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국어 빠른 시일내에 올리는 가장 효율적인 공부법(교정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263109
안녕하십니까? 새롭게 국어 칼럼을 쓰게 된 렐트리입니다. 일단 칼럼에 앞서 제 소개를 간략하게 진행하자면 저는 국어 성적 5등급에서 안정 1등급까지 한 3개월 정도 만에 올린 현역 학생으로 여러분들에게 제 공부 방법을 알려드리려 이렇게 다시 글을 써봅니다. 물론 이런 저의 성공을 누군가는 재능 때문이다. 라고 말할 수 있지만 그래도 제 방식대로 하면 3개월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5개월 안에는 성적을 기하급수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생각하여 글을 올립니다.
1. 자신이 듣는 강사를 체화해라
이건 제가 듣는 강사 유대종에 한정된 것이 아닙니다. 사실 진짜 대부분 선생님은 겨울커리때 비문학과 문학을 대하는 자세를 가르쳐주십니다. 조금 더 세분화되게 나눠서는 철학 지문 과학지문 같은 부분에 대한 접근법도 알려주시기도 하고요. 이때 여러분이 해야 할 것은 마치 여러분들이 현강 학생이 된 것처럼 3시간 정도 강의를 몰입하여 듣고 그 내용을 최대한 숙지하기 위해 혼자 설명해본 후 강사의 체화서를 풀며 풀이 방식에 대한 감을 잡는 것입니다.
2. 일주일에 모의고사를 2~3개를 풀어라.
일단 2번을 설명함에 앞서 제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국어 스케줄은 다음과 같습니다.
5~3등급 후반대 기준
월수금: 모의고사 풀이, 화목토: 직접 하나하나 해설해보기, 일: 강사 강의 듣고 체화서 풀어보기
3등급 초~1등급 후반대
화목: 모의고사 풀이, 수금: 직접 하나하나 해설해보기, 토일: 강사 강의 듣고 체화서 풀어보기.
제가 이런 예시를 들면 혹자는 "아니 강사가 내준 주간지 풀기에도 바쁜데 모고를 어떻게 푸냐?"라고 말씀하실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저는 단호하게 말합니다. 주간지 풀지 마시고 교육청과 평가원 모의고사를 뽑아 풀거나 직접 실모를 사서 풀어보세요. 사실 주간지 같은 경우는 짧은 시간 동안 2~4지문을 풀면서 국어 감을 익히기 위한 목적이 크지, 모의고사만큼이나 빠르게 성적을 끌어올릴 수는 없습니다.
1) 일단 근 4~5개년 치 교육청 모의고사 중 하나를 골라서 풀어본다. (비싼 실모 굳이 필요x)
사실 시중에 파는 실모가 매우 비싸기도 하지만 제가 교육청을 풀어보라는 이유는 사실 교육청의 질이 일반적으로는 사설보다 더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물론 교육청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정보량이 지나치게 많은 지문이 있기도 하고 때로는 정말 비문학이 더럽게 나오기도 하죠. 하지만 그래도 전반적인 논리 전개 혹은 문학에서의 명확성을 보기에는 교육청이 사설보다 뛰어나므로 저는 굳이 연계 학습 효과를 보기 위해서가 아니라면 교육청 모의고사를 풀어보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연계 학습은 어느 정도 실력을 쌓은 이후에 하셔도 됩니다) 일단 교육청 모의고사를 두 개(하나는 복습용) 뽑아 준비해두세요(저는 주로 B4용지로 뽑았지만, A4가 괜찮으면 그걸로 뽑으세요) + OMR도 뽑으시면 좋습니다.
2) 모의고사를 준비한 후 5~10분 간 강사가 이전에 알려준 문제 풀이 방식을 정리해라.
일단 여러분이 강사의 스킬을 체화하기 위해선 사실 체화서보다 이 방법이 더 좋을지도 모릅니다. 잠시 눈을 감거나 자신의 필기를 보면서 강사가 알려준 접근 방식을 다시 복기해 보시고 실전에서 어떻게 적용할지 생각해보세요.
3) 80분 타이머를 제고 실전처럼 모의고사를 푼다.
