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생1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나온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311618

24학년도 9월 모의평가 9번이에요. A와 B에 대한 자료가 주어져 있지만, <보기>에서 B에 대한 내용은 하나도 찾아볼 수 없어요. 정상 생쥐와 가슴샘이 없는 생쥐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도 아니라서 이 문제에서 B에 대한 설명은 완전히 없어져도 무방해요.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한 자료를 줘 놓고 이에 대해 전혀 물어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문제의 완성도가 떨어져요. 문제를 해결하는 데 B가 도움을 주지도 않아요. 이 문제에 B에 대한 내용이 도대체 왜 있는 거고 평가원은 왜 이렇게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9월 모의평가에 넣었을까요?
평가원이 특정 풀이를 유도하거나 난이도를 낮추기 위해 문제에 과조건을 넣은 것일 수 있어요.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오히려 B가 문제를 파악하는 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원래 선지들 중 하나는 B에 대해서 물어보는 내용이었는데 실수로 A라고 입력된 걸 수도 있기는 해요.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유력한 이유는 따로 있어요.

24학년도 수능 18번이에요. 정상 생쥐와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하여 물어보고 있어요. 9월 모의평가에 가슴샘이 없는 생쥐가 등장한 이유는 수능 전까지 학생들이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하여 공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생각해요.
추론하는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은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한 문제를 처음 보더라도 잘 풀어낼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도 있기에 가슴샘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 미리 생각해 보고 변형문제들을 풀어 보라는 의도였을 수 있다는 거죠.
가슴샘이 없는 생쥐를 처음 마주한 학생들이 이에 대한 문제를 풀기는 쉽지 않을 수 있기에 이런 학생들을 배려해 9월 모의평가에서는 문제의 완성도를 낮추더라도 가슴샘이 없는 생쥐에 대해 물어보지 않고 수능까지 공부할 시간을 준 거죠.
잘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9월 모의평가에서 가슴샘이 없는 생쥐를 보고도 문제를 쉽게 풀고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겠지만 실력이 부족한 학생들 중 일부는 가슴샘이 없으면 방어 작용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거나 찾아보았을 테니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해원 개어렵네 0 0
이해원 1회차 풀었는디 점수는 글케 안 낮은데 올해 푼 모고중에서 젤 빡빡했음...
-
게딱지 지문 생명빨 ㅈㄴ 컸는데 14 1
그냥 두문단정도 스킵하고 품 확실히 지문마다 탐구빨 타는 게 있는 듯
-
나랑 러시안 룰렛할 사람 5 0
5시까지 한강 앞으로 나오세요
-
유재석도 7년동안 폐인생활했대 2 5
Kfc 창업자도 60대에 사업시작했고 우리아빠도 4수해서 잘살아 우라삼촌도...
-
중국어 배우길 잘했다 0 0
따거!
-
킬캠 1회 13번 4 0
확통 84점 맞았습니다13번 되게 어려운 것 같은데 여기 틀렸다는 사람이 잘 안...
-
사문 질받 plz 0 0
https://orbi.kr/00073322611/%EC%86%8C%EC%88%98%...
-
스카에 갇혔는데요 2 1
계속 연장하며 쓰다가 새벽에 끝물이라 연장을 놓치고 공부했더니 자동 퇴실처리되어서...
-
벼르고 있겠습니다.
-
오이시쿠나레 2 0
뿅
-
아니 ㅆㅂ 오늘 특정 후보 지지발언 하면 처벌되는구나 6 1
ㅅㅂ난몰랐지..
-
확통입니다
저거풀면서 문제 성의없이 냈네 싶었는데 저런의도가

풀면서 그걸 생각하다니 대단하시네요! ㅎㅎ진정한 성의없음은 작년 9월 지2
ㄱ. My planet
오

9모에서 한 번 알려주고 가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굿
감사합니다!!!사실 생1 말고도 다른 과탐에서도 9모에서 힌트를 주고 가기도 해요
23학년도 9모 화1에서 처음 제시된 중화적정 밀도문제가
그해 수능에 거의 그대로 나오기도 했죠
기출분석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사례죠

오 그렇죠~ 당해 모의평가에 큰 힌트들이 숨어 있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