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국어 시기에 왕실에서는 구개음화를 비교적 늦게 수용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09036
근대국어 한글 문헌 중 왕실에서 작성된 경우를 제외하면 18세기 중엽에 이미 구개음화가 거의 완료됐는데 왕실 문헌을 보면 구개음화된 표기가 그렇게까지 많이 보이지 않습니다. 19세기가 되어서야 완전히 정착합니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인데 하나는 구개음화가 남부 방언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적 계층을 따졌을 때 중인 계층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왕실 문헌을 간행하는 사대부들에게는 자신은 수도인 한양에서 지내는 상류층인데 이러한 배경의 음운 변화가 확산된다면 그걸 상당히 부정적으로 인식했겠죠
계층마다 음운 변화가 달랐다는 게 재밌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라고 하는 용감한 남자는 없나봐요 아물론 내가할건아니고 ㅎㅎ
-
잘게요 4
또 신난다고 깝쳐버렸네 죄송합니다
-
모기들어왔더 3
오늘밤은 전쟁이야
-
치대 관련 질문 4
제 목표가 치대인데 탐구를 생명 사문이면 어디 대학을 쓸 수 있나요?
-
해봤자 병신 취급 받거나 숙연해질것들 뿐이야
-
언매 83 (언어1틀 문학2틀 비문학4틀) 인데 언어는 기출 돌리고 잇고 문학은...
-
이파이루트엘씨분에일.. 10
-
또 칼춤이야 4
재밌는 일이 있대서 구경 왔습니다 오르비 진짜 뭐하는 데임 이제? 블록체인 박제는...
-
보기 읽지 말라하는게 더 이해가 안간다 보기 없으니 개 헬
-
저메추 25
급함
-
마지막으로 친게 어제 오전임
-
육체적 건강도 정신적 건강도 관리됨 러닝은 최고의 천연 항우울제
-
시립대 서운하겠노
-
저 격합니다
계층에따른 억양이나 말차이는 사회마다 보편적인거같아요. 그럼 평안도같은곳역시 구개음화가 늦었나요?
네 맞습니다. 그래서 북부 방언은 구개음화가 비교적 늦게 이뤄졌고 특히 북쪽 끝인 육진 방언이 구개음화가 20세기까지 보이지 않았던 것입니다. 최근에는 예전만큼 다른 지역과 고립된 게 아니라 구개음화가 늘고 있다는 보고가 나온다고 합니다.
근데 평안 방언은 좀 특이합니다. 반모음을 탈락시켜서 구개음화를 회피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육진방언은 '텬'이 그대로 '텬'으로 남았지만 평안방언에선 '턴'으로 남았습니다. 중앙어와 남부 방은 '천'으로 남았고요
오 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