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1
-
#공지#국어#독학생 9모 '두 출발' 떠 먹여드림 98 30
-
수시 면접 준비할 때 시간이 많이 드는지 궁금합ㄴ다
-
5층 건물에 엘베도 없고 점심시간에 급식들이랑 같이 학식 먹어여되고 일감호 앞은...
-
ㄹㅇ
-
오전 실모 기록 D-16... 5 0
상상 모의고사 파이널 5-3 독서 하나 틀려서 기뻐하고 있었는데 문학 5개 틀림...
-
답변유기하는거 ㅈ같네 2 0
시발 의대면 좀 책임감을 가져라
-
프사바꿈 4 0
귀엽죠
-
유빈 아카이브 진짜 무섭네 6 1
수학 3도 안뜨는애가 서프 푸는걸 보게되다니
-
미친 하드트레이닝 중..
-
칭찬해줘 8 1
오후 수업인데 일찍 학교 와잇는 나
-
이감 6-8 후기 6 0
어떤 분께서 풀면 후기 남겨달라하셔서 남깁니다 독서론+독서1,2번째 지문 =32분...
-
아니 비둘기 샊@ㅣ들 6 0
진짜 도망을 안가노
-
정법 수특수완 0 0
풀어야하나요 정리본 같은거 올려주신분은 없으시겠죠ㅜㅜ
-
쿠키 샀는데... 10 0
갑자기 안땡기노
-
사문 점수계산문제 어케품 5 0
너무어려움
-
수학 실모 몇개풀었지 2 0
진짜 올해푼거만 따져도 셀수가 없을정도네 대충 서바 전국서바 설맞이 강기원모...
-
내가 외대에 갈 수 있을까 10 0
건동홍이라도 뚫으면 다행일 것 같은데
-
개념이랑 기시감 수특 1회독씩 하고 현돌모 풀어봤을때 44-47쯤 나왔습니다...
-
적백. 7 1
근데이제 28을 찍맞한...
-
맹세서) 0 0
저 예아는 절대 수능 전까지 어차피 퀄리티도 안나오고 오류도 가득할텐데 자작문제를...
-
머리카락 너무 길다 3 1
삭발
-
Lightening and the thunder thunder thunder!
-
큐브 답변자들 수준이 아쉽네 5 1
흠
-
요즘 풀모, 기출 위주로 해서 0 1
하프모 2주치가 쌓여버렸…..
-
올해 수학실모 푼 개수 적고가셈 25 0
나는 올해 80개 좀 넘게 풀었음
-
수능날 수학은 0 0
22 28 빼고 다 풀고 28찍맞하는게 베스트 시나리오인듯(나한텐)
-
확통 조건부확률 문제 질문 4 0
답지에 보면 조건부확률이 그냥 경우의 수로 풀어져 있는데 왜 그런 건가요?? 치역의...
-
10덮 확통 76 보정3ㄱㄴ? 0 0
11-14ㅈㄴ 빡빡하다
-
강민철 실모 79 개망함 시발 1 0
아오 씻팔 화작부터 존나 어렵게 느껴짐 독서 가나형 풀때 2문단에서 그래프 이상하게...
-
기하 왜 안하지 4 0
ㄹㅇㅋㅋ
-
수면패턴 시벌거 좆됐네 2 0
하
-
고전소설 넘무 오래걸리네 11 2
이거 작수땜에 그런가 너무 꼼꼼히 읽게됨
-
전날 과민성대장증후군 약 좀 주세요 내일 시험 쳐요 하구 약 받아서 복용하면 진짜 좀 ㄱㅊ음
-
아뷰끄럽네 1 0
걍새벽이라아무글쓴건데 모밴으로 시발 꾸역꾸역 쳐 들어와서지랄이야
-
수능 전날 관장하세요!!
-
시대인재에 환상가지고 있었는데 6 3
시대 국평3이라는 얘기듣고 좀 많이 짜쳤음 생각보다 편차 존나 큰가보네
-
수업 가기 전에 스벅 가야지 !!! 12 1
스메추 !!!
