 될듯? 매체때문에...
-
착한 사람 특징 2
남녀 가리지 않고 예의를 잘 지킴. 타인을 함부로 판단하거나 인신공격 하지 않음....
-
개인적으로 장발은 예쁘장한 남자가 하는 것보다 남성적으로 생긴 사람이 하는게 더 나은듯
-
때시걱으로
-
너도 잘걸렸다 내가 파묘해주마
-
글 읽을땐 ㅁ으엄ㅡ뭔가개소리같긴한데 대충이해되네 하고 선지보면...
-
1. 국어 -새기분 복습까지 완료 문학 22~25까지 25+a 0~1틀 현 강e분...
-
내가 오르비 꽤 했는데도 익숙하지 않은 민트테가 메인에 올라왔다는 사실 자체가...
-
시발롬아
-
포만한에서 당해 평가원 모의고사 해설 강의 해준다고 스터디룸 잡고 학생들...
수학 너무 재밌어요 뭔가 느낌이 와요 열심히 하면 될 거 같아요 근데 열심히 하기 시름...
평가원 수열중에 무지성나열로 7분내로 안풀리는건 없어요..
?????
두뇌회전이 ㅈㄴ 빠른가 아니 애초에 안되지 않나
앞에서 나열하던 뒤에서 나열하던 하라는대로 하면 계산실수없다는 가정하에 7분내로 나열했을때 다 풀려요 그래프나 변화지점이 어딜까? 를 굳이 생각하지 않아도 돼요
231115나 230715같은 걸 그냥 무지성 1항부터 나열하는데 7분컷이라구요? 그건 걍 계산이 ㅈㄴ 빠른거 아닐까요 개더러울텐데 ㄹㅇ
231115는 뒤에서 가야죠 7항을 알고있고 저희가 구하는건 9항인데 9항을 구하려면 8항을 알아야하니까 7항부터 1항까지 3의배수일때, 아닐때 미지수잡고 1항까지 구한 후 9항까지 가는거죠 여기서 그래프나 특정 지점에서 값이 바뀌겠다가 왜 필요한가요 그냥 나열이지
굳이따지면 최대최소를 구하는거니까 값이 애매한 것은 계산을 하지않음으로써 시간을 단축할수있다 정도겠네요
근데 그 1항까지 거리가 너무 멀잖아요
7항에서 1항까지 나열하면 6칸 차이라 계산할 게 너무 많아지고 물론 중간에 컷한다고 해도 좀 비효율적이지 않나요
앞에서가면 미지수 두개잡고 가야돼서 더 힘들어요
아 그건 맞는데 제 말은 최초의 변화순간 잡고 가는 풀이가 훨씬 간단하다는 거였어요
근데 님 풀이가 맞으면 그렇게 푸는 것도 나쁘진 않죠
저는 머리가 딸려서 계산을 많이 못함요...
풀이 되게 컴팩트하지 않나요
현장에서 어떤수열이 나올지도 모르는데 저게 오히려 고능한풀이같네요
근데 진짜 전 개인적으로 최초의 변화순간 찾는 건 되게 중요한 내용 같아요.
그거 하나로 문제 난이도가 확확 바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