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해야 공부시간 14시간이 나오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0627
오늘 7시 넘어서 일어나서 밥먹고 비몽사몽 도서관가서 9시 20분쯤 도착해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014학년도 수능 7번에 5번에서 'ㅁ(입법에 있어 고도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
정법하는 다람쥐 X EASY한 독도바다 모의고사 문제&정답 공개 26
EASY한 독도바다입니다.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대비 정법하는 다람쥐 X...
-
정법하는 다람쥐 X EASY한 독도바다 모의고사 시행 공고 17
오르비에 매일 세계사, 종종 동아시아사, 가끔 한국사 문제를 만들어 올리는...
-
자기 전에 0
제4차 SEMI PL 모의고사 20문항 제작은 마쳤다. 이제 검토과정만 남았다....
-
망할 0
내신 정법 14번 아나..
-
1등급 못 맞으면 어케하지... 그럼 접어야 하나...(정치와 법 선택자가 60명이...
음.. 이건 제방법인데 밥먹는시간 20분씩으로 줄였어요
밥먹는데 40분은 걸려요 양치하고 뭐하면 ㅠㅠ
12시간 앉아있는데 50분공부 10분 휴식하면 총 몇시간 휴식이게요 2시간휴식 =10시간 - 밥먹는시간 = 순공 9시간정도
의외로 빠져나가는시간이 많음
휴식시간을 줄여야한다는뜻..
휴식시간 줄이고,밥먹는시간에 단어외우고 이동시간에 단어외우면 순공14시간이됩니다
이동시간 활용하고,아침에 일찍일어나서 바로하면 12시간은 나올듯...
근데 그렇게 빡세게 하지는 못할것같고 11시간+알파 하는게 이상적인것같네요..
맞아요. 오르비는 잠시접었다가, 3월정도부터 자료들만 가끔 받고 시간절약하세요!!
넵...
아..문제는 집에오면 또 오르비키네요..공부할때는 안하는데 집에 오면 합니다..
ㅠㅠ 애초에 피처폰이라 못하지만..집에와서 통제가 안되네요 ㅠ
그걸줄이시는게 후배님이 만들어가는 현실입니다ㅠㅠ!! 할수있어요
ㅡ어엉...
형 노하우좀요 ㅠ
집에와서 바로자야하는데 그게 잘 안되네요..
이시간에 오르비를 자기전에 30분씩 300일하면 9000분=수학모의고사 90개 = 6.9.수능을 1년치로 가정하고 최근 10년치 3회독임
형 그러면 집에와서 자기전에 무엇을 하면 좋을까요?
씻고 (간식먹고) 부모님과 대화를 나누고 잔다 or 간식먹을때만 오르비눈팅하고 바로잔다..
(간식먹고 부모님께 폰을 드린다)
제가 지금 컴퓨터로 하고있습니다..
사실 지금 뭐 먹어서 소화시키면서 하고있기는 한데..
그냥 부모님과 대화를 나누고 자는게 ㄹㅇ 이득...
앞으로 토요일에만 오르비 해야지..아니면 pc방 가서 하던지 해야겠음요
일겅....
저도 집에만 오면...하....
그나마 공부할떄 안하는걸 감사해야할듯..
공감 ㅋ
구지 시간에집착안하셔도될듯한데요...
케바케잖아요??
시간에 집착은 안하는데...예전에 공신닷컴에서 본 게 생각나서 한번 써봤어요..
저는 오르비 안하면 반 이상은 먹고 들어갈것 같습니다.
제가 어쩌다 여길 알게된거죠...하....
저는 다행히 통제는 됩니다..
오늘도 일과이후에 하고있지요
밥먹을때 고전시가랑 단어외우세요
해봤는데 괴롭더군요 ㅠㅠ
밥먹을때는 밥은 먹어야할듯..버스탈때는 몰라도요
2학기 들어서 들을 인강 줄고 나니까 순공시간 늘고, 도시락 먹으면서도 공부하고 화장실 가는 횟수 줄이고 야자 끝나고 집에가서 1시간정도 더하니까 14시간 나오더라고요
아..저는 아직 들을 인강이 좀있어요..
이명학 일리부터 시작중..
정승제 수1,2 들어야할듯...
윤혜정 개념 나비효과...
아마 인강 안들으려면 3월은 되야할듯..
근데 ...14시간하는게 순수 14시간은 힘들듯...
