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비처음해봄 [602443]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25-06-07 21:45:58
조회수 1,210

회계사(CPA) 질문받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382674

고대 상경 중 하나 나와서 지금 2년차 뉴스탭입니당.

졸업한 고등학교 진로 특강? 갔다가 생각나서 오랜만에 들어와봤어요.

여러분들에 비하면 까마득한 틀딱이지만.. 저도 학생 때 여기서 도움 많이 받았던 기억이 있어서, 혹시 도움이 될까하고 올려봅니다! 


변호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것 같지만 회계사도 나쁘지 않은 직업이랍니다ㅎㅎ


주기적으로 무물 받으러 올게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PAKALOVER · 1283316 · 06/07 21:46 · MS 2023

    연봉 여쭤봐도 됩니까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1:48 · MS 2015

    초봉 6500 내외
    4년차 1장
    그 다음부터는 워라밸과 연봉상승 중 뭘 선택하냐에 따라 다른듯요

  • PAKALOVER · 1283316 · 06/07 21:49 · MS 2023

    헉 ㄷㄷ 초봉이랑 4년차랑 차이가 크네용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1:50 · MS 2015

    1~2년차가 수습기간이라 좀 급여가 작아요

  • 잘 몰라요 · 1382265 · 06/07 21:52 · MS 2025

    엄청 많이받긴 하는구나...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1:54 · MS 2015

    요즘은 근데 탑티어 대기업이나 금융권도 많이 줘서 그 정도는 아니에요ㅋㅋㅋ
    저는 오히려 라이센스가 주는 자유로움이 더 좋은 것 같아요

  • 박종우의 굽네치킨 · 1096659 · 06/07 21:46 · MS 2021

    와 부럽다 존경합니다 선생님

  • 박종우의 굽네치킨 · 1096659 · 06/07 21:47 · MS 2021

    학부 서울대에 cpa 딴거면 인설미니랑 삐까뜨겠죵?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1:49 · MS 2015

    요새 변호사 업황이 좀 많이 안 좋아서..
    변호사 비하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는데, 로생 14기 친구들 인설미니 나와도 블랙아니면 컨펌이 잘 안돼요ㅠㅠ
    물론 이 업계도 불황이지만 sky간판달면 빅4는 무조건 가긴합니다

  • 박종우의 굽네치킨 · 1096659 · 06/07 21:51 · MS 2021

    감사해용 앞날을 위해 잘 참고하겠습니다
  • 오르비안들어올거야 · 1136548 · 06/07 21:46 · MS 2022

    워라밸 어떻게 되나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1:50 · MS 2015

    시즌: 이 돈 받고 이렇게 일하는게 맞나?
    비시즌: 이렇게 일하고 이 돈 받아도 되나?

  • 행복한 아린 · 1392984 · 06/07 21:48 · MS 2025 (수정됨)

    1. 학부 수업이 cpa 공부에 도움 되나요?
    2. 고대 상경 아웃풋 평균치는 대략 어느정도인가요? (ex. 대기업, 중견기업, 공기업, n급 공무원...)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1:53 · MS 2015

    1. 크게 안됩니다. 오히려 저는 학부 졸업 전에 시험 붙고, 남은 학기 회계수업들으면서 꿀빨았네요.
    cpa수업듣고 학교 관련과목 들으면 매우 쉽다. 이게 맞는 것 같아요.
    2. 보통 로씨행(로스쿨, CPA, 행시) 다들 찍먹은 해보는 것 같아요. 실패하면 금융권(증권사, 은행 등) 많이 가는 것 같고, 작년까진 그래도 이름 들어본 회사 많이 갔는데..
    올해는 취업시장이 너무너무 안 좋아서 쉽지 않아보이네요

  • PAKALOVER · 1283316 · 06/07 22:52 · MS 2023

    보통 로씨행 선호도가 금융권보다 앞서나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3:32 · MS 2015

    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 금융권은 아무래도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있는 것 같아요

  • 나희도 · 1254267 · 06/07 21:56 · MS 2023

    1. 성대정도면 회계사 하기에 문제 없나요
    2. 학점 중요한가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1:58 · MS 2015

    1. 저어어언혀 없습니다. 삼정가면 성대 밭임.
    2. 학벌>>나이>>>>>>>>>>>>>>학점 및 기타요소
    이 순서로 법인이 선호합니다.

