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점 2개 미분계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01144
미분가능한 함수에서 동점2개인 미분계수는 기하적 의미로만 처리할 수 있다요?
원래 미분계수의 기본형태는 동점1 정점1에서 동점이 정점으로 접근하는 형태인데
동점이 2개인 경우에는 정점을 더하거나 빼줘도 미분계수 기본형태로 표현이 안돼서요
그냥 기하적으로 봤을 때 미분가능한 함수에서 동점이 2개인 경우에도 미분계수로 볼 수 있는데 수식적으로는 어떻게 표현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f(x)-f(y)/x-y 꼴에서 x랑y가 같은 값으로 수렴하는 경우
해당 수렴값의 미분계수와 같다고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데 이를 어떻게 수식적으로 증명할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룰)야 나 핫스팟 틀게 충전기좀 줘
-
잇올에 36초 있었ㄴㅎ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내일 저녁 메뉴로 해야겠어요
-
‘삼수하고 싶다’가 공부의지의 본질임
-
도가 입장에서 판단 ㄱㄱ 1. 사랑한다고 말할 때 사랑은 진짜 사랑이 아니다 2....
-
생각보다 내신이 깡패인듯 내신 많이 안볼줄 알았는데 티오는 많이 뽑지도 않으면서
-
내일 무슨과목할까 16
국어랑 국어중에 추천좀
-
이거도 재밋엇음
-
나도 국어 커하 인증 28
23수능을 본 새끼가 왜 아직도 여기 있노? 라는 나쁜말은 ㄴㄴㄴㄴ
-
서강 올 정도의 국수 능지력이면 죽어라 수능파겠다
-
군대언제가지,, 12
토익점수나빨리뜨면좋겠네,,
-
공부방법이 잘못된건가..?
-
이상형 적고 가 21
내가 맞춤형으로 바뀌어줄게 흐흐
빼고더해서 만들수 있지 않나요?
예시로든거 빼고더해서 못만들어요
Lim h->0 { f(a+h)+f(a-h) } / 2h 이런거 말하시는거 아님?
ㄴㄴㄴ
다른 예시 없음?
250630기출에서
n->무한대 tan(an+1)-tan(an)/(an+1)-(an+pi)
이런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