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6평 분석: 일관성, 또 일관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59070
[ 구41생의 무료 커리큘럼 배포 ]
비문학 개론은 오픈되었습니다. E-book과 docs에서 동시 판매합니다.
e-book : https://atom.ac/ebook/13355
docs : https://docs.orbi.kr/docs/13358
여기서는 1차 파이널, "초록을 거머쥔 우리는"을 배포합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dPdnn2jqZfVWytuOtpdizGCbHQUFttFc/view?usp=sharing
(용량이 너무 커서 구글 드라이브 링크를 올립니다.)
6평에서 충분히 더 어렵게 출제될 수 있었던 부분, 총평, 비문학 개론에서 6모 관련 부분 발췌 등을 통해 구성했습니다.
+ 저는 작년부터 간간히 오르비에 칼럼을 올리고, 작년부터 국어 독학서를 쓰기 시작했던 한 의대생입니다. 비문학 개론을 2월 오픈 목표로 작년부터 계속 써왔지만, 생각보다 첫 출판이다 보니 계속 계속 밀린 점 너그럽게 양해 부탁드립니다..! 비문학 개론에 대한 자세한 칼럼은 다음주에 쓸 예정입니다. 책 판매 페이지에 충분히 책에 대해 설명해 놓았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6평이 생각보다 쉬웠습니다.
생각보다 점수를 잘 받으신 분들이 많으셨을 듯 합니다.
비교적 쉬운 시험에서 점수를 잘 받았다고 폄하할 의도는 전혀 없습니다. 쉬운 시험에서 실수 없이 점수를 잘 받는 것도 능력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오히려 쉬운 시험이 등급 따기가 더 어려운 것 같아요.
수능 전에 보는 가장 중요한 두 개의 모의고사 중 하나이기 때문에 쉬우나 어려우나 박수를 받아야 마땅합니다.
올해 초부터 지금까지 달려오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하지만, 6평은 수능이 아니기에 잘 봐서 기쁜 감정은 시험을 본 그 날을 끝으로 훌훌 날려버리는 태도도 필요합니다. 수능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전까지는, 우리 모두 항상 냉정함을 유지하며 일희일비하지 말아야 합니다.
6평, 9평, 이 두 평가원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그 시험을 통한 '내 약점 체크'라고 생각합니다.
시험이 어려워서 내가 평소에 못하던 부분이 도드라지면 약점을 찾기도 쉽고 내가 뭐가 부족한지 알기도 쉽습니다.
하지만, 시험이 쉬우면 점수가 일종의 '속임수'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오히려 내가 스스로 더 6평을 되돌아 보면서 "내가 뭐가 부족했을까? 더 잘 풀 수는 없었을까?"에 대해 진지하게 고뇌 해봐야 합니다. 그렇기에 비교적 쉬웠던 이번 6평이 오히려 거시적인 공부에 있어서는 '두 번의 소중한 약점 체크 기회' 중 하나를 날려버린 꼴이 될 수도 있는 겁니다.
인강을 쇼핑하고 있었다면, 6평은 위기입니다.'
제가 과외를 하다 보면, 또한 제 수험생 시절의 경험을 살려보면 "인강을 쇼핑하듯이 이것도 보고 저것도 보고 하는 학생"이 꽤 많았던 것 같습니다.
저 또한 그랬던 시절이 있기에, 그 심정은 충분히 이해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선생님의 강의 내용, 선생님의 책 디자인, 선생님의 얼굴, 선생님의 딕션을 생각하기 전에 "국어 공부의 뚜렷한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봐야 합니다.
저는 "국어 공부를 해서 결국 도달해야 하는 이상적인 상태"는 "비문학의 경우 모든 지문을, 문학의 경우는 각 갈래별로 모든 지문을 일관적으로 독해할 수 있는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그 '일관성'의 기준은 기출에서 찾는 겁니다. 기출 분석이라는 것이, 그냥 기출 문제집을 사서 쭉 푸는게 기출 분석이 아니고,
-평가원이 글을 어떻게 ‘일관적’으로 써 내려가나?
-그렇게 일관적인 글에서 문제를 어떻게 ‘일관적’으로 출제하나?
이렇게 두 가지를 기출을 통해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그렇게 일관적인 글을 어떻게 ‘일관적’으로 독해해야 하나?
-그리고 일관적인 방식으로 출제되는 문제들을 어떻게 ‘일관적’으로 풀어야 하나?
