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적/비통사적 합성법이 한국에서만 쓰이는 개념이구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71844
국외에서는 이런 식의 구별법을 잘 쓰지 않고 주요하게 여겨지지도 않음
Bloomfield(1933)에서 syntactic compound(통사적 합성어)와 asyntactic compound(비통사적 합성어) 그리고 semisyntactic compound(반통사적 합성어) 이렇게 세 부류로 나뉜 거에서 한국학계가 이분법적인 syntactic-asyntactic을 수용하고 쭉 써 온 거임. 애초에 Bloomfield는 정도적 개념으로 통사성을 얘기한 건데 우리나라는 이걸 이분법적 개념으로 받아들인 것.
정작 해외에서는 Bloomfield(1933)처럼 통사성으로 합성법을 잘 나누지 않는다고 함
물론 학교문법에서 이걸 수용하니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되지만 학문적으로 별 유효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출끝 풀때 0
스텝1만 수학 1 2 선택까지 다 풀고 스텝 2 3 푸나요? 아니면 수학 1에서...
-
이 정도만 나와도 만족
-
난 솔직히 국어에서 누구를 평가하거나 변별을 할꺼면 당연히 비문학에서 하는게 맞다고...
-
6모 48점입니다 개념은 얼추 다 알고 유형별 풀이법 알면 좋을거같은데
-
다니기 빡셈? 현강신청 광클빡센가?
-
하..
-
필명 추천좀 6
내 예술의 모토임
-
몽
-
되겠지 ㅂㅂ
-
악어오름 이 미친 새끼 16
장난때리냐? 이러면 개나 소나 과탐하면 설의가고 사탐하면 경한갔지 이 미친 새끼...
-
잠잉아ㅏㄴ와 4
지금자면몇시에일어나야얼버기에여?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