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생1 복합 확률 2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09456
연관이 존재할 때 복합 확률에 대해 물어보는 경우 확률을 능숙하게 자유자재로 다루려면 주어진 확률을 염색체별로, 형질별로 분리할 줄 알아야 해요. 확률을 염색체별로 분리할 때는 유전자들이 연관되어 있는 염색체에서 n가지만 같을 확률을 기준으로 나누면 돼요.
형질 (가)~(다)가 있고 (가)의 유전자와 (나)의 유전자는 같은 상염색체에, (다)의 유전자는 이와 다른 상염색체에 있다고 해 볼게요. (가)와 (나)의 표현형이 모두 같을 확률을 A, (가)와 (나)의 표현형 중 한 가지만 같을 확률을 B, (가)와 (나)의 표현형이 모두 다를 확률을 C, (다)의 표현형이 같을 확률을 D, (다)의 표현형이 다를 확률을 E라고 할게요.
(가)와 (나)의 표현형 중 (가)의 표현형만 같을 확률과 (나)의 표현형만 같을 확률을 분리하지 않는 이유는 두 확률을 합치는 것이 복합 확률을 계산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에요. 염색체별 n가지만 같을 확률은 복합 확률을 구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니까요.
(가)~(다)의 표현형 중 한 가지만 같을 확률은 BE+CD, 두 가지만 같을 확률은 AE+BD, 한 가지 이상 같을 확률은 1-CE, 한 가지 이상 다를 확률은 1-AD, 두 가지 이상 같을 확률은 A+BD, 두 가지 이상 다를 확률은 BE+C예요. 이를 암기할 필요는 없고 필요할 때 유도해 주면 돼요.
이때 D=E=1/2인 경우 한 가지만 같을 확률은 (B+C)÷2, 두 가지만 같을 확률은 (A+B)÷2인데 A+B+C의 값은 1이기 때문에 한 가지만 같을 확률은 (1-A)÷2, 두 가지만 같을 확률은 (1-C)÷2와 같이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어요. 이를 여집합을 이용한다고 표현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6모 경외감 맞는이유 10
딱 보면 느껴짐
-
제2의 mbti냐
-
좋아요빌런머야 7
내 게시물 왜 다 좋아요가 두개지
-
지금은 현생땜시 클래식을 잠시 그만둘 뿐, 틈틈히 기회될때 객원(?)처럼 서에 번쩍...
-
이거 믿어도 된다고 해줘..
-
ㅇㅇ
-
반수 기숙 0
성적 안보는 기숙학원 있나요...? ㅊㅊ좀 햐주세묘
-
https://open.kaka0.com/o/g1mBhNRb 0만 o로 바꾸고 들어가셈
-
ㅋㅋㅋㅋㅋㅋ 어쩌다 이러케 됐냐
-
htps://orbi.kr/search?q=1325791&type=imin
-
내일 인증할게요 인당 댓글 하나,8:30분까지만 받음 사실상 내일 공부 얼마 안하겠다는거지
-
임신출산부 헉!!
-
6모 성적이고 목표는 일단 sky상경계열입니다. 내신도 정시에서 불이익당하지 않을...
-
울다가 웃으면 2
울다가 웃게됨.. 이건 진짜임
-
아 몰라 어제 짜장면 한그릇밖에 안먹어서 못참겠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