이걸 찾아내는 공부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기출에서 지금까지 나온 평가원 지문들이 어떻게 일관적으로 쓰이고, 어떻게 일관적으로 출제되는지 분석하는 것이 기출 '분석'입니다. 그냥 풀기만 하면 N제를 푸는 것이랑 뭐가 다를까요?
그런데 수험생은 국어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수학도 해야되고 영어도 해야되고 탐구도 해야합니다. 국어에 할애할 시간이 제한적이라는 말이죠. 그래서 인강을 활용하는 겁니다. 원래 내가 기출을 '분석'하면서 일관성을 발견하고 일관적인 독해 방식을 연구해야 하는데, 그 연구를 인강 강사님이 대신 해주시는 겁니다.
그리고, 핵심은 이제부터 나옵니다.
왜 인강을 쇼핑하면 안되나? 좋은 것은 다 들어보면 결국 도움이 되지 않느냐?
자, 제가 수능 국어의 본질은 일관성이라고 했습니다. 그 일관성을 학습하고 적용하기 위한 치트키가 바로 인강인 것입니다. 공부에서 인강이 차지하는 포지션을 잘 생각해야 합니다.
어떤 느낌인지 감이 잘 안오실 것 같아서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사랑’이 영어로 뭐죠? 그렇습니다. 모두가 알듯이 'Love'죠? 그런데, 미국인이 인식하는 'Love'의 의미와 한국인이 인식하는 '사랑'의 본질적인 의미가 다른가요? 똑같습니다. 언어는 그 뜻을 전달하는 수단일 뿐입니다. 인강도 똑같습니다. 결국 모든 강사, 교재들이 "수능 국어 지문은 이렇게 일관적으로 쓰여요. 그래서 독해는 이렇게 일관적으로 해야합니다." 라는 본질적인 의미를 각자의 언어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강사마다 교재의 내용, 말하는 방식이 다른 이유는 한국인이 한글을 쓰고 미국인이 영어를 쓰는 느낌과 같은 것입니다. 서로의 언어가 다를 뿐, 모두 동일한 내용을 전달하고 있는 것입니다. |
그런데 인강을 쇼핑해버리면 어떻게 될까요? 머리가 터져버릴 겁니다. 본인은 막 실력이 계속 느는 것 같아도, 뇌에서 처리하기 매우 혼란스러울 겁니다.
위에서 든 예시를 활용해서 직관적인 이해를 해보면,
"나는 당신을 매우 사랑합니다." 이렇게 들으면 될 말을,
"나 love 당신 so much." 이렇게 듣고 있는 겁니다. 서로 언어가 섞여버리는 것이죠. 이게 간단한 문장이라서 그렇지 국어 지문 전체가 저렇게 영어와 한글이 섞여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진짜 머리 터져버릴 겁니다. 그런데 그 어려운 수능 국어는 인강을 쇼핑하면서 듣는 인강이 하나씩 늘수록 내가 사용하는 언어가 1개, 2개, 3개....N개 점점 느는 겁니다.
그래서 인강은 쇼핑하면 안됩니다. 처음에 듣기 시작할 때, 내가 이 강사님과 맞지 않다고 느끼면 바꿀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두 강사님을 동시에 듣는 선택은 한번쯤 고민을 진지하게 해봐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구41생-
0 XDK (+500)
-
500
-
나는 풀이과정 길어서 막 다른 문항 침범하고 썼다 지웠다 해서 시험지 꾸깃꾸깃한데...
-
문담피에 피가 0
피어싱이었음? 난 진짜 뭐지싶어서 피자 피넛 이런건아닐거고…ㅇㅈㄹ함…
-
아무 사탐이나 상관없 ex) 1지구=2사문
-
강e분 책만 보는게 나을까요? 강의도 봐야하나
-
현역 고3입니다. 이번에 미적분 27번(실수긴 하지만 어쨌든 틀림)부터 30번까지...
-
27에 나온건 처음 아닌가? 드디어 미쳤구먼
-
허윽 대가리 터진다
-
이렇게 푸는거 맞아요? 27번치고 개빡센데
-
걍 사람들이 지하철에 자리없는데 문열릴때 점프한다는데 실화인가요 ?
-
미적 양많고 어렵고 다 감안하고 선택한건데 확통이랑 컷차이가 한문제밖에 안나는건...