5~3등급의 대다수의 학생분은 이러면 거의 무조건 1지문 정도를 손을 대지 못하실 겁니다. 뭐 걱정하진 마세요. 일단 80분 타이머가 끝났다면 당장 풀이를 멈추시고 이전에 푼 것까지 채점해 답을 매기고 이후에 못 푼 문제들을 지문당 7~10분 잡고 풀어보세요.
그런 다음 간단하게 채점만 한 후 그냥 내가 뭘 틀렸는지만 훑어보시고 모의고사를 쟁여놓은 다음 다른 공부 하시면 됩니다. (당일 모고 문제를 하나하나 전선지 해설하면 상대적으로 힘이 달려 덜하게 되더라고요)
3. 모의고사를 푼 다음 날에는 자신이 푼 모의고사에 대한 해설지를 직접 작성하라
일단 이 방식도 등급 대 별로 추천하는 방식이 다르니 일단 개괄식으로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5~3등급 후반
1. 모의고사의 모든 독서 지문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 노트에 정리하세요. (자세히)
2. 모의고사의 34문항(공통) 전선지를 근거를 꼭 문장으로 작성하여 해설하세요(이 등급대 학생들은 따로 노트를 준비 하시는 게 좋습니다) + 선택과목의 경우에는 틀린 문제와 아리송한 문제 위주로 해설 작성하세요.
3~2등급 대 후반
1. 모의고사의 독서 지문을 단권화하여 정리하세요. (굳이 노트 필요 X, 구조도 그린다는 느낌)
2. 모의고사의 34문항(공통) 전선지를 근거를 작성하되 맞았던 문제는 간단하게 해설하세요(이 등급대 학생들은 그냥 하나 더 뽑아놓은 모고에 직접 푸시면 됩니다.) + 선택과목의 경우에는 틀린 문제와 답의 근거가 애매한 문제 위주로 해설 작성하세요.
개괄식으로 설명하였으니 이제는 정확하게 해설을 작성하는 방법과 정리 방법을 간단히 설명해 드릴게요.
일단 독서 지문을 노트에 정리하라는 말은 가장 기본적으로 말해선 각 문단과 문장이 뜻하는 바를 정확히 의미하는 바를 단권화하여 적으라는 것입니다. (마치 구조도를 그리듯이요) 이때 자기가 실력이 떨어진다 생각하시는 학생분들은 최대한 혼자서 해보되 도저히 이해가 안 되면 별표를 쳐두고 강사와 함께 정리하세요. (EBS 해설 강의도 좋으니 참고하세요)
그런 다음 하나하나 모든 선지에 근거를 달아보는 것입니다. 이 과정이 매우 지루하고 짜증이 날 텐데, 하다 보면 정말로 내가 허접한 근거를 잡아서 감으로 풀었구나를 느끼시게 될 겁니다. 이렇게 하나하나 근거를 잡고 줄글로 뭐가 잘못됐는지 적어나가 보세요. 적어도 3등급 후반까지는 이렇게 하셔야 빨리 늡니다. (2등급 대 학생들은 이렇게까지 깊게 안 해도 됩니다. 시간이 금이잖아요) 그런 다음 해설서와 대조해 본인이 놓친 포인트 파악하시고 혹시나 이해 안 되는 문제가 있으면 별표치고 해설을 보시거나 강의를 보세요.
그렇게 정리가 다 끝났다면 이제 매주 이걸 반복해보세요. 정말 끔찍하게 지루할 겁니다. 근데 하루하루 열심히 하다 보면 분명히 빠른 시일 내에 실력이 오르실 겁니다.
질문은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깜깜할 때 별이 더 잘 보입니다. 자정이 지나면 낯설음도 뼈아픔도 다 설원입니다. 국어 치열하게 독하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며칠이에용?!! 전2년…이사가서헤어ㅣㅁ
-
근데 문제 만들기엔 수학실력이 허접하다
-
밑밑밑글 스팸 1
-
1688824 이거의미 맞추면 1000덕
-
커뮤니까 하고싶은 말함 12
국가 발전을 위해 힘쓰고 싶고 기부도 열심히 하고싶습니다
-
다들연애 15
몇번해보셧나요
-
툐끼의사가될테야 8
토끼인데 슈의대다녀 토끼들 사이에선 의사인거임
-
없음
-
진짜 호감배우임 ㄹㅇ
-
에베레스트 산 높이임
-
오래된생각임.
