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차분법 지문 읽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83117
성적 인증 https://orbi.kr/00070673396/
편의상 객관적인 사실인거처럼 서술할수도 있는데
이하 내용들은 모두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임을 밝힙니다.
언어/국어에서 정답은 어디에도 없다고 생각해요.
가독성이나 칼럼 내용에서의 의견은 항상 받습니다.
반박, 지적, 질문도 항상 환영합니다.
이중차분법을 제가 어케 읽고 어케 푸는지
대강 보여드릴게용.
1문단부터 읽어봅시다.
1. 경제학에서는 증거에 근거한 정책 논의를 위해 사건의 효과를 평가해야 할 경우가 많다
>경제학에서는 사건의 효과를 평가해야함.
2. 어떤 사건의 효과를 평가한다는 것은 사건 후의 결과와 사건이 없었을 경우에 나타났을 결과를 비교하는 일이다
>사건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의 정의
3. 그런데 가상의 결과는 관측할 수 없으므로 실제로는 사건을 경험한 표본들로 구성된 시행집단의 결과와, 사건을 경험 하지 않은 표본들로 구성된 비교집단의 결과를 비교하여 사건의 효과를 평가한다.
>실제로 사건의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
4. 따라서 이 작업의 관건은 그 사건 외에는 결과에 차이가 날 이유가 없는 두 집단을 구성하는 일이다
>3의 관건.
5. 가령 어떤 사건이 임금에 미친 효과를 평가할 때, 그 사건이 없었다면 시행집단과 비교집단의 평균 임금이 같을 수밖에 없도록 두 집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3, 4의 예시
6. 이를 위해서는 두 집단에 표본이 임의로 배정 되도록 사건을 설계하는 실험적 방법이 이상적이다.
>3을 위한 이상적인 방법=실험적 방법
7. 그러나 사람을 표본으로 하거나 사회 문제를 다룰 때에는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6의 한계.
결국 1문단의 내용은 이러함.
1, 2
>사건 효과 평가
3, 4, 5
>실제로 사건 효과를 평가하는 법
6, 7
>실제 효과 평가를 위한 방법 중 하나인 실험적 방법과 한계.
근데 여기서 노랑과 초록은 노랑에 달려있는 설명이고,
그러한 노랑도 빨강설명하려고 들고온거라서
사건 효과 평가
ㄴ실제로 사건 효과를 평가하는 법
ㄴ실험적 방법
ㄴ한계
1문단의 정보는 머릿속에 이런 식으로 정리가 가능함.
머릿속 폴더를 펼칠 수 있을대로 펼쳐본다면
사건 효과 평가
ㄴ정의
ㄴ실제로 사건 효과를 평가하는 법
ㄴ내용
ㄴ관건
ㄴ사례
ㄴ실험적 방법
ㄴ한계
근데 폴더를 펼치는건 문제를 읽고,
상위 폴더를 떠올리며 내가 필요한 폴더만 펼치면 됨.
지문을 읽어나가는데 하위 폴더들의 상세 내용은 중요하지않음.
그러니 지문을 읽으면서 1문단에서 처리하고 정리하는 정보는
사건 효과 평가
ㄴ실제로 사건 효과를 평가하는 법
ㄴ실험적 방법
ㄴ한계
요정도로 갖고가봅시다.
1. 이중차분법은 시행집단에서 일어난 변화에서 비교집단에서 일어난 변화를 뺀 값을 사건의 효과라고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중차분법의 정의
2. 이는 사건이 없었더라도 비교집단에서 일어난 변화와 같은 크기의 변화가 시행집단에서도 일어났을 것이라는 평행추세 가정에 근거해 사건의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평행 추세 가정의 정의
3. 이 가정이 충족 되면 사건 전의 상태가 평균적으로 같도록 두 집단을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평행 추세 가정의 효과
이것도 1문단과 동일하게,
1
>이중차분법
2, 3
>평행 추세 가정
평행 추세 가정도 1 때문에 나온 정보라,
2문단의 정보는
이중차분법
ㄴ평행 추세 가정
으로 정리가 가능함.
물론 이것도 펼치면
이중차분법
ㄴ정의
ㄴ평행 추세 가정
ㄴ정의
ㄴ효과
펼쳐지겠지만, 그건 문제 풀때 펼치면 됨.
이건 따로 펼쳐서 안쓸게요
그냥 이중차분법의 사례라고 정리하고 넘어가죠.
이중차분법의 사례
1. 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이중차분법을 적용하면 사건의 효과를 잘못 평가하게 된다.
>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되지 않았을때 이중차분법을 적용하면 잘못 평가함.
>평행추세 X → 이중차분법 에러
2. 예컨대 어떤 노동자 교육 프로그램의 고용 증가 효과를 평가할 때,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 드는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비중이 비교집단에 비해 시행 집단에서 더 큰 경우에는 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되지 않을 것이다.
