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올리는 꿀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03063
그건 바로 많이 풀고 많이 오답하기 농담이고 약한 부분 알려주면 팁 드림. 본인 9등급 노베 였던 적 있어서 올리는 과정에서 시행착오 다 겪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난 올드보이의 "누나하고 난, 다 알면서도 사랑했어요....너희도 그럴 수 있을까?"
-
1) 걍 내가 만든 디자인 2) 실제국어형식
-
김범준은신이고무적이야
-
템포도 적절하고 잘맞는듯 수능까지 잘부탁드립니다
-
졸리네 5
지금 완전 내 기분 안젤리나 졸리임
-
ㅈㄱㄴ
-
오늘 첨했는데 개피곤.. 설거지 지옥이 ㄹㅇ 사람 죽고싶게 만드네
-
술 먹고 싶다 7
으악
-
아는 사람이 있는데 그게 나임
-
알빠노
-
260615 vs 2511?? 문득 궁금해지네요 난이도가 작수 몇번과 대응하는지
-
테사기입니다
-
뭔가 금단의 영역에 발을 들인 느낌이라 짜릿했음 살면서 그때만큼의 도파민을 거의 못느껴본듯
-
모르겠군
-
당일에 문제보고 고르기
-
제목 그대로다
-
내가 제일 최약체야
-
200을 못찍어서 200찍으면 주는 차량을 하루종일 해도 얻지못하였다..
-
수학 고정 92~96에서 고정 100 그 초과까지 가려면 어느 교재를 풀어야 하고...
-
난 아직도 하고있어..
학원 알바 하는 사람인데, 가끔 문제 풀이 설명해 주다 보면 "와 이런 걸 어떻게 생각해내지... 님 천재임???" 이런 반응을 보일 때가 간혹 있는데, 학생이 뭔가 배우려고 한다는 느낌보다는 아 이건 내가 할 게 아니구나 이런 식으로 선 긋는 것 같아서 안타깝더라구요...
성적을 크게 올려 보신 입장에서 이런 경우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개념응용이 부족할때 본인이 가진 지식만으로 풀 때 좀 엉뚱하게 풀어져서 그래요. 공부를 차차 하다 보면 보다 빠르고 나은 풀이로 나아가게 되는데 나아가는 과정에서 겪는 과도기라고 생각함. 그리고 학생이 그렇게 반응한데는 푼 사람도 알고 있을거예요. 자기 실력이 운 좋게 끼워서 맞힌건지 순수 실력으로 맞힌건지는 본인도 다 압니다. 그래서 그런거 같아요.
지식이나 경험치가 계속 쌓이면 완화가 되는 문제인 것 같네요... 결국 본인 실력으로 풀어내기까지 이 과도기를 안정된 단계로 올릴 수 있도록 묵묵히 하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문제를 볼 때 엄청 어려운 킬러를 볼 때 길이 안 보이잖아요. 아마도 학생이 실력이 약할 때는 그런 과정이라 보시면 됩니다. 길이 안 보여서 이것저것 시도하는 과정?
오... 그렇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