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국어 시기에 왕실에서는 구개음화를 비교적 늦게 수용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409036
근대국어 한글 문헌 중 왕실에서 작성된 경우를 제외하면 18세기 중엽에 이미 구개음화가 거의 완료됐는데 왕실 문헌을 보면 구개음화된 표기가 그렇게까지 많이 보이지 않습니다. 19세기가 되어서야 완전히 정착합니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인데 하나는 구개음화가 남부 방언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적 계층을 따졌을 때 중인 계층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왕실 문헌을 간행하는 사대부들에게는 자신은 수도인 한양에서 지내는 상류층인데 이러한 배경의 음운 변화가 확산된다면 그걸 상당히 부정적으로 인식했겠죠
계층마다 음운 변화가 달랐다는 게 재밌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닉들 다 단톡이니 4 3
떡밥이 확 식구나
-
영어 주간지 추천 가능한가요? 3 1
월간 조정식, 주간 키스, 수능루틴 중 생각하고있습니다 시중에 있는것도 괜찮으려나요
-
정법러 다뒤졌냐? 5 0
ㅇ?
-
리틀보이다!!! 1 0
우왓!
-
어 형은 경외감 메타 3 3
뭔지도 모르고 걍 틀렸어~~
-
더 확실하게 두려움 표지 줬을 것 그게 정확한 답 근거가 아니기에 논란인거 이...
-
고정옯비언 4 5
별루잇지두 않은데 거기서 또 단톡이 만들어지는구나..
-
뭐야 6평 쳤음? 2 3
개빨리치네
-
그 파란색으로 새벽을 색칠하던 그때의 나는 다른사람임
-
휴릅+친목메타 간단하게만 5 13
일단 나는 메인 오르비+옵스타 겸 공스타 스토리 염탐정도만 하고 톡방 같은데...
-
ㄹㅇ 왜안해
-
나빼고 씨발 눈이삐었나
-
본인이 개 쌩 버러지 새끼라고 생각하는 사람 있냐 5 0
빨리.. 댓글좀 병신끼리 동질감좀 느끼자 빨리 시발
-
커뮤에서 문학 ^개념어^ 가지고 호들갑떨면 대부분 맞는말인데 괜한 의구심때문에...
-
[칼럼] 생1 복합 확률 2탄 4 3
연관이 존재할 때 복합 확률에 대해 물어보는 경우 확률을 능숙하게 자유자재로...
-
기출 n회독+개념무한반복+수특+수완만으로 1 가능하다 ox
-
심상을 그려보니 경외감이 느껴졌음
-
지하3계랑 젖지사태 3 2
지금 혹시 2022년인가요
-
이거 원광치 가능한 점수임? 7 0
진학사에서 안정 뜨긴하는데 영어 2여도 가능함? 2등급은 3점 감점임 4명에서...
-
내일 기숙들어감뇨 3 0
4번째 입소다 ㅅㅂ




계층에따른 억양이나 말차이는 사회마다 보편적인거같아요. 그럼 평안도같은곳역시 구개음화가 늦었나요?
네 맞습니다. 그래서 북부 방언은 구개음화가 비교적 늦게 이뤄졌고 특히 북쪽 끝인 육진 방언이 구개음화가 20세기까지 보이지 않았던 것입니다. 최근에는 예전만큼 다른 지역과 고립된 게 아니라 구개음화가 늘고 있다는 보고가 나온다고 합니다.
근데 평안 방언은 좀 특이합니다. 반모음을 탈락시켜서 구개음화를 회피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육진방언은 '텬'이 그대로 '텬'으로 남았지만 평안방언에선 '턴'으로 남았습니다. 중앙어와 남부 방은 '천'으로 남았고요
오 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