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거리곱의 기본 1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75907
거리곱은 계산할 때 다항함수의 식을 적는 대신 x좌표와 x좌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f(x)=mx(x-1)(x-4)인 경우 f(3)을 구할 때 식을 이용하면 f(3)=m×3×(3-1)×(3-4)=m×3×2×(-1)=-6m이고, 거리곱을 이용하면 f(3)=±|m|×3×2×1=-6|m|이에요. 부호는 그래프의 개형에 대해 생각하면서 마지막에 붙이면 돼요.
n중근이 있는 경우에는 거리를 해당 근의 개수만큼 곱해주면 돼요. 중근인 경우 2번, 삼중근인 경우 3번 곱하는 식으로요. f(x)=mx3(x-3)인 경우 f(2)를 구할 때 식을 이용하면 f(2)=m×23×(2-3)=-8m이고, 거리곱을 이용하면 f(2)=±|m|×23×1=8|m|이에요.
다만 허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거리곱을 사용하기 어려워요. f(x)=x4-1인 경우, f(x)=0의 근은 ±1 또는 ±i예요. (i2=-1) 거리곱을 사용하여 f(2)의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3, 1, 2+i, 2-i를 곱해야 되는데 식을 작성하지 않고 그래프만 보면서 허근의 값을 알기 어렵기에 허근이 있는 경우에는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게 더 나아요.
x축이 아닌 다른 직선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도 있어요. 거리곱을 이용하여 구한 값은 기준이 되는 직선으로부터의 상하 거리를 의미하므로 f(x)=m(x+1)x(x-3)+6인 경우 f(1)을 구할 때는 직선 y=6을 기준으로 ±|m|×2×1×2=-4|m|을 구한 뒤 6을 더해 f(1)=-4|m|+6임을 알 수 있어요.
기준이 되는 직선이 x축에 나란할 필요는 없어요. x축과 어떤 직선의 교점의 x좌표를 모두 아는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f(x)=m(x+2)2(x-1)+x+1인 경우 f(2)를 구할 때는 직선 y=x+1을 기준으로 ±|m|×42×1=16|m|을 구한 뒤 x+1에 x=2를 대입한 값인 3을 더해 f(2)=16|m|+3임을 알 수 있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전 글 쪽지덕분에 탈릅한다 18 2
덕코는 내 사랑 호감고닉들한테 넘기고 가겠음 ㅂㅂ
-
비갤 6 1
에도 제 얘기가 올라왔던 때가 있었더랬죠
-
와 어지러워 2 0
수면제 효과 미침 이거 근데 이거 이렇게먹으면내알못일어나눈대 닫ㅇ들안녕
-
한회차에 수열에 절댓값 지수로그에 절댓값 삼각함수에 절댓값 다항함수에 절댓값 절댓값...
-
(국어/수학) 1나오는 지능으로 (수학/국어) 1을 왜 못받지? 대충이럼
-
저 차단하신 분 죄송합니다ㅠㅠ 7 1
다시는 메벤남이 드러누워있는 이모티콘을 개조해서 위쪽방향으로 쉬싸는 그런 이모티콘을...
-
근데 고2 학평 수학이랑 11 4
고3 평가원이랑 난도차이를 잘 못느끼겟음 차라리 24년 9월 고2 학평같은게...
-
이해하기 귀찮아서 ㄱ,냥 외우는데 수능수학도 이해가 그렇게 중요한가싶어
-
님들 올해 생윤 종익이햄 5 1
생윤 종익이햄 올해 개념 작년거에서 딱히 바뀐건 없죠? 개념서 따로 안사고 인강개념...
옹 x축아닌 다른직선으로도!

그렇죠~~실전성 있다 생각하시나요?

평소에 거리곱을 쓰는 사람들은 실전에서도 거리곱을 잘 사용하기 때문에 실전성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해요저도 저런식으로 쓰는데 나름 괜찮아요 근데 단순 계산용에만 그치면 좀 아쉽긴한데 제목에 기본이라고 하셨으니 다른것도 더 다루실듯요
계산단축 개꿀임
신성규선생님이 밥먹듯이 사용하시던데

거리곱을 마스터하셨나 보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