>1의 사례
3. 그렇다고 해서 집단 간 표본의 통계적 유사성을 높이려고 사건 이전 시기의 시행집단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는 것이 평행추세 가정의 충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 시행집단을 비교집단으로 한다고해서 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되는건 아님.
>잘못된 평행추세 가정
4. 예컨대 고용처럼 경기변동에 민감한 변화라면 집단 간 표본의 통계적 유사성보다 변화 발생의 동시성이 이 가정의 충족에서 더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3의 사례와 잘못된 이유 (통계적 유사성<동시성)
이것도 폴더를 만들어보면,
평행추세 X → 이중차분법 에러
ㄴ잘못된 평행추세
로 정리가 가능하고, 펼쳐보면
평행추세 X → 이중차분법 에러
ㄴ내용
ㄴ사례
ㄴ잘못된 평행추세 가정
ㄴ사례
ㄴ잘못된 이유
ㄴ통계적 유사성<동시성
1. 여러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각각에 이중차분법을 적용한 평가 결과가 같음을 확인하면 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된다는 신뢰를 줄 수 있다
>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된다는 신뢰를 줄 수 있는 방법
>신뢰주는 방법
2. 또한 시행집단과 여러 특성에서 표본의 통계적 유사성이 높은 비교집단을 구성하면 평행추세 가정이 위협받을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평행추세 가정이 위협받을 가능성을 줄이는 방법
>신뢰주는 방법
3.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이중차분법을 적용한 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신뢰도 높이는 방법
그럼 이 문단도 결국 말하고 싶은건 한가지,
신뢰도 높이기
이고,
지문이 뭔가 긴 것 같아 보이지만, 결국 내 머릿속의 폴더는
사건 효과 평가
ㄴ실제로 사건 효과를 평가하는 법
ㄴ실험적 방법
ㄴ한계
이중차분법
ㄴ평행 추세 가정
이중차분법의 사례
평행추세 X → 이중차분법 에러
ㄴ잘못된 평행추세
신뢰도 높이기
이정도 밖에 안남아요.
그리고 각 폴더에 딸리는 몇가지 키워드 정도들과 함께
머릿속에 가지고 가서
문제를 보고, 그 문제를 풀기 위한 정보가 들어있을 것 같은 폴더들을
계속 펼치고 펼치며 하위폴더들을 뒤지고,
여태 썼던 칼럼들에서 말했던 것처럼
정보들간의 관계를 이용해서 문제를 풀면 댑니다.
그게 안되는 문제들은 본인이 이해한 걸 바탕으로 풀거나
그냥 틀리면 되는거고요.
너무 길어져서 문제 푸는건 다음편에 올릴래용.
언제 나올지는 기다리는 사람이 얼마나 많냐에 따라
달라지지 안을까요 몰?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비문학 자연과학·기술 제재 기출 모음 (5) - 컴퓨터 2
안녕하세요, 디시 수갤·빡갤 등지에서 활동하는 무명의 국어 강사입니다. 오늘은...
-
작수 백분위 77 올해 6모 93입니다. 실모 풀기보다 좀 더 기본을 다지고 시픈데...
-
현실적으로 남은 시간동안 드릴 다푸는건 어려울거같고 뭘 풀어야될지 모르겠어요...
-
기말고사 3일차 0
언매랑 문학 쳤슴 낫 배드 중간고사때 내버린 찐빠를 어느정도 복구 할 수 있을정도로만 친듯?
-
feat. 감자까앙 요즘 고민임 이걸 언제 올려야 사람들이 봐줄지가
-
꿈에서 오르비함 1
오르비에 올라온 도형 자작문제 풀고있는데 엄마가 깨웟다
-
재수하면서 나름 열심히 살았습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작년에비해 많이...
-
왓더뻑 0
돈이 녹는다 녹아
-
대학제출용 생기부 다운이 안돼서 그냥 초중고용으로 다운했네요;;;
-
기출이 너무 익숙한데
-
4.5 만점 기준으로
-
이번 6모 공부 안하고 14 15 21 22 틀렸음요 미적은 진짜 기억 안나서 3개...
-
이과임
-
지구랑 같이 응시할거임
-
4회차인가 5회차인가 기억이 잘 안나는데 |f(x)|+인테그랄|f(x)|문제 난이도...
-
국영수만 치고 오겠음 사탐은 아직 만점받을 자신이 없다..
-
0.5가 부족해서 안되는... 화작 물리는 죄악이다 만백 너무한거 아니냐구 ㅠ
-
뭐 듣는게 좋을까요? 여태 공통만 너무해서 확통을 잘 못해요 6모는 92고 확통에서 30틀이에요
-
이번 6평 공통22틀,미적 27,28,29,30 틀렸습니다. 미적은 아이디어...
-
2028수능은 지금수능기출이랑 많이다른가? 그럼지금 기출푸는게 2028에도도움이되나...
이렇게 긴거 쓰는건 너무 오랜만이네요. 머릿속에 있는걸 글자로 꺼내는건 너무 어려워. 더운데 다들 화이팅하세용 U CAN 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