공부할때 잡념이 많이들어요 ㅠㅠ
저도 14시간은 한번만...ㅎ 인강 많을 때는 8시간 정도 밖에 못했어요. 공부시간에 너무 집착하지마세요ㅎㅎ그냥 시간을 최대한 치열하게 집중해서 활용하는게 중요한거니까요. 주제넘게 조언하자면, 잡념이 들더라도 그냥 계속 하다보면 사라졌다 다시 생겼다 그러더라고요. 잡념이 든다고 공부를 안하거나 공부시간 연연하는 것보단 계속 공부하려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정 안되겠으면 잠깐 1,2분정도 눈감고 떠오르는 대로 생각하다보면 그냥 공부해야지 싶어지더군요ㅋㅋㅋ
앞으로는 시간을 신경쓰지 말아야겠습니다..그냥 하루를 열심히 보내야지..
14시간씩 매일할거 아니면 괜히 거기에 집착하지마세요 저도 수험기간에 한번 18시간 공부해보고싶었는데 결국 한번도 못해봤어요 ㅋㅋㅋ. 10시간 이상 한적도 손에 꼽습니다 진짜. 그래도 성적 나올거 다 나오니까 너무 걱정하지마시구요~지금은 시간 늘리는게 전부같아 보이지만 나중에 뒤돌아볼때 정말 후회하실거에요 거기에 집착하면..
11111 나오고 싶으니까 사실 시간에 집중하는것 같아요..
사실 케바케인건 아는데 막상 시간이 좀 적으면 뭔가 찜찜한기분,..
같은효율로 같은집중력으로 하면 시간많은쪽이 더 잘하겠지만, 결국 남과비교할것없이 스스로와의 싸움에서 덜 후회하기위해선 열심히해야겠지요ㅎㅎ
그렇다면 열심히 하는것도 필요하지만,그렇다고 시간에 너무 전념하지 않는것도 필요하다는 말씀이시군요..
저 수험생때 4시간반동안 안일어나고 집중한 적 많았어요. 근데 조건은 단과 자습실같이 주위에 공부하는 애들이 많아야 해요.
저는 주변에 애들있으면 떠들게 되더라고요...
특별반에 안들어간것도 그이유..
너무 시간에 매달리실 필요없어요ㅋㅋ정해진커리 탄탄하게 소화만 하시면 됨 !!
사실 이게 정답일듯요..
괜히 옛날에 공신닷컴 들어갔어용 ㅠㅠ
근데 솔직히 말씀드리면 너무 시간에 집착하지마세요. 물론 안하는것보다야 낫지만 유동적으로 최고의 적정 시간대를 잡아서 하시는게 좋습니다. 저도 못하는 국어2 빼고는 다 1나왔고 현역입니다. 정작 고3 되돌아보니 하루 자습시간은 4시간정도였던것같습니다
그렇다면 공부할때 손물어뜯거나 하는건 좀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것만 없애면 시간 상관없이 효율적일텐데요 ㅠㅠ
저도 비슷한 습관 있었어요. 근데 그것 자체가 공부시간을 크게 갉아먹지는 않아서 대수롭지 않게 넘겼어요. 마음을 차분하게 가지시면 좀 도움이되지않을까싶네요
사실 제가 마음이 차분하지도 못하고,소심한 성격이라 그런가봐요 ㅠㅠ
그 누군가가 하루에 공부 17시간 안하면 학생이 아니라고 하던게 떠오르네요. (물론 비현실적인 소리...)
ㅋㅋㅋㅋㅋ
그러게요 저도 신기함.. 전 하루 순공부시간(인강 등등 수업 제외 순수자습) 10시간 넘긴 적도 없는 것 같은데. 한동안 시간 재다가 스스로의 게으름만 깨달아서 금방 포기 ㅎㅎ
10시간 넘기기가 힘들구나..
저도 10시간은 한번 해봤네요
학교 친구들 보면 주말동안 12시간 넘기는 친구들도 꽤 보이던데 전 일단 오전은 다 자고 시작해서 망... 미안하다아아악 이런 사람들은 진짜 어떻게 공부한건지 신기해요 ㅋㅋ
ㄹㅇ 공감이요 ㅋㅋㅋ
12시간 넘겨본적은 없어요
도서관 거리가 어느정도인가요? 전 조금 멀리다니는데 힘드네요. . . 밥먹는것도 주문해서 사먹는거라 시간들고;;
저는 20분정도 걸리네요...
그리고 도서관이 두개라 이제 7일 내내 도서관 달리기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