  • 나희도 · 1254267 · 06/07 21:59 · MS 2023

    그래도 2점대면 문제가 살짝은 생기겠죠..?
    답변 감사드립니다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1:59 · MS 2015

    20대에 븥으시면 전혀 문제없슴다
    30대면 살짝 쉽지 않을수도 있을 거 겉아요

  • 나희도 · 1254267 · 06/07 22:00 · MS 2023

    감사합니다!

  • ؜아현 · 1198961 · 06/07 21:58 · MS 2022

    이번년도 파트포함 6,700명 뽑는다는 소리가 있어서 좀 걱정되네요 리크루팅에서는 어떤 분위기인가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1:59 · MS 2015

    600~700명 말씀하시는거죠? 적게 뽑긴 할건데 이 정도는 아닐 것 같은데.. 확실하진 않지만 삼일삼정 합쳐서 500명은 데려가는 걸로 알고있어요. 여의도도 각 150명은 뽑지 않을까 싶은데..

  • 배진솔 · 1387573 · 06/07 22:03 · MS 2025

    공부 난이도가 수능이랑 비교하면 어떤가요?
    스타일이나 재능 적성등등이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2:07 · MS 2015

    고대 문과 기준 준비생의 20퍼센트가 합격하니까, 개인적인 생각으로 수능보다는 어렵긴한것 같아요!
    다만 수능과는 달리 오래 공부하면 조금씩이나마 실력이 늘고, 부분합격제도가 있다는 건 장점인 것 같아요.

  • 크루키 · 1148194 · 06/07 22:27 · MS 2022

    보통 씨파 준비 몇학년때부터 시작하나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2:28 · MS 2015

    남자기준 군대에서 찍먹하고, 전역하고 주로 시작해요.
    학년으로는 3학년쯤이요

  • 전역하고싶어오 · 1086871 · 06/07 23:00 · MS 2021

    이공계열에서도 진입하나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8 10:12 · MS 2015

    네네 요즘 많이 늘었어요

  • Moonkwa1jjang · 1071174 · 06/07 23:13 · MS 2021

    CPA 시험 준비하는데 기간이 어느정도로 걸리셨나요?? 보통 주변에 합격하는분들은 몇년정도 걸렸었나여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8 10:13 · MS 2015

    저는 3년반 했고 보통 3년반~4년반 걸리는 것 같아요.
    근데 초시때말고는 전업 수험생은 아니고, 학기 병행하거나 놀면서 하는 경우가 많아요

  • 천재명 · 1286122 · 06/07 23:14 · MS 2023

    면허 가진 상태로 외사 ib나 pe 같은 곳으로 진출하기도 함?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7 23:33 · MS 2015

    딜 가신 분들 중 영어되는 분들이 많이 그러죠

  • 천재명 · 1286122 · 06/07 23:47 · MS 2023

    그럼 상방이 엄청나겠네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8 10:12 · MS 2015

    상방 하방 다 뚫려있죠

  • 천재명 · 1286122 · 06/08 14:13 · MS 2023

    법인에서 일하는데 하방은 어느정도 보호되지 않나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8 14:34 · MS 2015

    ib나 pe로 빠지면 법인 퇴사하고 가죠ㅋㅋ

  • 천재명 · 1286122 · 06/08 14:38 · MS 2023

    아 그 말이군요 회계사 자체의 하방 말하는줄
    근데 ib나 pe 업계는
    실적이나 근무 강도 못버티면 나가리 되는 경우도 꽤 있나요? 그래도 제가 본 사람들은 경력 쌓은걸로 대부분 이직해서 잘 사는거 같은데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8 14:40 · MS 2015

    그쵸
    사실 실적만 잘 나오면 끝인게 투자업계니까..
    실제로 일하다 죽은 사람도 봤구요
    재능과 집안 빨을 가장 많이 타는 것 같아요.
    저는 감사라 그 부분이 대하 자세히 알지는 못합니다.

