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여러가지 윤리학 파트 질문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73264
메타 윤리학은 학제적 접근을 중요시한다 라고 할수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비갤 6
에도 제 얘기가 올라왔던 때가 있었더랬죠
-
와 어지러워 2
수면제 효과 미침 이거 근데 이거 이렇게먹으면내알못일어나눈대 닫ㅇ들안녕
-
한회차에 수열에 절댓값 지수로그에 절댓값 삼각함수에 절댓값 다항함수에 절댓값 절댓값...
-
(국어/수학) 1나오는 지능으로 (수학/국어) 1을 왜 못받지? 대충이럼
-
다시는 메벤남이 드러누워있는 이모티콘을 개조해서 위쪽방향으로 쉬싸는 그런 이모티콘을...
-
고3 평가원이랑 난도차이를 잘 못느끼겟음 차라리 24년 9월 고2 학평같은게...
-
이해하기 귀찮아서 ㄱ,냥 외우는데 수능수학도 이해가 그렇게 중요한가싶어
-
생윤 종익이햄 올해 개념 작년거에서 딱히 바뀐건 없죠? 개념서 따로 안사고 인강개념...
학제적 접근은 기술윤리학입니다
현대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관습들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과학까지도 접근해야 하니까요
실천 윤리학은요?
실천 윤리학에서는 학제적 접근을 논하지도, 중요시하지도 않습니다. 학제적 접근 = 기술 윤리학만 됩니다
오타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술 윤리학보단 실천 윤리학에서 학제적 접근을 논하는거 아닌가요?
네 실천이 일반적으로 학제적 접근을 중시합니다 예전에 ZOLO라는 분이 기술도 애매모호하긴 한데 될수도 어떠한 관점에서 될수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쵸?.. 제가 잘못 알고있는줄 알았네요;;
잘못 알고 계신 것 같습니다. 수능특강에서는 항상 실천 윤리학의 특징으로 등장했던 내용입니다.
아 메타 윤리학도 라고 할까 그랬네요..
수능특강말고 따로 명시된 게 없는 걸 보니 맞는 선지외에는 잘 안나올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앞 개념을 쳐다도 안 보다보니 너무나도 당당하게 오개념을 들고 말 하고 다녔네요.. 죄송합니다;;
아니에요 귀찮아서 추가로 질문하지 않은 제가 더 잘못을 저지를뻔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