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따로 수능따로<--고생이 2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44538
내일 6평 성적이 나옵니다
6모와 수능은 일치하지는 않지만 나름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그 결과를 잘 기억하고 분석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하반기에 오기 때문에 슬슬 자연계 학생들은 수리논술을 생각을 해야할 때가 왔습니다
저는 논술도 가르치지만 모든 학생에게 논술을 하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현 입시 제도에서 논술을 굳이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학생은 크게 나누면 3종류 입니다
1. 학생부 전형으로 수시 6장을 모두 채울 수 있는 경우
2. 서울대 외의 대학에는 지원할 생각이 없는 경우(서울대가 목표인거랑 다른 말입니다 더 강한 조건입니다)
3. 정시로 서울의대 연세의대에 합격할 자신이 있는 경우
이 세 가지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합리적인 관점에서 논술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수험생활의 근간은 risk 관리이기 때문에
6번의 독립적인 기회를 추가로 가질수 있다는 것은 큰 무기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수많은 학생과 학부모와 소통하며 알게 된, 논술을 포기하는 가장 큰 두 가지 이유는 바로 이것입니다.
1. "확통/기하 몰루?"
정시만 준비하는 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흔한 고민입니다. 미적분만으로 수능을 준비하다 보니, 논술에 벽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
메디컬 논술 중에는 미적분만으로 가능한 곳도 있지만, 메디컬에 흥미가 없거나 메디컬 논술이란 것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 이공계를 논술로 써야하는데 이 경우 건국대 이상 라인에서는 성균관대를 제외하고 대부분 확통, 기하가 출제됩니다.
이 부분은 학생의 선택이지만 선택을 하는 학생은 기하 확통의 로딩을 모르고 저는 그 부담을 알기 때문에 말하면 여름때 언어와 매체 개념을 공부하는 정도의 시간만 투자하면 주요 대학 논술 문제를 풀 수 있는 베이스를 충분히 쌓을 수 있습니다.
특히 수능 최저학력기준과 논술을 잘 조합하면, 정시로는 꿈도 꾸기 힘들었던 학교에 합격하는 결과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학교가 고려대입니다
4합8과 전범위 출제라는 장벽때문에 학생들이 꺼리지만
정시로 고려대를 가는거보단 수월한 최저에
확통 기하가 학습만 했으면 충분히 트라이할수 있는 난이도로 25 모의, 오전 오후가 출제되었기 때문에 버리기엔 아까운 카드라 생각합니다
2. "논술 문제가 수능스럽지 않은데?"
사실 2번때문에 글을 쓴건데
수능은 어쨌든 답만 맞히면 된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풀이 과정을 정확하게 서술하는 연습이 부족해, 논술 답안지를 보며 당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교과 외 스킬로 찍어내듯 답을 쓰는 식으로 연습하는 학생들은 더더욱 그렇습니다
심지어 같은 '미적분' 문제조차 수능과 논술을 완전히 다른 공부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과거 수능과 논술이 궤를 달리했던 적도 있지만 최근 논술 출제 경향은 2010년대 중반 이전과 달리 '풀이형' 문항이 훨씬 많아졌습니다.
평소 수능 문제를 정확한 풀이 과정으로 풀어내는 습관만 있다면, 논술도 충분히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로직으로 문제를 푸는 습관을 들이고 해설을 써보는 연습을 하는 공부는 단점이 없고 장점은 분명합니다 심지어 수능수학 고점을
올리는 방법이고요 매번 통곡의 84~92점 구간을 벗어나려고 해도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안정적인 고득점은 정확한 풀이를 하는 습관에서 나옵니다
누가 모의고사 TAS하듯 50분컷해서 100점 받더라
이런거 보면서 정확하게 푸는게 저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은데 순서가 다릅니다 일단 정확하게 풀어내서 다 맞는 습관을 들어야 거기서 시간단축이 되는거지 시간단축을 먼저 해야한다고 날림으로 풀면 안됩니다
그러면 이제 수능은 수능대로 공부한다고 시간을 쓰고 논술은 논술대로 유기하게 됩니다
수험생에게 시간이란 자원은 천장이 있는 자원이라 중요한건 효율성인데
그렇다면 수능문제를 정확하게 풀어내는 습관을 들여 논술과 2마리 토끼를 잡을 길을 도모하고 이후에 TAS를 하든말든 후일을 도모하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저는 크럭스 테이블 일을 할 의향이 항상 있지만 교육부가 이럴때마다 하기가 싫어집니다
-
이거 받으려고 스피드러너 질렀다;;
-
수능 만점 카대 의대라는데
-
진심 ㅅㅂ 이럴려고 물1 선택한게 아닌데
-
계속 놀고만 싶음
-
깊은 고민중
-
이번주부터 다시 출근한다..