-
강민철 실모 후기 3 0
실모인데 왤케 글꼴이라던지 형태가 교육청 같음ㅋㅋㅋ 김승리가 잘 만들긴하는구나
-
이감 6-5 0 0
독서 생계비에서 3개 언매 2개.. 4회차는 92점이였는데 83점 나왔네요 독서...
-
현강까지 가서 응시하는 인원들 등급 표본이 어떻게 될까요??
-
강민철모고 ㅈㄴ어렵네ㅅㅂ 2 0
이감상상바탕강k다풀어보ㅓㅅ는데 살면서이렇게어려운거첨봄ㅠㅜㅜㅜㅜㅜㅠㅜㅜㅠ...
-
예상등급컷에서 6점은 빼야할것 같은데 시험단에서 표본낸건가>
-
고2 정시 커리 질문 5 1
고2인데 정시 준비하려는데 정시 가이드 커리큘럼 좀 이해가 안가는데 이거 국어랑...
-
사는게 사는게아니다.. 2 1
4=게 4≠게
-
무슨 맛 우유 좋아해요? 16 0
?
-
사문질문 ㅠㅠ 1 0
이거왜 5번이답인가요??ㅠㅠㅠㅠ 제풀이뭐가 틀렸나요ㅠㅠ
-
생윤 작년 수능 질문이요ㅠㅠ 3 0
이거 ㄱ 선지가 롤스 싱어 입장에서 모두 동의한다는데 이유가 무ㅏㄴ가여..
-
조퇴할까 0 0
두통때문에 미치겠네
-
국어 한지문 버린다면 4 0
현소 vs 독서가나 실모풀땐 독서 버리는데 평가원은 물독서인거 같아서 고민...
-
국어 실모 추천좀요 3 0
연계공부 안해서 연계대비도 같이 하는 느낌으로... 풀려고 하는디 퀄 ㄱㅊ으면서...











이번 수능 영어 개인적으로 난이도 어떨거라고 보시나여
매우 무난하면서 쉽지 않을까 싶네요. 그냥 무작정 예측해보자면 1등급 8~9%...역대급 물 6평 때문에 학생들이 많이 영어를 유기할 것이라서 9평 난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9 불-> 무난하면 8~9%
9 물-> 무난해도 5~6%
영어 1등급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2~3에서 계속 진동하는데
2~3 진동이면 일단 안정 2부터 만들어야 하는데,
이건 어휘 부족/구동사 등 표현 숙지 부족/텍스트를 '해석'하는 것을 넘어서 정보를 뽑고 그걸 연결해서 글의 핵심 내용을 떠올리는 연습을 하시는게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이후에 밑에 댓글에 달아놓은 1뚫 방법을 시도해보시면 됩니다.
절평 이후 최고의 불 영어는 몇학년도인거 같음?
(본수능만 놓고 봤을때)
당연히 24가 아닐까 싶습니다만 현장 기준으로 25도 만만치 않았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작수 영어 2받은 사람입니다. 공부엔 왕도가 없는걸 알지만 그럼에도 혹시나 해서 여쭤보게 되네요... 영어를 1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이나 팁 같은게 있으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일단 영어 1을 뚫기 위한 전제는
1. 빈순삽 제외파트를 '빠르고' 정확하게 풀어서 시간 확보한다
2. 빈순삽 유형 자체에 대한 접근 방식과 테크닉(이라고 말하기도 뭐하지만...)을 체화한다
두 개가 전제되어야 1뚫이 가능합니다.
1은 기본적으로 어휘력/해석력은 기본이고 중요해서 꼼꼼히 해석하고 정보를 뽑아야 할 부분/안 중요하고 러프하게 넘겨도 되는 부분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국어에서도 똑같지요. 비문학에서 모든 부분 다 똑같이 천천히 시간 박아서 읽으면 10분대 컷 못하는 것 과 동일한 맥락입니다. 우다다 읽어서 다 날리고 하는 것은 최악이지만, 역으로 1뚫까지 하려면 정확도에 속도도 동반되어야 합니다. 영어 괴수들은 듣기에서 내용일치+앞장 다 터는게 괜히 그럴 수 있는게 아닙니다.
