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점 2개 미분계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01144
미분가능한 함수에서 동점2개인 미분계수는 기하적 의미로만 처리할 수 있다요?
원래 미분계수의 기본형태는 동점1 정점1에서 동점이 정점으로 접근하는 형태인데
동점이 2개인 경우에는 정점을 더하거나 빼줘도 미분계수 기본형태로 표현이 안돼서요
그냥 기하적으로 봤을 때 미분가능한 함수에서 동점이 2개인 경우에도 미분계수로 볼 수 있는데 수식적으로는 어떻게 표현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f(x)-f(y)/x-y 꼴에서 x랑y가 같은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
해당 수렴값의 미분계수와 같다고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데 이를 어떻게 수식적으로 증명할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리떨고 기침하고 책 세게 넘기고 냄새나고 민폐 끼치는 것들은 거의 다 남자였어
-
쓰면 먼가 멋질 듯요
-
강하고 화려한 오 나의 부메랑
-
ㅇㅂㄱ 3
-
실시간 수면패턴 좆됐다 20
이거어떡하냐
-
이거들어바 6
굿
-
개념을 소홀히 하니까 시험장에서 크게 당황하네요. 제1형 2형 당뇨병을 구분을...
-
다들 화이팅 1
야호.
-
이과 논술 0
이과 논술 준비하려는데 6모기준 미적은 백분위 96으로 1 나왔는데 확통이랑 기하는...
-
창조=목적있음 진화=목적없음 not진화=창조 not창조=진화 제1원인은 모든것의...
-
뭐해야하지
-
강기본 강기분 1
08 현재 고2 고1땐 3모 3, 6모 3, 9모 높4, 11모 4 나왔고...
-
궁금해요 저는 다음 년도를 준비할듯요
-
난왜똥멍청이일까 0
ㄹㅇ
빼고더해서 만들수 있지 않나요?
예시로든거 빼고더해서 못만들어요
Lim h->0 { f(a+h)+f(a-h) } / 2h 이런거 말하시는거 아님?
ㄴㄴㄴ
다른 예시 없음?
250630기출에서
n->무한대 tan(an+1)-tan(an)/(an+1)-(an+pi)
이런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