-
망상임
-
응애
-
ㅇㅅㅇ
-
그냥 조용히좀 했으면
-
2010년도부터 지금까지 ㅈ같은 글만 쓰고잇음
-
스블 뉴런 0
뭐가 더 어려움? 고점기준
-
아마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문만 배우기 시작할듯 1,2달 지나면 문제 퀄 진짜...
-
기준 3
☆☆☆☆☆좆같은 약코러or상습기만ex)저능뭐시기 ☆☆걍 보기가 힘듬 ☆☆날...
-
어디 한번 날.뛰.어.보.라.굿?훗
-
재산 ㅇㅈ 5
ㅇㅅㅇ
-
이정도로 문제가 있으면 걍없애는게
-
소쿨러버도재릅함 4
여전히병신임.
-
한완수만 진행 0
지금 한완수 상, 중 1회독 했는데 2회독 할 예정입니다. 한완수에 있는 문제만...
-
여기진짜 신세계다… 13
커뮤이런거첨해보는데 너무신기해요돈도벌수잇고… 덕?인지뭔지 쥬신분들감사함니당 요기...
-
난왜케Mz하지 6
좀신기하네
-
다른분의 입시 칼럼을 도와드리기로 했어요 제 이름은 그곳에 안 실리지만 발견하고...
-
Xdx가뭐예요 15
이거머하는거에요? 돈임?
-
요새 보면 신기해..
-
. 18
-
이사람 사운드활용이 ㄹㅇ 말안되는데
-
모기 잡았어요 11
아직 힘이 부족할땐가 에프킬라 한방에 죽네
-
사실2받고싶은데 사회사상파트를진도를못나갈거같음
-
ㅋㅋ 옷벗고 누워있음
-
진짜병신은 5
커뮤에서도도태됨 와우
-
무게 좀 나가는데 뽁뽁이 사는걸 까목음
-
반에서 하위 5프로면 강등인데 반이 10명임 나 반으로 쪼개도 안되죠? 우끼끼
-
뭐지..
-
차단목록 ㅇㅈ 29
.
-
진짜 자야겟다 1
ㅂㅂ
-
나급함 하르에 8시간정두 가능
-
차단목록 ㅇㅈ 2
하면 상처받을테니 안함
-
차단목록? 0
-
발바닥 핥기 0
미소녀 발바닥 할짝할짝
-
해가 지날수록 그 비율이 점점 높아지는 거 같음
-
있나요..? 어느정도 선인가요
-
으악우악우 최저러라 무조건 2받야되는 상황인데 기하냐 미적이냐가 갑자기 고민되네
-
졸업 못해서 정시준비하는 나.
-
보존력이라는거 7
이해가 안됨 그냥 복잡함 나한테 물리학과 업나 수학과나
-
딴건 약간 감상 그냥 독해 이런거 되게 추구하는데 과의기술은 되게 약해서 이거만...
선지에 근거다는거 공부 처음할때 하면 감각 올리기 좋음
갠적으로 3등급때 까지는 계속 달아봐야 셤장가서 확실한 근거로 문제풀이 가능하다 생각
교육청>사설 ㅇㅈ
멀 아시는군요
혹시 기출 여러번 풀었어도 기출로 모고 보는 거 추천하시나요?
교육청 기출로 보시고 주요 기출은 굳이 다시 모고로 볼 필요는 없을듯요
듣는 강사가 없다는...(들어도 연계 대비/파이널 말고는 할 생각 없어용)오늘 모고 풀었으니 내일 모든 선지 해설해볼게여...감사합니다!
처음에 강사분들이 알려주시는 문학 비문학 접근방법이나 등을 알려주시는 (인셉션)같은 강의를 다 듣고 하면 의미가 없나요? 글처럼 들으면서 해야하나요?
들으면서 그때그때 배운내용을 누적 적용하는게 나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