-
존예눈나네 예쁜 여자는 담배냄새도...
-
얘 대학 어디지 5
과잠 어디꺼
-
세계사런한 고3이고요. 이다지 선생님 강의 들을건데 교재도 사야할까요? 수특은 있습니다.
-
남자들 여자한테 먼저 잘해주지마셈 여자를 유혹하는 기술 이런거 아니고 ㅇㅇ 여자는...
-
오르비 5
뻘글로 살리기
-
뭔가 유산소 하는 느낌이네
-
문담피같은경우는 7
피>문>담 순으로 좋음 감사합니다.
-
공부하고 2
쉬려왔는데 사람이 없네
-
드릴 시켰음 12
드드ㅡ드ㅡ드
-
드릴 6 끝나고 설밎이 할까요 아니면 하사십 할까요 공통만입니당 글고 스블 미적...
-
하이 3
이게 무슨일이야
-
국어가 9
요새 엄청 잘읽히길래 엄청 는줄 알앗는데 오늘 그 콘크리트 지문 너무 안읽히고...
-
심심한데 수학공부질받 19
2025수능 6등급노베 2026 6모 미적분 원점수 97점 다풀고 5분정도남음...
-
7모 미적 5
7모 미적76점인데.. 14번까진 다 맞췄고 15,21,22,28,29,30틀입니다...
-
본인 24수능 50점 25수능 48점인데 솔직히 아직까지 전단원을 완벽히 공부했다는...
-
토욜에 대치에서 2
노가리 까실 분 없나요 직거래 일정 애매하게 잡혀서 시간 뜨는데
-
일남들 옷도 잘 입고 잘 생김.. 은근히 키도 길쭉하게 큼 부럽다
-
싸이버거 드가자~
-
지구 아깝긴한데 걍 사2끼고 한의대 가는게 더 이득같기도.. 웩슬러 검사했을때...
-
현역 3모 45464 현역 6평 54445 현역 9평 45544 수능 66 66 4...
-
3번에 3번선지에서 기존 지식에 대한 점검과 조정이라고 나오는데 점검까지는...
-
6평도 마찬가지
-
생윤 질문 0
싱어 관련 선지에서 법에 대한 존중이 강한 민주 사회일수록 시민 불복종이 옹호될...
-
뭔가 떨리네요 서바이벌 서바이벌 이름만 들어봤지 막상 진짜로 응시하는건 처음이라.....
-
수학 황 그리고 지구과학 황 저 지문하나만 받아주세욥.. 11
혹시 기출 몇개년 얼마나 돌리셨어요? 엔제도 말씀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
후반으로 갈수록 몆몆은 6모 2830을 뛰어넘는 난해함인데
-
얼마나 어려웠던거에요? 이제 시발점 시작해서 난이도가 얼마정돈지 모르는데,, 그렇게...
-
7모 동아시아사 0
이거 너무쉬운거아닌가 뭐지 2등급 블랭크나야할거같은 시험진데
-
화작 백98 미적 백99 영어1 사문세지 5050 이정도면 설경 가능..? 제...
-
애들가고 여유생기면 지우개로 벅벅지움 아니 낙서는 종이에하라고ㅋㅋ
-
수시하느라고 겨울밖에 제대로ㅜ못들었는데 이게 맞냐 허무하다 시발
-
언미 백분위 98에 과탐 (생지) 원점수 50 50
-
9번 f(0)-f(-1) -> 인테그랄 -1~0까지 f'(x) 이렇게 하면 뒤에꺼랑...
-
엔제 풀때 하루에 수학1 수학2 중 하나만 집중적으로 하시나요? 아니면 분량 나눠서...
-
허벅지 ㅅㅂ 하 개두껍네
-
현역들만 있는거 감안하면 1컷 화작 90 언매 88 확통 84 미적 78 이정도...
-
어떤가요??
-
한중일중에 중일은 기독교 1%비율인데 반해 한국은 20~30%인데 유독 기독교인이...
-
첨에 사인비 쓰는거 말고는 사인법칙도 안씀 실전에서 풀땐 좀 복잡하게 풀었고 셤 끝나고 다시 풀봄
무료 커리큘럼은 어디서보나용
저도 궁금 강의를 무료로 오픈하신건가요?
강의는 아니고 pdf 파일입니다! 파일이 너무 커서 본문 맨 위에 구글 드라이브 링크로 걸어두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