-
교육청 지금쯤 4
아웃백 다먹고 요아정 갔다가 슬슬 배부르다고 메가커피 아메리카노 단체주문 후 한강공원 산책하겠네
-
그나마 복귀하면 덜한데 2학기도 복학 못 하면 의반은 또 많을거고 그럼 과탐은...
-
구라 ㄴㄴ
-
아 맛잇다 이제 여한없이 정시 할게요 ㅋㅋㅋ 백 못 맞은거는 진짜 너무 아쉬워서...
-
https://orbi.kr/00073646717
-
미적 1컷은 84 이하
-
이 문제 풀어낼정도면 평가원에 나왔던 상대성 문제들은 문제없이 풀수 있을까요?
-
내좃대로 교육과정 개편 19
1. 9등급제 유지 2. 국어 화작 삭제, 비문학 & 문학 모두 난이도 상승, 시간...
-
만표랑 1컷 표점 보면 왜 그래 보이지
-
답 나오는지 확인 점..
-
미적 빡세게나온건맞는데 82 진짜 신기하다 84-85 나올줄
-
비문학 어렵게 나오고 뮨학 쉽게 나왔음 좋겠다
-
학점 대충 평소에 말하고 다닌대로 나오는게 ㅈㄴ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 "아 아무래도...
-
"확통/기하 선택자임" 킬럼으로 도우미가 되셨다면 객추 ㅋㅋㅋㅋ
-
2024 시대인재 서바이벌 17회 언매 등급컷 아시는 분ㅜㅜ 찾아도 안 나오네요...
-
안되나요 이거
-
요즘 학벌 의미없다
-
아니 개씨발 3
이미 벌어진걸 욕해봣자 의미없지만 어차피 28부터 통합인데 왜 제도를 미리 바꾸냐고 진짜 찢고 싶네
-
싸가지보소ㅋㅋ 4
굳이 이렇게까지 워딩을 해야하나 음
-
동사 개념량이 세사의 1/3 수준이던데
-
중대 에브리타임 계정 판매하시는 분 구합니다 재학생인데 장기간정지먹어서 구매하고싶습니다
-
투표좀 0
아번 6모 과탐 원과목 둘 다 1등급나올 듯한데 머 추천하시나요
-
지금 기사 자료들 보면 진짜 화작 1컷 100인가요... 문학 하나 틀려서 98점인데 와
-
탐구를 바꾸는건 미친짓이다
-
‘하늘이 무너져도 올해 떠야한다’ 이거면 닥치고 과탐 유지가 둘 다 바꾸는것보단 날...
-
기말 끝나고 1주일 벼락치기로 7모 사문 2띄우기 ㄱㄴ? 4
된다면 아예 생윤도 살짝 건드려서 둘다 2띄우기 ㄱㄴ?
-
걍 개 대충 137 100 136 98 135 97 134 96 133 95 132...
-
확통으로 시간 세이브해서 22번에 꼴아박으면 맞출 수 있었는데 이젠 100분이...
-
아 언제 올려 0
수학좀 하고 3시에 올테니까 그때까지 올려놔라
-
국어 이번에 억까당한면이 있긴한데… 고12교육청 쭉 백분위 98업이엇고 이감도 1...
-
꼬라지보면 공익도 데려가서 뷔페 못나가고 있는 것 같은데
-
들이는 노력과 지능에 비해 결과가 ㅈㄴ 안나오는것같음 우리아빠가 고려대교수고...
-
의미없지만 기분은 젛을듯..
-
통계가 궁금한데 ㄹㅇ 심리적, 뇌피셜 체감 이런거라도
-
네..
-
반수 4
24수능 봤고 지금 ky 다니는 문관데 화작 96(언매 개념까먹어서 화작봄) 확통...
-
쯧쯧
-
이심전심
-
시발
-
이 시끼들 맨날 그때 쯤 올리던데
-
ㅈㄱㄴ
경희약이나 중앙약 논술 난이도 어떤 편인가요?
저 정확한 풀이를 하는 습관에 대한 글 쓰면 많이 볼듯하네요
보통 저걸 애매하게 얘기만하고 넘겨서
많이썼는데 증발했죠
이공계 최저 과탐때문에 안하는건가??
확통런/리하런 한 정시파이터 경우는 논술을 못쓰겠죠?
미적을 하는게 맞을려나..
적극 동감하는 바입니다
혹시 과외는 그만두셨나요?
+ 서울대가 “목표인” 고2 학생이고 과탐 투과목을 하느라
논술 준비할 시간에 과탐을 하지라는 생각이 드는데(고3때요)
큰 시간을 할애하지않아도 되나요?
리스크를 줄이려면 과탐 시간을 좀 포기하는게 맞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