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질문 지사학법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28672

답지에서 제가 체크한부분이 부정합이 일어난 부분이라고 하던데 화강암이 관입하며 변성생긴부분 2곳이라서 부정합(융기과정) 이라고 보는게 맞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니 얼굴이면 의대를 가도 씁...
-
나는 심찬우 선생님의 제자다.
-
정식으로 인사드립니다 27
오르비에서는 근 5년만에 인사드리게 됐네요 저를 아는 분들도 있을테고 모르는 분들도...
-
지2 유자분 0
강의 없나요…? 왜 앖죠.?.????? 지2 오지훈 물리
-
몇 주 안해봤는데 뭔가 삶이 허전하더라 그래서 왔어. 이상한 사람도 많다만 좋은...
-
ㅇㅈ 11
흐음~5초후칼삭
-
메일에는 3학년이라고 보냈는데 모고 성적표에는 작년꺼니까 2학년으로 되어있음 반려는...
-
이거 누구임 14
나랑 다른 사람이 튀어나옴
-
기차지나간당 4
부지런행
아래쪽은 단층, 관입암이 잘려있으니 부정합이고 위쪽은 관입암이 잘려있으니 부정합이네여
관입암과 변성부분으로 해석하는게 포인트 맞져??!!
오랜만에 푸니까 헷갈려서,,
엄밀히 말하면 하나는 관입암이고 하나는 분출암입니다~
1.해당 그림만 보고 화성암이 분출암인지 알 수 없습니다.
2.암상 중에서 '분출암상'과 '관입암상'은 상충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나, 분출암과 관입암 자체는 서로 상충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분출암상을 이루는 화성암이라고 하더라도 다른 암석들을 관입하고 있다면 그 부분은 관입암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일단 아래쪽에 무슨 돌인지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그렇게 설명하였습니다. 교학사, 미래N 등등의 교과서 서술에 의하면 제 설명이 틀린 말 같지는 않아 보입니다. 안산암이 화산암이고 화산암의 다른 이름이 분출암이라서, 화강암이 심성암이고 심성암 및 반심성암의 다른 이름이 관입암이라서 그렇게 적었습니다. 지하 깊은 곳에서 형성된 조립질 관입암은 심성암, 지표 근처에서 형성된 관입암은 반심성암, 열극으로 화구를 통해 지표로 나온 분출암은 화산암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혹시 오해의 여지가 있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을까요?
그리고 관입암상이 관입암의 부분집합이다 이정도로만 알고 있는데,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분출암상의 일부가 관입암일 수도 있다는 사실에서 어떻게 분출암과 관입암이 상충하지 않는 개념이라는 사실로 도달할 수 있는 건가요. 단순히 분출암상이 관입암과 분출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로밖에 이해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선생님의 말씀대로라면 분출암상과 관입암상의 경계가 모호한 것 아닐까요.. 상충하지 않는다는 것은 관입암과 분출암의 교집합이 있다는 뜻인데 사례를 알려주시면 수긍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1. 화산암과 분출암이 같은 뜻은 아닙니다. 화산암/심성암은 산출 상태에 따른 구분(엄밀하게는 입자 사이즈에 따른 구분)이고, 관입암/분출암은 생성 과정에 따른 구분이라 범주가 다릅니다. 교과서의 서술이 엄밀하지 못한 것입니다.
화산암은 '지표 부근에서 굳어진 암석'이라서, 분출을 하지 않더라도 화산암이 될 수 있습니다. 화산암은 엄밀하게는 '비현정질의 조직을 갖는 화성암'이라고 하는데, 지하에서 굳어지더라도 꽤 얕은 깊이에서 굳어졌다면 비현정질의 화산암이 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2. 지하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분출암상을 형성하였을 때, 지표에 쌓인 부분만큼은 분출암상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와 연결된 막대기와 같은 부분은 기존의 암석을 관입한 채로 굳어졌으므로 관입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분출암상과 관입암상은 양립이 불가하므로, 당연히 서로 상충되는 개념이지만, 하나의 화성암이 부분에 따라 분출암이면서 동시에 관입암인 경우는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문제에 나와있는 모든 화성암들은 기존의 지층을 관입한채로 굳어졌으므로 모두 관입암입니다.
시간 내주어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교과서가 이상하다고 생각했으나 한 권의 교과서만 그렇게 서술하는게 아니라서 최대한 용어적 관점으로 이해하려한 부분이었는데 개념을 바로 정립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