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특강 확통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34653
E((X-1)제곱)이 V(X)가 되는 이유를 알려주실 천사분을 찾습니다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때 설정외 붙여줬으면 2년 일찍 입학한 개고능아 될 수 있었는데 cc발발
-
bb라 아쉽다ㅠ
-
현타오네 (라이브는 듣긴하는데..)
-
지금 카이스트 학부 4학년이거든 진짜 카이스트 너무 씨발 개좆같아서 하고 싶은 것도...
-
아직 안 봣는데 연계체감 이번에 많이 된 것 같던데 한 번 보는게 좋을까ㅏ요?
-
제일낮은 사범대 사회교육과 이런데 가능함? 영어제2외한국사 뭐 이런거감점은...
-
더우니까 맛있는거 먹고싶음
-
요런 그림 집에다 걸어두고 싶다 ㅎㅎㅎ
-
얼버기 3
ㅎ
-
삭제 2
위이이잉
-
6모 15, 21, 22, 30(이건 진짜 답을 잘못 씀) 틀인데데수2 개념이 좀...
-
답이 결정되는 논리가 처음보는 것도 꽤 많고 난이도도 적당히 어려워서 좋음요…이게...
-
시험전날 감기 4
미치겟네..
-
ufc 하는 거 뒤늦게 깨닫고 봤는데 올리베이라 누워있네;;;
-
ㅈ됐다 4
똥마려.
-
미시적 관점의 양자 역학
-
나는 실격이다
-
토푸리아 미쳤다 4
개쎄네
-
남들한테 흔한 손발다한증 아니고 머리, 등 다한증인데… 대학가면 ㄹㅇ 어카지 땀...
음 이게 일반적으로 성립하는 등식이 아닌데요
문제 맥락을 봐야할 것 같습니다
음 그러네요 평균을 직접 계산해보면 u=1이 맞네요
고등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V(X) = E(X)² - {E(X)}²
으로만 외우고 있지만 중학교때 배운걸 상기해보면 분산은 편차의 제곱 (X-u)²의 평균이니까
V(X) = E((X-u)²)
이 됩니다. 사실 고등학교때 배우는 공식이 여기서 파생된거죠
저도 몰라서 찾아보니 블로그에 이런게 있네요..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인지는 모르겠어요
아 분산의 정의가 편차 제곱의 평균이니 확률변수에다가 평균값 1을 뺀거(=편차)를 제곱한 평균식인거네요
저걸 저렇게 생각하기가 ㄷㄷㄷ

답변 감사합니다 수특 답지라서 그냥 넘기기가 찜찜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