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헷 현역 물2러인데물2유기함 · 1373439 · 7시간 전 · MS 2025

    이거 B-C가 구름 생성구간이라 이슬점감률 제일 높은거 아님?

  • 정시의벽 · 1094679 · 7시간 전 · MS 2021 (수정됨)

    ㄴ에서 감률이 아니라 감소량을 물어봤음

  • 헤헷 현역 물2러인데물2유기함 · 1373439 · 7시간 전 · MS 2025

    아 감률이랑 감소량 다른거임?
    이거 원본이 절대습도 감소량일텐데
    문제 변형하면서 잘못나온거 같은데 그럼

  • qbodpbo · 1227343 · 7시간 전 · MS 2023

    제가 생각했을 땐, 일단 이슬점 감률=2, 습윤=5는 전제로 하고, 온도 감소량=고도이고 왼쪽이 등간격이므로 구간에서 움직인 고도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온도 변화량이
    감률이 5인 II구간이 (약 5°C 변화)
    감률이 2인 III구간의 (약 10°C 변화) 2.5배보다 크므로
    이슬점 감소량은 II에서 가장 큽니다.

    이게 출제 의도였다면 감률 값을 제시해줬어야 될듯

  • 정시의벽 · 1094679 · 7시간 전 · MS 2021

    아 말씀하신 건 이해했씁니다 감사합니다

  • qbodpbo · 1227343 · 7시간 전 · MS 2023

    제가 생각했을 땐, 일단 이슬점 감률=2, 습윤=5는 전제로 하고, 온도 감소량=고도이고 왼쪽이 등간격이므로 구간에서 움직인 고도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온도 변화량이
    감률이 5인 II구간(약 5°C 변화) -> 고도 약 1km
    감률이 10인 III구간(약 20°C 변화) -> 고도 약 2km
    구간 I는 III보다는 낮음

    여기에 이슬점 감률을 적용해 보면, II에서는 5, III에서는 2이므로 이슬점 변화량이 구간 II에서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네요

    이게 출제 의도였다면 감률 값을 제시해줬어야 될듯

  • qbodpbo · 1227343 · 7시간 전 · MS 2023

    잘못 작성해서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