  • 김린트 · 1321700 · 06/09 03:13 · MS 2024

    재수해서 한양대 경영 왔는데 연고경은 가야지 학벌 디메릿이 없다고 얘기를 해서요...

    1. 4대법인을 갈 때 한양대 경영은 아쉬운 학벌일까요?

    2. 재수 한양대경영으로 1년 cpa공부를 먼저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1년 늦게 하더라도 고려대경영을 가는게 좋을까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9 23:42 · MS 2015

    1. 평년기준으로는 절대 아쉬운 학벌이 아니죠. 올해 기준으로는 열심히 준비하면 빅4합격은 문제없는 정도에요.
    2. 무조건 빨리 붙는게 좋습니다. 법인 입사 이후에 학벌은 의미 없어요.

  • 김린트 · 1321700 · 06/10 15:09 · MS 2024

    혹시 1학년이긴 하지만 슬슬 준비해보려는데 추천하시는 교재가 있으실까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10 20:56 · MS 2015

    1학년때는 노는게 최고라고 생각하는데, 굳이 하시겠다면 김기동 회계원리, 중급회계 정도 들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김린트 · 1321700 · 06/10 23:00 · MS 2024

    감사합니다

  • Lobonabeat · 1330083 · 06/09 12:40 · MS 2024

    회계사는 제 깜냥으론 안 될것 같고 세무사 도전해보고 싶은 학생입니다

    1. 초시 이후 공부하실때는 어디서 어떻게 하신지 궁금합니다 ( 휴학하신건지 )
    2. 회계사 시험에 비해 세무사 시험의 난이도가 궁금합니다.
    3. 세무사가 회계사에 비해 가지는 디메리트가 큰지 (역할차이가 큰지) 궁금합니다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9 23:45 · MS 2015

    1. 학기병행하면서 학교 고시반이나 열람실에서 주로 했습니다.
    2. 세무사 시험이 회계사에 비하면 수월하지만, 그렇다고 쉬운 시험은 절대 아닌 걸로 알고 있어요.
    3. 애초에 하는 일이 달라요. 세무사는 개인소득세 신고 업무를 주로 한다면, 회계사는 감사 업무를 주로 하거든요.
    회계사 중 택스를 선택하는 분들은 세무사와 업역이 겹칠 수는 있지만, 회계사는 주로 빅4에 소속되어 법인세 관련 업무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죠.

  • Lobonabeat · 1330083 · 06/09 23:48 · MS 2024

    1. 공부하신 시간의 량도 궁금합니다.
    2. 보통 세무가 회계의 70퍼정도의 범위라고 들어서 여쭤봤습니다.
    3. 이해했습니다. 주변에 회계사분이(개업 회계사) 이번에 세무서비스 이용할 일이 있는데 그걸 처리해주신다고 하셔서요
    4. 그런 차이가 있군요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
    앞으로의 발전과 안녕을 기원합니다 스트레스 덜 받으시고 많이 버세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9 23:53 · MS 2015

    1. 일주일 기준 초시때는 순공60시간, 재시 순공 50시간, 유예때는 4개월정도 바짝해서 순공40시간 정도 했던 것 같아요.
    2. 세무사 시험 세법과목 자체는 회계사 시험과 비슷하거나 좀 더 어려워요. cpa에 실패해서 세무사로 돌려 합격하는 분들이 왕왕 있어요.
    3. 개업 회계사는 간단한 세무업무 정도는 처리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다만 매우 간단한 수준이라 크게 전문성은 없어도 되는 수준의 일에 한해서요.

  • Lobonabeat · 1330083 · 06/10 04:29 · MS 2024

    답변 감사합니다
    학벌이 많이 중요한가 보네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10 20:56 · MS 2015

    원래는 회계사 수요가 많아서 중경외시 이상이면 상관없었는데, 요즘은 채용이 어려워져서 좀 중요한 것 같아요.

