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공대는 예전 같지 않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84954
물론 나는 아직 취준할 고학번도 아니고, 결국 지인도르, 주변도르긴 하다만, 진짜 23~25학번이 간신히 막차를 탈 수 있는 상황이 온 것 같아서 개인적으로 다행이라고 생각함. 앞으로 공대 쪽 진로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현재 학부생이 느끼는 상황을 알려주기 위해서 글을 써봄.
일단 가장 큰 문제는 계약학과가 너무 많이 늘어서 채용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임. 반도체를 포함한 여러 분야(특히 고연봉)에서 계속 계약학과를 늘리는 추세임. 이건 아마 대기업에서 자체 내부 검토 결과, 대학에서 배워도 결국은 다시 실무를 가르치는 데 드는 비용이 크기 때문에, 아예 학부생 때부터 어느 정도 현업과 가깝게 공부시키려는 이유가 크다고 봄.
실제로 올해 상반기 취업에서 회로설계는 전혀 뽑지 않았고, 이쪽 취업을 희망한 취준생들은 손가락만 빨았다는 거임. 차라리 떨어진 거면 억울하지도 않지. 지원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았다는 건 조금 심각하게 생각해야 할 사안임.
아직 계약학과 졸업생이 많은 상황도 아닌데 (고대나 연대, 그리고 4년 뒤 과기원까지 내년부터 점점 졸업자 배출이 증가함), 취업시장이 너무 얼어 있음. 이는 공대의 대기업 하방이 무너지는 결과로 이어짐.
다행히 지금은 산학 연계 채용 트랙이 SKP 대학원에 존재하고, 심지어 KY까지도 일부 있어서 괜찮지만, 점점 대기업은 학과든 대학원이든 계약 트랙을 늘릴 거임. 이는 바이오같이 새롭게 공장을 짓고 인력이 많이 필요한 분야일수록 더 심함. 예를 들어 삼바의 경우 지금 대학원 연계 트랙을 공격적으로 늘리는 상황임. 따라서 앞으로 공대는 계약이 아니면, 애매한 학벌로는 정규직 채용이 더 힘들 거라고 생각함.
한 줄 요약: 계약학과, 메디컬 빼고는 하방 보장은 더 이상 없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509 공통 vs 2606 공통
-
커뮤중독테스트 9
초성으로 먼저 떠오른 말
-
혼자가 오히려 편하던데 우리는 1인석도 있었음 급식실에
-
국어잘하고싶다 2
ㄹㅇ
-
옯만추 좋음 1
밥 얻어먹으셈 ㄱㄱ
-
무물보 2
-
진지하게 저 공부에재능없는건가요? 개념기출이랑 뉴런까지 다 들었고 이제 드릴푸는데...
-
1시간?
-
과목별로 보통 경쟁률이 어떻게 되나요??
-
데일리 10분 영어 영상, 어법, 2025 사관학교 2번 0
솔직히 내용에 관해서 반박하면 대답하기 귀찮은데 문제 푸는데 지장 있는 심각한 오류...
-
난 이거에 대해 진지하게 고찰해봤는데 그 결과는 귀찮아서 못적겟음
-
한수 주간지 구매하려먼 어떻게 해야하나요?
-
홍홍홍 홍박사님을 아세요?
-
24수능 당일 교사진들이 이야기 한 내용 대놓고 지문 정보와 선지간 명확한 대응으로...
-
레벨25 옵뉴비긴 한데 ㅠㅠ
-
차이점 특징 딱딱 집어주실 분
-
끝났네 7
3ㄷ0 ㅈㅈ 피넛 걍 역대급 저점이네
-
엄 .. 3
-
이거 받아도 되는건가?
메디컬을 노리자
아 계약학과가 늘어나면서 오히려 공채 파이가 줄어들수밖에 없겠구나
계약이면 대부분 대기업 아닌가
근데 계약은 파이가 개작은 거로 아는데 그냥 시장이 어려워서 공채도 얼은거 아닌가여?
이게 맞말임. 원래 취업은 거시경제 따라서 잘되고 못되는 운빨 요소가 좀 많음
계약학과는 진짜 말도안되게 극히일부고
전자전기공학부 기준으로는 그냥 작년부터 시장 얼어붙어서 채용 자체를 ㅈㄴ 조금함 (계약 공채 다 더한 기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