2는 인강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요즘 워낙 강의가 유형별로 잘 되어있어서 맛보기 들어보시고 본인에게 와닿는 선생님을 찾으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나 팁을 드리면
빈칸은 대의 흐름 자체에서 정답 내기+빈칸 주위에 디테일 처리에서 변별
순서/삽입 응집성보다는 일관성에 따른 논리적/내용적 순서 전개에 집중
이 어렵든 쉽든 변하지 않은 요즘 트렌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보다 빈칸은 쉽고 순삽은 어려운 것이지요.
이렇게 자세히 설명해주시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상평시절 기출이 빈칸 빼면 난도가 되게 쉽더라구요 영어 3~4등급정도 친구한테 빈칸 제외 상평시절 기출로 감 잡고 요즘 기출 푸러보라고 추천하는건 어떻까요??
+ 14학년도 킬러 수학과학 지문, 11학년도 빈칸 여러 킬러 문제들
이런 문제들은 도저히 맞출 자신이 없더라구요 이런 문제 맞추기 위한 노력은 절평영어 1 맞는데 너무 과한거겠죠??
네 과합니다. 절평 영어 1과 결이 많이 다릅니다.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최근 기출을 먼저 보고 N제 형식으로 상평 시절 쭉 풀어보는게 좋긴 하다고 생각해요.

근데 최근 기출 난도가 좀 어렵게 느껴진다구 하네요 ㅜㅜ 순서삽입같은 경우는 요즘이 훨 어렵다보니아 빈칸만 제외라면 옛기출부터 봐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충분히 상평까지 안 가도 18~22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마지막 질문 하나만 드릴게요 ㅜㅜ 영어 질문할 사람이 귀해서…
Success divided by pretensions equals self-esteem 어쩌구 지문 아시나요?? 이 문제가 역대 킬러 1위인 것 같은데 ㅋㅋㅋㅋ 전 못풀겠더라구요 도희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109네요 저는 개인적으로는 더 어려운건 1411 mathematics 문제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ㅎㅎ 1109가 역대급인건 지문에 대한 이해보다는 선지가 매우 까다로웠고, pretensions에 대한 독해와 처리가 어려웠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논리(?) 수학적으로 처리하면 쉬운 지문입니다
It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our actualities to our supposed potentialities. 라고 준 것을 수식화 시켜보면
Self esteem=Actualities/Supposed Potentialities 입니다.
그러니 actuality 와 Supposed potentiality가 지문에서 의미하는 바를 찾아야 합니다.
지문에서 It also hints at two ways for raising our self-esteem. On the one hand, we may try to achieve more; and on the other, we may reduce the number of things we want to achieve.
라고 했지요? Self-esteem을 늘리는 방법을 두 개를 준 겁니다.
첫 번째는 분자(성공)자체를 늘리든가
두 번째는 분모(성공하려고 여러 개를 기대하는 것)를 줄이든가.
근데 이어지는 문장에서 The advantages of the latter approach lie in the following statement: To give up pretensions is as blessed a relief as to get them gratified. 라고 두 방법 중 후자에 대해 부연 설명을 합니다. 이 때 give up 하는 대상은 뭐죠? pretension이죠? 그렇다면 pretension이 갑자기 나온 놈이 아니라 앞에 나오는 여러 개 성공하려고 하고, 너무 기대하는 supposed potentiality-the number of things we want to achieve 등의 내용과 이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너무 많이 기대하지 말고, 많은 것을 노력하지 말고, 허식에 빠지지 말자 3단 콤보죠.
그렇다면 아까 수식의 분자 자리에 pretension이 들어가면 수식이 알맞겠죠?
