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교육 방법론 보다가 현타 와서 쓰는 뻘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70082
안녕하세요, 디시 수갤·빡갤 등지에서 활동하는 무명의 국어 강사입니다.
방금 전까지 대학 독서교육 전공서적과 다른 국어 강사님들의 독서 교재를 펴놓고 공부하다가
'내가 제대로 가르치는 게 맞나?'하고 현타가 와서 뻘글 한 번 써봅니다.
'글(text)'이란 단어는 '문장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언어 표현'을 총칭합니다.
애초에 영어 'text'의 어원이 '직물'을 뜻하는 라틴어 'textile'에서 왔죠.
비유하자면 '베틀의 날실과 씨실이 가로세로로 엮여서 한 필의 옷감을 만들듯
개별 표현이 조직적으로 결합하여 담론(discourse)을 구성'하는 게 텍스트란 뜻입니다.
그런데, 독서교육 방법론은 아직 세계 언어학·교육학계에서도 따로 정립이 안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중적인 영어시험 토익(TOEIC)의 교습을 예시로 들어서 설명해보죠.
토익은 크게 2개의 영역으로 나뉩니다:
◆ LC(Listening Comprehension) - 듣기, 1~100번 문항
◆ RC(Reading Comprehension) - 읽기, 101~200번 문항
이 중 읽기를 평가하는 RC는 다시 3개의 하위 영역으로 쪼개지죠:
- 파트 5(101~130번) - 문장·단문(짧은 글) 속의 문법·어휘 요소
- 파트 6(131~146번) - 실용문(문장 5개 내외로 구성) 속의 문법·어휘 요소
- 파트 7(147~200번) - 장문 독해
이상의 RC 3개 파트 중, 시중의 토익 강사들 대다수가 파트 5·6 빠르게 푸는 법은 잘 가르치시는데,
파트 7(장문 독해)의 경우 가르치는 스타일이 강사·교재마다 중구난방이고 정석적인 모범 학습법이 따로 없습니다.
이거 어디서 많이 본 풍겅 아닌가요?
이런 사정은 국내 어학 시장이 아니라, 미국·영국이나 프랑스·독일 등 서구 선진국 교육학계에서도 비슷합니다.
의무교육을 일찍 시행한 영미권에서는 '문식성(literacy)'을 19세기 말부터 연구하기 시작했고,
1940년대에 이르러서는 '독해 용이성 공식(Readability Formula)'이라는 것들도 나왔습니다.
지금도 토익·텝스·토플 출제위원들이 독해 지문 검토할 때 아래 공식들 변형해서 활용하실 겁니다:
◆ Flesch Reading Ease Formula
◆ Flesch-Kincaid Grade Level
◆ Gunning Fog Score
◆ Coleman-Liau Index
◆ SMOG Index
◆ Automated Readability Index
그런데 이런 공식들은 '영문 텍스트에만 적용 가능한 공식'이라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습니다.
그 사실을 차처하더라도, '독해 용이성 공식'들이 가진 가장 치명적인 단점도 있지요:
"텍스트의 '양(quantity)적 지표'가 내용의 '질(quality)'을 보장해주지 못한다."
쉽게 이야기해서 "글자 수 많고 수식어구·관계절 긴 문장이 모여있기만 하면 내용이 어려운 글이냐?!"
이런 비판에 제대로 답을 못해주고 있다는 소리입니다.
결국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언어 표현'을 수험생에게 어떻게 이해시켜야 할 지"가 독서교육의 화두인데,
저는 "수험생 개인별 독서법은 각자의 인생에 따라 모두 다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독서 경험'이란 건 독자의 인생 경험, 사고의 형성 및 독서 과정 전반에 걸쳐서 형성되는 거니까요.
그리고 "고유한 독서 경험이 누적되어 생긴 저 개인의 방법론을 수업에서 고작 비문학 몇 지문 가르쳐서
학생들에게 이식해줄 수는 없다."는 사실을 생각하니, '제대로 가르치는 게 맞나?'하는 의구심이 들어서
현타가 씨게 오네요.
이래서야 괜히 국어 강사가 사기꾼 소리 듣는 게 아니란 생각도 들고요.
징징메타라 저도 징징글 한 번 써봤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상위 30프로 = 7의남자 인터넷에서 떠도는 7의남자 기준... 연봉은 없지만...
-
안녕하세요 올1 목표로하고있는 n수생입니다. 집에서 혼자 공부를 하고있어 현재...
-
1컷표점120대이고
-
확통 뉴런 관련 4
작년 고2때 확률과 통계 내신이 두번 다 2등급이 나왔습니다. 시발점을 끝내고...
-
장사 잘하는 법
-
친구라고 할사람 6
오르비 친구들밖에 없어 그래서 고맙고 소중해
-
쓰면 봐주실건가요 차칸 오르비언들..
-
22번이 ㅈ밥인줄 알았지...
-
만드는 과정 속에서 정확한 개념도 계속 보고 논리과정 하나하나 뜯어보니 실력도 늘...
-
특히 치즈냥 아니 다가가면 도망가고, 시그널 보내도 절대로 먼저 안오네, 6월...
-
문제 수준이 그때보다 더 조악해진건 우리 ㅅㄱ짱의 중하위권 배려해야 한다는 애미뒤진 생각 때문
-
음악력이 반만 닮았어도
-
역류성
-
42313경북대 6
공대가능할까요..?
-
김동욱 강민철 전형태 유대종중에 언매 인강 누가 좋음 개인적으로 강평이라 강기분으로...
-
행복하세요,,, 4
전틀렷으니..
-
ㅇㅂㄱ 3
ㅇㅂㄱㅇㅂㄱㅇㅂㄱ
-
강k 자체는 대인라 들어도 받을 수 있지만 현장응시 기회가 있다는 게 장점이기도 하고... 흠
-
29틀 21이 제일 어려운듯
-
둘 다 ㅈㄴ 어려운 캐릭터라 그런가 반면에 정크랫은 메타인적이 없음 솔져도 성능이...
인지과학에서 인정하는 독서교육방법은 스키마 독해법밖에 없다고 해요
이렇게 자료도 올려주시고 고민도 하시는 모습만으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