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프지 않은 그리운 정서도 현대시 선지에서 물어보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85399
답이 5번인데 슬픈게 아니라 그리운거라는데 이 차이를 자주 묻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잔다 1
르크
-
살도 빼고 달라질거야 응응
-
진짜루요
-
6모 끝나고 심찬우 쌤 생글 들으면 좀 늦을까요...? 늦다면 바로 기출 커리로...
-
f(x)=0의 실근 중 0이 꼭 있어야겠네? > 실근 중 2개는 꼭 정수여야겠네 >...
-
쪽지는 사양함
-
할거하고자야겠다이런;
-
요즘 트렌드에 잘맞게 선별해놓은? 지수로그 살생활이나 격자 이런거 안들가있는책으로 ㅎ
-
개ㅅ끼 ㅅㅂ 왜 맨날 나만 부려먹어 진로부장이 반마다 있고 진로실 옆엔 다른 반인데...
-
어케됐을려나
-
3월달 부터 공부를 시작했는데요! 화작미적영어쌍지 처음 3월은 55335에서 국어...
-
ㅇ
-
저는 중학교때 ㅎㅎ
-
정말 대머벨에게 예의가 아니겠지?
-
하 좃같다 4
타야하는 버스 두개가 눈앞에 지나가는 기분을 아시나요
-
(오피셜)사망 1
ㅠㅠ
-
현역더프현장응시 4
더프현장응시 고등학생안받는줄모르고 신청했는데 환불도안되서 그냥 볼려고하는데 생년월일...
슬픔과 그리움은 전혀 다른 정서임
이걸 저는 오늘 첨 알았는데 공부를 안해서 그런건가여..? 아니면 상식인가
자수성가한 재벌 2명이 오랜만에 만나서 소주 한잔하며 과거얘기를 나눈다
"아 그때는 진짜 못먹고 힘들고 줄을것같았는데 지금은 좀 그립네"
이 그리움에 슬픔은 없음
슬프니까 그립다, 그리우니까 슬픈거다
이미 뇌속에서 단정적으로 결론내리고 폭주한거임.
근데 보통 그리움과 슬픔의 감정은 서로 연결성이 높은건 맞음.
출제자는 그걸 치졸하게 노리고 선지를 작성한게 맞음.
문학문제에서는 확실한 오답을 지워내는게 최우선임.
정답이 왜 정답인지 따지는것보다 오답이 왜 오답인지를 따지는게 제일 중요함.
보통은 5번같은 무난하고 두루뭉술한 선지는 정답으로 잘 내지 않는데
아마 원본문제를 수정하고 비트는 과정에서 위와같은 사고구조로 출제했겠지.
문학, 특히 현대시 관련 문제가 좆같은 이유 중의 하나는
"과연 '어머니'라는 시어가 시적화자에게 슬픔을 일으키지 않는가?"
라는 태클에 대응할 방도가 없다는거임.
이건 출제자가 문제를 비틀고 선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긴건데
원래는 정서에 관련된 부분은 슬픔과 기쁨 정도로 명확하게 대비되는 수준이 아니라면
애매하게 선지를 작성하지 않는게 맞음.
위의 두 시에서
"진짜 '어머니'가 시적화자에게 슬픔을 일으키지 않는게 맞아? 폭탄목걸이 걸고 맞다고 할수 있어?"
라고 출제자에게 물어보면 대답못할걸.
이 문제는 그냥 5번이 제일 무난하고 태클이 없는 답이라서 정답인것 뿐임.
원래 문과충들 문제내는 수준이 이정도밖에 안됨
훈련도감 개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