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915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75499

이거보고 함수로 푼 사람들은
어떻게 함수로 풀 생각을 떠올리셨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 대 대
-
리액션 해야겠지?
-
한의사X정형외과는 그냥 무적의 조합인데 같이 연합해서 한방병원 차려야
-
ㅂㅂ 8
바보
-
부자 증세 기업 증세 그냥 공산주의자노
-
아직도 보충대인게 진짜 ㅋㅋ
-
저사람 이름 불릴때마다 ㅈㄴ웃김
-
해외에서 생활중 한국인 학생들 입학 시험에서 압도적으로 우수합니다만 학부 넘어가면...
-
전이되어가는 과정이 일어날 듯 합니다
-
[속보]‘범보수 단일화’ 김문수 41.2% vs 이준석 30.4% 1
연합뉴스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범보수 단일화론이 커지는 가운데, 김문수...
-
오르비 안녕 7
.
-
놀고왓어 5
잘했지
-
작수 사문 오답률 2위 문제던데요 제가 아직 사문을 공부안해봐서 잘 몰라서 그러는데...
-
나머지 두명은 산송장이고
-
영남대 전자 2
이번 3학년때 내신 아무리 많이 떨어져도 주요교과 3.4인데요 교과로 하면 영남대...
-
는 쉬어갑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저는 걸려버림 ㅋㅋ 오노추 길 - god
-
A는 모르는 사람이고(비공개계정) B가 맞팔된 사이. A가 B태그 해서 올린...
-
풀업
-
6모 표본도 만만치 않을것같음 ㅋㅋㅋㅋㅋㅋㅋ 생1지1과 비슷한 정도? 물론 이정도면...
-
공부는 재능이냐 노력이냐 따질 시간에 그냥 공부하자는 판단을 내릴 능지는 재능이기 때문이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1. 연속된 두 항 사이의 관계가 제시되었음
2. 항 사이의 관계에 별도의 미지수가 존재하지 않음
3. 케이스가 3가지 -> 대수적으로 역추적하기 어려움
요정도 때문에 그래프를 도입하지 않았을까 싶어요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에 미지수가 있거나 연속된 세 항
사이의 관계와 같이 복잡하게 제시된 경우에는 그래프를
그리는 게 오히려 더 불리할 수도 있긴 한데,
이 문제는 관계식 자체는 단선적인데 케이스 분류가 많아서
아마 다른 분들도 이 판단하에 그래프를 그리셨을 듯해여