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san [1006453] · MS 2020 · 쪽지

2025-05-27 20:42:03
조회수 145

지1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254008

진짜 1도 모르겠는데.. 복각 일정한 부분이 해양지각이다 까지만 이해했어요 


복각 변화량이 일정한게 왜 퇴적속도 증가를 뜻하는지, 해령 위도가 왜 증가한건지… 봐도봐도 모르겠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대를 보기 위해 살아가는 중 · 1344017 · 05/27 20:46 · MS 2024

    ㄱ은 복각 자체가 위도를 지칭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복각이 증가했으므로 위도도 증가하는 것이 맞습니다.

  • 리미익 · 1385505 · 05/27 20:49 · MS 2025

    복각 감소한거 아닌가용?

  • 응가싸 · 1390174 · 05/27 20:50 · MS 2025

    깊은 곳에서 시추한 복각이 과거고 그때 복각보다 현재 복각이 적으니까 위도가 감소한거 맞지 않나

  • 공부하기싫아 · 1284439 · 05/27 20:51 · MS 2023

    y축 숫자 다름

  • 응가싸 · 1390174 · 05/27 20:51 · MS 2025

    그건 상관없지 시추 지점이 다른데

  • 응가싸 · 1390174 · 05/27 20:53 · MS 2025
  • 응가싸 · 1390174 · 05/27 20:53 · MS 2025

    이거 아닌가

  • 공부하기싫아 · 1284439 · 05/27 20:55 · MS 2023 (수정됨)

    한 방향에 위치한 해양판에서 시추한거면 한 해령에서 생성된거 아님?

  • 공부하기싫아 · 1284439 · 05/27 20:57 · MS 2023

    이 상황 아님?

  • 그대를 보기 위해 살아가는 중 · 1344017 · 05/27 20:54 · MS 2024 (수정됨)

    퇴적물의 두께 자체가 a<b<c순이니까 나이도 c가 제일 많은데요. C가 복각이 가장 작으니까 복각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라는 걸 알 수 있죠

  • 부엉이가물에빠지면첨부엉첨부엉 · 1232145 · 05/27 21:27 · MS 2023

    이해하셨나요?

  • 부엉이가물에빠지면첨부엉첨부엉 · 1232145 · 05/27 21:41 · MS 2023

    해령이 위도 증가중인건 c가 제일 오래됐고a가 가장 최근에 만들어졌는데 c가 생성될때의 해령은 복각 30, a가 생성될땐 60이라서 해령은 점점 북상중이고요

  • 부엉이가물에빠지면첨부엉첨부엉 · 1232145 · 05/27 21:58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leesan · 1006453 · 05/27 22:18 · MS 2020

    어 저 이해된거같았는데 혹시 틀린내용이었나요..??

  • 부엉이가물에빠지면첨부엉첨부엉 · 1232145 · 05/27 22:30 · MS 2023

    아뇨 맞는데 엄밀하지 못한거같아서 헬스하다가 이거때매 오늘 운동 그만하고 샤워후 독서실 들려서 그림 그려가면서 설명드리려고 했는데 이해하셨다니 다행입니다

  • 부엉이가물에빠지면첨부엉첨부엉 · 1232145 · 05/27 22:34 · MS 2023

    근데 쉽게 생각하려면 bc 퇴적속도 일정하다했으니 bc그래프 기준으로 퇴적속도가 점점 빨랐다면 느렸다면 가정하고 그래프 그려볼때 어떤쪽이 직선에 더 가까워질지 생각하는쪽이 더..시험보는 상황엔 적합할 것 같아요

  • leesan · 1006453 · 05/27 22:36 · MS 2020

    아 진짜 죄송한데 다시 설명해주실수 있나요… 순간 이해했다가 망각돼버렸어요ㅋㅋㅋㅠㅠ 캡쳐해놓을걸….

  • 부엉이가물에빠지면첨부엉첨부엉 · 1232145 · 05/28 01:36 · MS 2023 (수정됨)

    아 이제 봤네요 어딜 몰라 하시는지 모르니까 처음부터 설명 드릴께요

    c가 제일 깊은곳에 해령에서 만들어진 해양지각이 존재 하는데, 해양지각의 복각이 30 50 60이니, 해령은 점점 고위도로 가는중이고 북반구라서 북쪽으로 가는중이고요(여기서 해령이 북쪽으로 가는중이면 북쪽 해양판 속도가 더 빨라서 더 빠른 속도의 절반만큼 북쪽으로 해령이 움직이는 중이란걸 알고가시면 더 좋습니다)

    동서방향 축으로 한방향에 있으므로

    ———
    A(고위도)
    B
    C(저위도)

    이렇게 있어요
    (해령이 실제로는 어떤식으로 위치한지삐딱할지는 모르겠으나 어차피 위도만 볼 상황이라 남북성분벡터로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여기서 모든 지점이 깊이가 얕아질수록(=시간이 지날수록)복각이 감소중입니다 그럼 각 지점이 속한 해양판은 모두 남쪽으로 가는중입니다

    a는 퇴적속도가 다르고 복각변화량이 일정하게 보이는 상황인데 각 판은 일정한 속력으로 이동중이므로 위도는 일정하게 감소중입니다

    위도가 일정하게 감소중이라면 오른쪽 위도와 복각 그래프를 보면 알겠지만 위도가 감소할수록 복각감소량이 커져요

    그러면 이해하기 편하시려면 오른쪽그래프에서 역함수로 위도 복각 바꿔서 보시는게 편한데, 위도90>80으로 변할때 복각은 조금 변하고,위도 10>0으로 변할 때 복각은 엄청 많이 변합니다

    그래서 bc보면 살짝 볼록한게 점점 저위도로 갈수록 변화량이 커져서 그래요

    그럼 a도 퇴적 속도가 일정했다면 위로 볼록해야했겠지만, 그걸 직선처럼 그려지는 그래프가 되려면 복각이 급하게 변화되는 구간에서 그만큼 더 빨리 퇴적돼야 직선처럼 그래프가 그려지겠죠.

    +혹시 이해 안되시는 부분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부엉이가물에빠지면첨부엉첨부엉 · 1232145 · 05/28 01:42 · MS 2023

    그리고 저 위에 시험칠땐 bc그래프 기준으로 생각할 것 같다는게 공부할땐 저런 과정을 하나하나 다 생각해 보면서 엄밀히게 다 따져가며 공부하는게 좋지만 시험칠땐 저런 주어진 점을 적당히 활용해서 풀었을것 같다는 말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