어렵습니다만 결국 요구하는 능력은 끊임없이 대용어/paraphrasing 된 것들을 이어서 연결해가는 것입니다. 능동적 소거도 하면 덜 헷갈리구요!
사탐 선택과목 뭐므ㅓ하셨었나요
한국지리, 세계지리를 했었고, 가르쳤던건 한지,세지,사문을 가르쳤었습니다.
영어 작수 87 올6 88입니다
작년 9평 72점 받을 때까지 영어 공부를 1도 안 하다가 열심히 달려서 극적으로 끌어올린 경험 덕에 올릴 수 있다는 자신이 있었는데 정체가 너무 오래 가는 것 같아서요
아마, 시험지에서 아직 손을 못 대는 문항들이 간혹 있어 이 점수대를 못 벗어나지 않나 생각하곤 있는데 시간단축이 힘들어서요
대의파악 보통 2분 30초~3분 정도 보는 것 같고 빈칸 순삽 남기고 18분~20분 정도 남습니다
작수,올6 둘 다 37,38,39를 못 보고 끝났는데 원래 순삽 유형에 자신 없기도 해서
순삽 유형 공부를 우선 먼저 해두고 이후 시간 단축에 신경을 쓸지
시간 단축을 우선 목표로 설정해둘지가 고민입니다
순삽 유형을 제대로 공부해보시고, 이후에 대의+어법/어휘+흐름,요약+장문 빠르게 터는 것을 연습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딱 지금 필요하신건 이것에 대한 인지입니다.
1. 대의 및 비 빈순삽 파트의 핵심은 결국 논지 파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문의 모든 부분을 뚫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국어에서도 문장별로 강약조절이 되듯이, 영어에서도 그렇게 해야 하고, 강하게 해석 꼼꼼히 하면서 뚫어내야 할 문장에 반응할 줄 알아야 합니다.
2. 순삽은 응집성보다는 일관성에 따른 논리적/내용적 순서 전개에 집중이 어렵든 쉽든 변하지 않은 요즘 트렌드입니다. 옛날에는 응집을 위한 cohesive devices(지시어, 접속사삽 유형을 제대로 공부해보시고, 이후에 대의+어법/어휘+흐름,요약+장문 빠르게 터는 것을 연습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딱 지금 필요하신건 이것에 대한 인지입니다.
1. 대의 및 비 빈순삽 파트의 핵심은 결국 논지 파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문의 모든 부분을 뚫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국어에서도 문장별로 강약조절이 되듯이, 영어에서도 그렇게 해야 하고, 강하게 해석 꼼꼼히 하면서 뚫어내야 할 문장에 반응할 줄 알아야 합니다.
2. 순삽은 응집성보다는 일관성에 따른 논리적/내용적 순서 전개에 집중이 어렵든 쉽든 변하지 않은 요즘 트렌드입니다. 옛날에는 응집을 위한 cohesive devices(지시어, 접속어 등)을 파악해서 잘 붙일 수 있냐로 변별했던걸 최근 들어 그것을 최대한 줄이고 논리적/내용적 순서를 연결할 수 있느냐는 일관성에 대한 인지를 묻고 있습니다. 그것 때문에 빈칸이 아니라 요즘 순삽이 어렵다고 하는거구요. 이걸 알고 접근하는 것이 꽤나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정법과 같이 암기량이 많은 사탐공부법으로는 백지복습이 가장 좋을까요?
