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vs n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79532
국어 기출 2회독 돌렸는데 새기분 익힘책 + 간쓸개 푸느라 기출 안본지 좀 오래되기는 했어요
근데 이제 기출은 무슨 내용인지 대충 다 아는데 또 보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만약에 본다면 어떤방식으로 다시 분석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n제나 주간지 좋은거 있음 추전좀 ㅇㅇ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31마스터음주초견풀콤 미추었냐고~~~~
-
변하진 않았겠죠?
-
참 이상함 난 나약하고 하찮고 보잘 것 없고 게으른데... 내 하찮음을 숨기려고...
-
500덕씩
-
다 네 잘못일거야! 자잘
-
누구말이 맞는거야.. 15
공부는 노력 vs. 재능
-
내일학교가서할거 10
아침조회때 독서 3지문 하고 나머지시간에 수학하려는데 시냅스는 지로함수 다 풀고...
-
실버크로스하고 문수 사퇴까지 해보자 ㅅㅂ
-
..
-
교환하는게 이득임? 폰노이만은 한국국적에 애국심 뿜뿜함
-
잠자러.
-
영어 실력 3
빈순삽 문제를 풀다보면 다른유형 문제 실력도 늘까요?
-
민주주의가 지배적 이념으로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까 19
의문감이 들긴 함 물론 그렇다고 "다른 대안이 뭐가 있는데" 하면 없긴 하지만...
-
짜피 오르비 7
대학가면 다 탈릅하는거 아닌가.? 뱃지 외 필요?
-
레전드힘듦
-
문학 박광일 독서 정석민 언매 전형태 수학 김범준 영어 이명학 물리 방인혁 지과...
-
좋겠다
기출은 평가원이 문제를 내는 방식, 논리전개같은걸 배우는게 가장 큼. 선지 분석하면서 얘가 왜 틀렸고 얘의 근거는 어디서 나오고 이런거
비문학 어디까지가 이해의 영역이고 어디까지가 암기의 영역인지 파악하고 강약조절 어떻게 할 것인지
지문 왔다갔다를 어떤 부분까지만 할 것인지
감에 전혀 의존하지 않고 문학 선지 판단을 일관적으로 어떻게 할지
지문 읽으면서 어떤것이 문제에 나올것이라고 확실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문학에서 지문 읽는 과정에서 낭비를 줄이기위해 문제의 어떤 부분을 먼저 볼지
이런것들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메뉴얼화 패턴화가 되어야 기출 볼만큼 다 봤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