녕뇨료료룡 [1275969] · MS 2023 · 쪽지

2025-05-21 20:42:34
조회수 250

허수 5덮 사문 4번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208423

4번에 4번선지에서

기능론과 달리 갈등론은 직업 유형 간 사회적 중요도의 우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는다.

라는 선지가 오답인데 갈등론은 직업에 귀천은 없어서 중요도를 판단하기 어려우니까 정답아닌가요?…

답지는 비판을 받는건 기능론이라고 나와있네요

오히려 기능론은 폐지 줍는분들보다 의사가 더 돈을 많이버니까 그만큼 중요도가 높은거구나 하고 알수있잖아요

머에요 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호또 · 1253197 · 10시간 전 · MS 2023

    기능론은 직업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고 보잖아요. 이부분 관련 기능론에 대한 비판을 하려면 직업의 중요도를 판단하는게 어렵다(=쉽지않다)라고 하는게 맞죠
    직업의 중요도는 주관적일수잇으니까

  • 호또 · 1253197 · 10시간 전 · MS 2023

    어렵다의 뜻을 다르게 해석하신거 가튼디

  • 녕뇨료료룡 · 1275969 · 10시간 전 · MS 2023

    뭐 기능론아 직업에 귀천이있다고? 직업에 우위가 어딨냐 다 중요한거지 우위를 따지긴 어렵거든??
    의 느낌의 어렵다 라는 말씀이신거죠??

  • 호또 · 1253197 · 10시간 전 · MS 2023

    네네네 의사랑 청소부랑 귀천 어케 따질건데 관점에 따라 다르지 이느낌이요

  • 녕뇨료료룡 · 1275969 · 10시간 전 · MS 2023

    비판을 받는다 라는 말이없으면 기능론은 차등분배를 주장하니까
    우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수있는거죠??

  • 호또 · 1253197 · 10시간 전 · MS 2023

    기능론에서는 각 직업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사회 불평등 현상은 직업별 중요도에 따라 자원이 차등 분배된 결과라고 보니까 맞져
    기능론에 따르면 이러한 자원의 배분 기준은 개인의 노력, 능력, 업적 같이 사회 전체적으로 합의된 정당한 기준이라고 보고
    즉 직업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회 전체적으로 합의된 정당한 기준이니까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주장!

  • [Prime] Headmaster · 1325019 · 10시간 전 · MS 2024

    ???: 어떤 직업은 귀하고 어떤 직업은 천하다를 뭔 기준으로 니가 뭔데 판단하냐고? 내 말이 틀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