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클린한 에너지인 핵융합이 개발 완료된다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244618
(ai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어쩌구)
환경운동가들은 이를 기뻐할까?
글쎄..
금뱃지까지 달고계신 모 환경운동가분 어록 중에
"핵융합은 태양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핵융합을 실현시키는 것은 지구에 태양을 구현하겠다는 목표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라는 말이 있음
(과학밖에 모르던 내가 정치에 관심을 갖도록 한 장본인이심)
이사람 말고도 수많은 '환경단체'의 수장들은 핵융합을 반대함
저 사람들 (개인의 생각은 자유이므로 모든 탈원전 지지자들을 지칭하는게 아님. 환경운동연합, 그린피스, 에너지전환포럼 등 환경단체를 자처하는 정치세력들) 은 왜 '핵'만 들어가면 반대를 할까
핵을 이용한 발전 방식은 사실상 대부분의 다른 방식보다 기술적으로 우월함
연료 효율은 비교도 안되고 온실가스도 안나오며 심지어 연료비조차 저렴함
특히 핵융합은 기존 핵분열이랑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훨씬 더 안전하고 방사성 폐기물 문제도 없음
이 기술이 대중적으로 쉽게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이유는
이미지밖에 없음
핵에 대한 이미지는 과학적 사실보다는 정치적 프레임과 감정적 공포에 의해 형성되어 왔음.
수십 년 동안 미디어는 ‘핵’이라는 단어에 전쟁, 재난, 암, 유출, 폭발 같은 이미지를 덧씌워 왔고,
그 결과 핵기술은 실체와 관계없이 '위험한 것'으로 각인되어버림.
핵융합은 이 판을 뒤엎을 수 있는 기술임.
그런데 정작 이걸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거칠게 반대하는 쪽이
아이러니하게도 “지속 가능한 미래”, “깨끗한 에너지”를 외쳐온 환경단체들이라는 것.
그들의 주장은 매번 비슷한 패턴을 가짐.
“기후위기가 심각하다.”
“지구는 이미 임계점을 넘었다.”
“그러니 우리는 줄이고, 멈추고, 감내해야 한다.”
즉, 언제나 결론은 덜 쓰자, 불편을 감수하자, 성장은 위험하다는 쪽으로 흘러감.
이 논리가 옳고 그름을 떠나서, 항상 사람들을 긴장시키고 위축시키는 방향이라는 점이 흥미로움.
그런데 그런 논리라면, 핵융합처럼 기존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했을 때
가장 먼저 박수쳐야 할 사람들이 왜 도리어 두려워할까?
그 이유를 그들의 입으로는 듣기 어렵지만,
그들이 만들어낸 결과는 명확함.
언제나 결핍이 미덕이 되고,
편안함은 죄책감의 대상이 되며,
가능성보다 자제와 통제가 앞세워지는 사회.
핵융합이 현실화되는 순간, 지금껏 유지되어온 많은 명분과 전제가 흔들리게 됨.
사람들이 더 이상 ‘덜 쓰는 삶’이 아니라 ‘더 풍요로운 삶’을 상상하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
그리고 그런 변화는,
오랫동안 ‘불안’과 ‘절제’를 기반으로 영향력을 행사해온 이들에게는 꽤 불편한 진실일 수도 있음.
결국, 정말 어쩌면…
사람들이 불편을 감수하지 않아도 되는 세상은
누군가에겐 달갑지 않은 세상일지도 모름.
-------
결과적으로 저런 애들이 주장하는 탈원전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는 글을 쓰고 싶었는데 능력의 한계로 실패
대충 어디즈음부터 느낌이 확 달라지는지 보이지 않나요 ㅎ.ㅎ..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미소녀 진짜많네 여기 16
ㄹㅇ
-
그냥 태어나는 그 순간 운빨 한번에누구는 도쿄 23구 사는 미소녀 인생 누구는...
-
쫑느 파이널커리 자료 어떻게 되는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모의반,정규반 둘 다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인컨 이름이 좀...
-
화공/신소재 계열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선택과목 선택 시기에 물리치료사를 희망하기도...
-
김지석 수학 단권화 문과,이과편 차이가 머죠?
-
배당금 맛있다.
-
나 동안인가 으흐흐
-
진짜 최악의 미래를 생각해도 몸이 안움직여줘..
-
뉴런 다 듣고 2회독때 풀기 vs 병행하기
-
꼬x잉..
-
학교다니면서다른시험도준비한다는건정말말이안되는일이엇구나 1
뭐하나쳐내면쉴틈없이자꾸공부할거리를난사함근데이미패스삿는데중도포기못하는데
-
새삼느낀다
-
왜 해조류가 비생물적요인이니 왜 개채군 내인데 분서니 좆병신새끼야

조용히 모밴으로 두고 나중 나-중에 아 얘가 맞았구나 해야지
캬오타만 좀 수정함
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