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거리곱의 기본 2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06698
거리곱을 이용하면 그래프 위의 한 점에서의 기울기를 구할 수 있어요. 다항함수 f(x)와 g(x)에 대하여 f(x)=(x-p)g(x)+q로 나타낼 수 있다고 해 볼게요. 양변에서 q를 빼고 양변을 (x-p)로 나누면 {f(x)-f(p)}÷(x-p)=g(x)이고 양변에 lim(x→p)를 씌우면 f'(p)=g(p)임을 알 수 있어요. 다시 말해 f(x)=(x-p)g(x)+q인 경우 f'(x)=g(x)라고 계산하면 돼요.
f(x)=m(x+2)x(x-1)+1인 경우, 거리곱을 이용하면 f'(1)=±|m|×3×1=3|m|이에요. f(x)의 차수가 a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m인 경우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am이지만 거리곱을 이용하여 f'(x)를 구할 때는 m만을 곱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돼요.
다항함수와 어떤 직선의 교점의 x좌표를 모두 아는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다항함수 f(x)와 g(x)에 대하여 f(x)=(x-p)g(x)+qx+r로 나타낼 수 있어요. 양변에서 pq+r를 빼고 양변을 (x-p)로 나누면 {f(x)-f(p)}÷(x-p)=g(x)+q이고 양변에 lim(x→p)를 씌우면 f'(p)=g(p)+q임을 알 수 있어요.
f(x)=m(x+2)x(x-1)+x+2인 경우, f'(0)을 구할 때는 직선 y=x+2를 기준으로 ±|m|×2×1=2|m|을 구한 뒤 y=x+2의 기울기인 1을 더해 f'(0)=2|m|+1임을 알 수 있어요. 허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거리곱을 사용하기 어려우니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게 더 나아요.
도함수를 활용해서 거리곱을 사용할 수도 있어요. f(x)=m(x+2)2(x-1)인 경우 f'(-4)를 구할 때 식을 이용하면 f'(x)=3m(x+2)x이므로 f'(-4)=3m×(-4+2)×(-4)=3m×(-2)×(-4)=24m이고, 거리곱을 이용하면 f'(-4)=±|3m|×2×4=-24|m|이에요.
삼차함수의 비율관계를 이용하면 극점의 x좌표를 알 수 있으므로 f'(x)=3m(x+2)x라는 식을 떠올리지 않고도 거리곱을 이용해 f'(x)의 값을 구할 수 있어요. 그림은 f(x)를 나타내고 있지만 f'(x)에서 거리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m|이 아닌 |am|을 곱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돼요.
f(x)=(x-1001)(x-1002)일 때 f(999)를 구하는 경우와 같이 절댓값이 큰 숫자들이 문제에 나온 경우 식을 이용할 때는 긴 식을 적으면서 계산해야 하는 반면 거리곱을 이용할 때는 그림에 명시적으로 보이는 거리만을 곱하기에 계산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동사 개념량이 세사의 1/3 수준이던데
-
내위에 세명중에서 동석차나면 4등듭됨.인생망함
-
ㅠㅠㅠ
-
이딴 시험도 72면 ㄹㅇ 개꿀통맞네
-
하루 수학 공부시간 반을 확통에 때려박았는데 2달동안 4점짜리를 맞출 가망이 안...
-
어김없이 찾아오는 호머식 타임
-
3학년에 내신 나오는 과목이 2개라서 2학년 내신 끝나고부터 정시 각 재고 정시...
-
아무리 쉽게 나와도 만백은 안정적임(작년9평제외) 그리고 과탐 중에서 만점 받기...
-
그렇군
-
학점 대충 평소에 말하고 다닌대로 나오는게 ㅈㄴ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 "아 아무래도...
-
적백 356명 ㄷㄷㄷ 15
캬
-
저는 한번에 과목 3개 바꾼 케이스인데 미적 -> 기하런치면서 기하가 고점이...
-
끼잉끼잉 3
히히
-
6모 과탐 응시자수 11
물리 4만 화학 2만 생명 9만 지구 9만

감사합니다!!!칼럼글들 잘 읽고있어요 응원합니다!!
우와 감사해요~!

고트
헉 제가요??
감사합니다람쥐
감사합니다~!이게 (-2)*(-3)=6과 다른 연산인가요?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식 쓰기 귀찮을때 쓰면 좋긴 하더라고요
ㅎㅎ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