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우산'은 우산과 양산 모두를 뜻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369733
우산은 본래 천으로 만들지 않았는데, 햇빛을 가리기 위한 일산은 보통 비단으로, 비를 막기 위한 우산은 보통 대오리로 만든 살에 기름종이를 바른 것을 말했음. 쇠로 된 살에 방수 처리가 된 천을 씌운 신식 우산은 개항 이후 수입됐음. 이 새로운 문물이 들어오자 기존 단어인 '우산'이 이 신식 우산까지 포함하여 가리키게 되는 의미의 전이를 겪게 됨. 이때 '우산'과 함께 서양식 우산을 뜻하는 '편복산(蝙蝠傘)', 일본식 우산을 뜻하는 '화산(和傘)', 천우산을 뜻하는 '포산(布傘)', 비단우산을 뜻하는 '주산(綢傘)' 등의 어휘가 확인됨. 다른 문헌에서는 편복산과 우산만 나타남. 그리고 '편복산'의 '蝙蝠'은 박쥐를 의미하는데 일본에서 만든 차용어로 서양식 우산을 접었다 펼 때의 모습이 박쥐 날개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은 이름임. 이 때문에 박쥐우산이라는 명칭도 흔히 쓰였음.
그런데 현대와 달리 19세기 말까지 '우산'은 비를 막는 용도와 햇빛을 가리는 양산(陽傘)의 의미를 모두 가졌음. 그런데 신식 우산인 '박쥐우산'이 주로 양산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면서(특히 여학생들과 일반 부녀자들 사이에서도 얼굴을 가리기 위해 박쥐우산을 쓰는 것이 유행이 되었다고 함), '우산'이 가지고 있던 양산의 기능이 '박쥐우산'으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우산'은 본래 가졌던 양산의 의미를 잃고 비를 막는 도구라는 뜻으로 의미가 축소돼 버림.
한편, 전통적인 종이우산은 새로 등장한 신식 우산과 구별하기 위해 '지우산(紙雨傘)'이라는 유표적(有標的)인 이름으로 불리게 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8년생이라 내년에 다시 와볼게요 어차피 아무도 모르는 듣보겠지만 오르비 시간 너무...
-
모르는거있으면 질문주세요 사진 더크개햤어요
-
돔황챠? 2
가?말아?갈까?말까?ㄱ?ㅁ?ㄱ?ㅁ?ㄱㅁ?ㄹㅈㄷㄱㅁ?
-
으흐흐
-
"내가 내면 기출이야 이새끼들아 ㅋㅋㅋ" "꼬우면 네가 내든가"
-
잘자요 1
술 마셔서 졸리다
-
ㅎㅎ
-
확통 기준으로 수완 실모 난이도로 나오면 1컷 올라감 내려감?
-
글자 조합 ㅅㅂ 어케 함 ㅋㅋㅋㅋ
-
제발 그거 저 주시면 안될까요?
-
듣기좋은말로 현혹하는거임
-
작수 언미화1생1 44234 였는데 이번 6모 언기화2생2 원점수 기준 94 96...
-
도전
-
무려 2021 수능 기출변형..
-
시간낭비인가 미적분 하만 한번 볼까 생각중 공통은 흠 모르겠네요
슈룹!
근데 이미 중세국어 시기에 사어가 된 걸로 생각되는...
오 지식하나 알아갑니다
지학사 독서 교과서
'우산, 근대와 전근대가 만나다_김진섭'
연계 ㄷㄷ
오 진짜 있네 ㄷㄷㄷ

교과서 중요성내신기억나네
실내에서 우산펴는게 무슨 신을 거역한다나???하는 뭔 내용이었는데...뭐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