  • LanguageGodFather · 1371953 · 06/09 15:59 · MS 2025

    1. 회계사는 변호사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법률 상 아래 행해 질 수 있는 직업인가요?
    2. 회계사가 변호사와 달리 계산적인 업무를 다룬다면, AI발전에 의해 변수가 많은 법률에 대한 지식이 많은 변호사 대비 같은 자격증을 가진 상태에서 미래의 수요와 상충되지 않을까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9 23:48 · MS 2015

    1. 법률 상 보호를 받는다는 질문이시면 맞습니다. 공인회계사법, 외부감사법 등으로 업무영역을 보호받으니, 비자격사가 회계사 업무를 할 수 없죠
    2. 이건 현직들 간에도 핫한 이슈긴 합니다. 다만 AI가 두려운 건 워낙 광범위한 이슈를 막힘없이 해내기 때문이고, 회계사 업무가 계산적이지는 않은 것 같아요. 오히려 논리적 정합성이 중요한 듯 해요.
    개인적으로 저는 AI가 침범 가능한 분야는 오히려 법률적 영역이 아닌가 싶습니다.

  • qwertyqwert · 1162782 · 06/09 18:46 · MS 2022

    경제학과 가면 cpa 시험에 도움이 될까요?
    대학교 1학년때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9 23:48 · MS 2015

    경제학과 가면 도움 많이 됩니다. 저는 1차 경제학 공부에 시간투자 거의 안했어요.
    1학년때는 노십시오.. 미련이 안 남을만큼 노세요. 진심입니다.

  • 경제고집 · 1390431 · 06/09 20:20 · MS 2025

    Cpa만 보고 달려가는 수험생입니다 만약 cpa만 본다면 서성한 상경 vs 시립대 세무 중 어디를 가는게 좋을까요?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09 23:50 · MS 2015

    이건 닥전인데요..? 시립대 세무가 회계사 공부에 어떤 메리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중앙대 상경 vs 시립대 세무여도 전자라고 생각합니다.

  • Lobonabeat · 1330083 · 06/10 04:25 · MS 2024 (수정됨)

    시세무는 세무엔 메리트가 크나 회계는 그렇지 않다고 들었네요
    서성항 상경은 어떤 메리트가 있을까요?
    학벌이겠죠?

  • 뭐어쩌라고. · 1375560 · 06/10 12:48 · MS 2025

    세무사 준비하는 학생입니다. 중앙대 상경 정도면 세무사 합격해서 학벌 디메리트를 받진 않죠?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10 20:58 · MS 2015

    세무사 업계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제가 볼때는 세무사는 영업력이 중요해서 학벌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듯 하긴했어요

  • 인서울라이프 · 1308079 · 06/10 13:55 · MS 2024

    카이스트 재학생입니다. 이공계이지만 cpa에 관심이 있어 전공도 기술경영학부로 갈까 생각중인 상태입니다. 제가 걱정하는 부분이
    1. 회계법인에 들어가면 아무래도 스카이 상경 같은 문과쪽이 많을것 같은데 카이스트라고 디메릿은 없을까요? 학교선배도 많이 없을거 같아서요..
    2. 합격하고 2-3년 정도 대학 다니다가 졸업하고 법인 들어가는 경우 문제 없을까요?

  • 인서울라이프 · 1308079 · 06/10 13:57 · MS 2024

    3. 연차가 쌓일수록 영업능력이 중요하다 알고있는데 제가 인간관계 많은걸 피곤해하는 스타일인데(술도 잘 못마심ㅠ) 실제로 술약속이나 약속이 많을까요? 남자입니다!

  • 오르비처음해봄 · 602443 · 06/10 21:01 · MS 2015

    1. 카이스트 학벌이 장점이 되면 됐지, 단점은 절대 아닐겁니다. 실제로 법인에서 공대생들 선호해요. 입사 후에는 학벌이 크게 유의미하지도 않구요.
    2. 전혀 없습니다. 어린 나이에 붙은게 오히려 장점이죠.
    3. 술을 잘 마시면 술 좋아하는 사람들끼리 친해지는게 장점이자 단점 같아요. 다른 취미가 있으면 비슷한 취미를 공유하는 분들끼리 친해지면 됩니다.
    술을 강요하는 분위기는 전혀 아니에요.
    영업능력은 감사본부 파트너 하려면 중요하고, 품질관리실이나 택스쪽으로 빠진다면 크게 중요하진 않을 것 같아요

  • 인서울라이프 · 1308079 · 06/10 23:25 · MS 2024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