백지 복습이 참 좋긴 하지만, 시간이 한참 걸려서 그리 추천하고 싶은 방법은 아닙니다. 개념 복습 철저히(짧더라도 빈도수가 많이) 하시면서 기출 분석 철저히 해서 출제 포인트를 잡고, 그에 맞는 개념들을 채워나가시는 식으로 하시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아이코 이렇게 장문으로 써주실줄이야 ㅜㅜㅜ 사실 지문 이해는 얼추 했는데 pretention이랑 연결을 못해서 아 이건 진짜 못풀겠다 하고 넘기고 해설영상을 봤는데도 잘 감이 안오더라구요 근데 도희님 댓글 보니까 함 다시 풀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결국에 중요한것은 논리구조!!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 ㅎㅎ
하시는 일 항상 화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현 3등급 학생입니다. (6평은 처음으로 80점대 중반 뜨긴 했으나 도저히 이게 일반적인 제 점수라 보긴 어려운 거 같습니다)
영단어장에서 예문을 써놓는 가장 큰 이유는 단어가 사용되는 예시을 보면서 맥락을 알고 자연스럽게 체화되기 위해서인데,
영단어장 예문으로 보통 쓰이는 수능기출 지문들을 활용할 때, 아직 실력이 부족해서, 딱 보고 1초만에 직관적으로 딱 이해가 되는게 아니라, 예문을 읽기 위해서 추가적인 에너지를 소모해야 합니다.
그래서 에너지 소모만 많아지고 맥락 파악 및 예시 활용이라는 본목적이 흐려지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게 정상이고, 공부를 잘하고 있는거긴 합니다. 다만 실제 그 등급대 학생들에게는 예문 읽는 것 자체가 와닿지 않을 수가 있는데, 그 또한 슬프게도 어휘력의 부족입니다.
그래서 제 추천은 일단 1회독 정도는 무지성으로 단어-뜻을 암기하시고, 그 이후에 예문을 보면서 어휘의 쓰임새를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어가 중요한 상황이라면 필수빈출 어휘집 한 개 정도는 빨리 나가고 나서 메인 단어장으로 넘어오시는 것도 좋을 듯 하구요.
작수 성적은 영어 3입니다.(실제 성적은 4가 디폴트 값이고 종종 3과 5까지도 나옵니다)
6월 중순 이후로 공부를 시작할 예정이고 해석공식 basic -> 로즈리 그래머홀릭 -> 해석공식 기출구문 -> 해석공식 논리구조 순서대로 강의를 수강한 후 기출을 풀려고 하는데 괜찮은 커리 같나요? 단어는 워마 수능2000과 강의를 수강하며 모르는 단어들을 정리해서 외울 계획입니다!
네 좋아 보입니다. 다만 너무 해석공식 시리즈(구문 강의)에 집중되어 있다고 생각하니 셋 중 한 개 정도는 빼도 될 것 같습니다. 그래머 홀릭도 어법 강의지만 어법 기반으로 해석을 가르치는 강의기도 해서 너무 모든 커리큘럼이 중복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래머홀릭+기출구문만 하시고, 이후에는 독해 유형별 강의를 수강하시면서 기출에 적용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작수 영어1입니다 2506 80점, 2509 88점인데 작년에는 3주? 정도 실모풀면서 벼락치기로 겨우겨우 1등급 띄웠어요(91점) 부득이하게 반수를 하는데 영어를 무조건 1등급을 받아야하는 상황입니다. 영어 고정 1등급을 만들려면 무엇을 해야하나요?
아 작년에 영어 1등급을 띄운건 걍 인강컨보다 수능이 쉬워 심리적 부담감이 덜했던 것 같습니다. 엔제 형식의 문제를 푸는게 나을까요 기출을 실모처럼? 푸는 게 나을까요? 기억력이 안좋아서 기출은 기억나지 않는 상태입니다.
이 상황에서는 무조건 최근 3~5개년 기출(6,9,11)을 유형별로 분석해서, 각 유형별로 어떻게 접근해서 글을 읽을지, 어떻게 내가 현장에서 선지 판단을 하고 소거를 해나갈지 분석해서 행동영역을 구축해놓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 이후에 인강컨이나 사설 N제/실모 벅벅 하면서 영어 풀이 감각을 익히는게 중요할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2506 80, 2509 88이면 고정 1을 바로 들어가기에는 어휘력 측면에서도 부족하다는 이야깁니다. 어휘도 모르거나 헷갈리는 어휘들 싹 다 정리해서 따로 외워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